예를들어 메이드가 주인님의 아침잠을 깨우는 장면을 특정 작가 스타일로 표현하라고 시켜보자. 문체 테스트 대상은 찰스 디킨스와 무라카미 하루키다. 왜 찰스디킨스와 무라카미 하루키를 뽑았냐고 하면, GPT한테 비주얼에 강한 작가 물어보니까 찰스디킨스하고 무라카미 하루키 얘기하더라...


GPT 4, 찰스디킨스 스타일


GPT4 무라카미 하루키 스타일


병신같은 찐빠도 있고 이게 그 작가 스타일이 맞는지는 모르겠지만 하여튼 각가 다른 스타일로 장면을 묘사함.




그런데 GPT4O를 볼까?


GPT4O 찰스 디킨스 스타일


GPT4O 무라카미 하루키 스타일



찰스디킨스 쪽이 더 상세하긴 한데, 상세함과 별개로 드라이한건 마찬가지임. 


프롬에서 문체관련 지시를 아무리 바꿔도 드라이하게만 쓰길래 이상하다 싶어서 비교하니까 딱 비교되네.


아무래도 언어 관련 능지 높일려고 자세한 표현에 대한 토큰을 싹 쳐냈지 않나 싶음. 그래서 한국어 하고 영어하고 비슷하게 맞출 수 있던거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