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889686629046296&mediaCodeNo=257&OutLnkChk=Y

 “한국형발사체 누리호를 올해 10월에 처음 발사한다. 내년에는 누리호 2차 발사를 하고, 그동안 많은 문제를 일으켰던 시험용 달궤도선도 정상적으로 발사한다.”

이상률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은 지난 3월 취임 이후 처음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국가대형연구개발사업의 추진 현황을 설명했다. 이상률 원장은 “지난 3월 누리호 1단 클러스터링(엔진묶음)에 대한 종합 연소시험을 마쳤다”며 “실제 발사와 같은 절차(시퀀스)에 따라 연소시험을 끝냈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현재 실제 발사에 활용할 비행모델 발사체 조립(1단~3단)을 하고 있고, 단별 조립과 모든 기체에 대한 조립을 마치면 발사대로 이송할 계획”이라며 “발사대도 이미 완성된 상태로 앞으로 조립한 기체를 발사대에서 산화제 충전과 배출 등을 거쳐 발사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내년에 발사하는 시험용 달 궤도선도 순조롭게 준비하고 있다. 이 원장은 “시험용 달궤도선 개발과정에서 발생했던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고, 기간 지연 문제도 해결했다”며 “내년에 비행할 기체를 조립하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항우연은 재작년말부터 달 탐사 사업 지연과 사업비 지급 문제, 임철호 前 원장 직원 폭행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해임 통보 문제, 나로호 핵심부품 고철상 판매 문제가 불거지며 논란에 휩싸였다. 전 세계적으로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설립한 미국의 우주탐사기업 스페이스X를 중심으로 우주개발 추세가 정부주도에서 민간 주도 개발로 빠르게 바뀌면서 항우연의 혁신과 변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내외부에서 나왔다.

이 원장은 이러한 상황을 의식하듯 앞으로 기관 혁신을 이끌고, 항공우주 산업 미래를 준비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앞으로 3개 테스크포스팀(TFT)을 운영하며 국가대형사업 성공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중장기계획을 만들거나 내부 제도 개선 작업도 시작한다. 또 미래혁신연구센터(가칭) 조직을 새로 만들어 우주엘리베이터, 우주태양광과 같이 선진국이 하지 않거나 못했던 연구에도 도전한다. 


새로운 우주시대를 맞아 항우연의 역할도 바꿔나가겠다는 의지도 보였다. 이 원장은 “민간이 할 수 있는 부분은 과기부와 협의해 과감하게 이전을 하고, 역할을 넘기는 것을 심각하게 고민하겠다”며 “민간이 하고 싶지만 여건상 어려운 미래 연구나 핵심 기술 개발에서 연구원의 역할을 찾겠다”고 강조했다. 


이 두가지 미션이라도 제발 제기간에 성공하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