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생겼을거라 추정한다.


현재 모습. 자세한건 후술한다.



고대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에 있었던 세상 모든이 있던 곳이다. 근처에 무세욘이라는 같은 연구 기관도 딸려있었다. 본관은 브루케이움, 별관은 세라퓸이라고 한다.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후원으로 발전하였으며, 기원전 3세기 경 건립된 이후 로마가 이집트를 점령한 기원전 30년대까지 지식과 학문의 중심지 역할이였다.

도서관은 정원,식당,강의실,집회실 등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새도서의 관리와 책 분류를 하는 부서가 @존재한다 (했었다)


회랑은 파피루스들을 보관하는 책장들로 이루어졌었다.

그 당시의 모든 서적들을 수집하여 세계의 지식을 취합했다. 장서 수집 방법은 다소 난폭했던걸로 유명한데,

알렉산드리아에 입항한 모든 선박을 뒤져 서적을 압수한 뒤 얼마가 걸리든 사본을 만들어서 원본을 보관하고 사본은 주인에게 다시 돌려주었다는 것.
자료 수집하는 것 이외에도 여행과 숙박 급여를 제공하기도 했다. 연구기관으로서의 경험론적 기반을 바탕으로 비평 등의 철학적 사고관 또한 발달되었다. 이러한 비평 등이 활발해지며 검증된 책들은 학자들에 의해 보다 더 정확한 복사본으로 제작되었다....

보유했던 장서의 양은 1만 권에서 70만 권까지 였다라는 다양한 학설이 @존재한다

알렉산드리아 등대와 도서관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은 대형 방화 혹은 파괴 사건으로 인해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는 이야기가 전해지지만,

아닐수도 있다. 유력한 가설은...

도서관의 위치가 호수하고 바다 사이에 있어서 누군가 끊임없이 관리해주지 않으면 습기 때문에 문서가 쉽게 상하는 곳인데다 당시 알렉산드리아 도서관이 보관하고 있던 주요 자료들은 보존성이 낮고 대부분 화재나 습기에 취약한 파피루스였다.자료를 지속적으로 관리하려면 반복적인 작업이 요구된다

학자들이 떠나가면 이 작업을 담당할 사람이 없으니 자료가 소실되는 것이다.

도서관에 머물며 업무를 보던 수많은 학자들은 지역 왕조의 후원에 의존하고 있었는데, 도서관 유지에 필요한 막대한 자금이 끊긴다면 도서관의 몰락은 자연스럽다.

다음엔 다른 문명으로 찾아뵙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