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1호선 명덕역은 왜 명덕임?

https://arca.live/b/city/99940411

날짜는 한참 지났지만 궁금한 사람도 많은지 모르겠지만

한번은 알아봐야하는 이야기인 듯 해서 시작..


명덕역의 유래는 명덕네리..


그럼 명덕네거리의 유래는? 

이러니 열이 안 받을 수가 있나?


START!!


명동 일부(수도산)와 덕동 북부(현 대봉동,이천동)을 통합하여 대봉동을 설치했듯이 

동과 봉동에서 한자씩 따와서 명덕동을 만들려고 한게 아닌가?


하는 생각을 맨처음 하게 되는데 역사적으로 알아봅시다. 

이 연혁은 반월당사거리와 명덕네거리(로타리) 사이의 이야기입니다. 


---------------------------------------------------------------------------------------------------------

1910년 한일병합이후 행정개편으로 대구군을 대구부로 변경.

(조선/대한제국 시대에는 지방행정단위를 (방)면단위로만 구분하하고 자연부락단위는 구분하지 않았으나 

일제강점기 자연부락중 몇개의 이름을 취사선택하여 동경계를 획정함) 


1910년 현재의 대구 남구에 해당하는 하수서면지역이 대명동, 금암동, 덕산동, 봉산동으로 동경계를 획정함

          하수서면은 상수서면(현재의 가창면 용계동, 파남/파북동 등)과 합쳐져 상수서면이 됨. 

1911년 대구군 서상면과 동상면을 통합하여 대구면 설치 

1914년 대구면중 신천동편인 신천동, 신암동을 제외한 지역을 대구부를 축소함. 

           나머지 대구군은 현풍군과 통합해 달성군이 됨. 신천동, 신암동은 대구면에서 수성면이 됨. 

          대구부내는 일본식 ~정, 달성군은 ~동으로 개편. 

          대구면(구 서상면) 남산리 ->대구부 남산정, 남외동-> 대구부 덕산동, 대구면(구 동상면) 남성리 ->대구부 봉산동  

1914년 상수서면중 하수서면지역은 수현내면, 수동면, 수북면과 통합하여 수성면. 상수서면, 상수남면, 하수남면은 가창면이 됨. 

          수성면의 구 하수서면 지역은 금암동과 대명동을 합쳐 대명동, 덕산동과 봉산동을 합쳐 봉덕동을 만든 후 

          봉덕동 북부와 대명동 일부(수도산)를 합쳐 대봉정(동)을 만듦. 


부군면통폐합은 한번에 이루어졌다기보다 

1910년부터 토지조사사업이 끝나는 1918년까지 점진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음. 

1906년 이루어진 대구군 풍각4면의 청도군 이속도 포함될 수 있음.  


1917년 지도에서 남산정, 덕산정, 봉산정의 위치 

ㅇ남산정은 명치정(현 계산동 아래부터 카톨릭타운(대가대 성유스티노 캠퍼스 및 구 대건고, 효성여고) 

 + 현재의 남문시장 및 경북여고가 있던 공터 및 언덕. 

ㅇ덕산정은 남문과 아미산 사이, 대구읍성 남문(영남제일관)에서 이어지는 옛길의 양측으로 발달함. 

ㅇ봉산정은 대구읍성 남쪽을 지나 남쪽으로 내려가던 영남대로와 동성로 구중앙파출소 우측에서 시작하는 신작로 사이 


2024년 카카오 지도와 중첩한 모양..

아미산(삼정그린코아, 서현포레스트, 효성헤링턴 아파트, 꼴랑 5~60m 언덕) 이북은 덕산정. 

남문시장터와 56m 언덕이던 경북여고터는 남산정,

명덕역과 명덕초등학교터는 대명동.   


1918년 대봉정을 대구부에 편입 (80연대(현 캠프 헨리) 등 일본군 시설과 대구시의 상수도원인 수도산 배봉저수지가 있음) 

          사실 이미 1914년부터 대구부의 관리하에 있었고 대봉정이라 불림.  

1919년 동성정2정목(현 동성로2가, 대구백화점 본점)에 위치해 있던 동문시장(동시,새장)위치에 달성군청을 설립하게 됨에 따라 

          1917년 동성정3정목(현 동성로3가) 토요코인 동성로점, ABC마트 등이 있는 블럭에 일부 이전(동문제2시장) 

          1919년 덕산정 구 경상감영 연병장이 있던 공터에 대부분 이동. 동문제3시장. 

          (현, 염매시장 및 적십자병원, 교육청 동부지원청 위치) 

1932년 동문시장이 발달함에 따라 도로(현 달구벌대로)변까지 우후죽순 혼란스럽게 되어 이전을 결정하고..은행대출을 통해..

1937년 현재의 남문시장 자리로 이전, 개설되면서 동문시장에서 남문시장으로 이름을 변경. 중앙로가 남문시장까지 연장됨. 

1938년 대구부를 확장하여 달서면, 성북면, 수성면 등이 대구에 편입됨. 


도시확장 이전 1937년 수립된 대구 시가지 계획에 따르면 중앙로가 남문시장까지는 연장되어있고 

⑦번도로(현 명덕로)와 ⑨번도로(남문로, 현 중앙대로 남부)의 중간에 명덕네거리(명덕로타리)가 조성될 계획이 수립되어 있음. 

⑦번도로(현 명덕로)윗쪽의 대명동(현 명덕초등학교 주위)이 언제 남산정으로 편입된지 시점은 불명확함. 


1938년 대구에 편입된 지역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11월 대구에 3개 출장소(동부,서부,북부)를 설치함. 

          대명동, 봉덕동동 종전의 수성면지역과 함께 중동(현 수성구 중동 492-1번지)에 소재지를 둔 동부출장소 소속이 됨. 

1940년 현재의 명덕초교자리에 남산정공립심상소학교 개교.  

1941년 국민학교로 개정할시 남산공립심상소학교(남산국교,1935년 개교)와 헷갈릴 소지가 있어 

           남산정공립심상소학교에서 남부국민학교가 변경. 1938년~1940년 사이에 명덕초교 부근이 대명동에서 남산동으로 변경됨. 

1945년 해방 

1947년 미군정기 대구부 ~정을 ~동으로 다시 돌려놓음. 

          미나미야마초(남산정), 도쿠야마초(덕산정), 호잔초(봉산정) -> 남산동, 덕산동, 봉산동 


실질적으로 한국식으로 되돌렸다기 보다는 야마토초(大和町), 히가시/니시치요다초(東/西千大田町) 메이지초(明治町) 혼마치(本町)등 명확하게 일본식명칭인 듯한 지명만 대안동, 동일/장관동, 계산동1,2가, 서문로1,2가 등으로 바뀌었을 뿐 많은 지명은 1910년 이전으로 되돌아가지 못하고 정을 동으로 바꾸는 수준이었음. 町이 마치인지 초인지도 명확하지 않고 봉산정의 정확한 명칭은 모름.


1948년 대한민국 정부수립

1949년 대구부->대구시로 변경.

1951년 대구시 남부출장소가 설치됨(남산동, 대명동, 대봉동, 봉덕동 일대), 시직할지+4출장소 체제 

          남부출장소 소재지는 남산동705번지(남문시장과 명덕로터리 중간)


1951년 한국전쟁 당시의 미군지도. Nam bu Primary School(남부국민학교)이남은 건물없고 모두 논. 빨간 빗금은 현 명덕지구. 

중앙로도 남문시장까지만 연결되어 있음.(1937년 시가지 계획 이후 태평양전쟁, 한국전쟁 등으로 추가건설된 도로 없음)

Nam mun Market라고 적혀 있는 곳이 대구시 남부출장소와 경북여고. 


1952년 대구 동인동, 삼덕동, 칠성동이 분동됨(동인동1가, 2가, 3가로 일본식 정목제도 적용) 

(당시 법정동과 행정동의 구분이 없었기 때문에 분동한 동네가 이제는 합동되었어도 법정동은 동인동 1,2,3,4가 별도)     

1953년 남부국민학교 -> 명덕국민학교로 개칭. (최초의 명덕출현) 

1953년 대구시 남부 출장소 남산동 -> 남산구동 (~가동(街洞)의 반대개념으로 구동(區洞)으로 정한 듯)

          시직할지역을 중부출장소와 종로출장소로 나눔. 덕산동과 봉산동은 종로출장소 소속. 대구시 6출장소 체제.


1954년 항공사진..여전히 명덕로터리는 존재하지 않음. 

남문로(현 중앙대로 편입전 남측도로)가 남문시장4거리에서 명덕네거리 방향으로 남하중. 남부출장소는 쓸려나가 이전한 듯. 

명덕네거리보다 명덕국민학교가 먼저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음. 

명덕지구(현 "e편한세상 명덕역")은 진짜 마을이 오래되었군화..ㅇㅇ 명덕지구 아래 영선못(현 영선시장)이 아직 못일 시절. 


1954년 대봉동 교사(현 청운맨션)에 있던 경북고등학교가 대명동교사(현 대구고교)로 임시이전

          (이시기 남문로가 개통되었을 것으로 예상했으나 항공사진을 보면 아무리 빨라도 명덕광장(네거리)까지 개통되었을 듯)

1958년 대구중학교 교사에서 51년 학제개편으로 사라졌던 대구고등학교가 재개교. 

1959년 대봉동 교사에 고등부 건물이 재건축되어 경북고등학교는 대봉동으로 돌아가고 대구고등학교가 현교사로 이전.  


일제강점기 후반부터 1951년까지 존재하던 구제(舊制/旧制, 5~6년제)중학교가 해체되면서 조선인들이 다니던 대구고보는 대구제일중과 대구고등학교로 분리되고 일본인들이 다니던 대구중학교는 고등부는 없어지고 중등부만 대구제2중이 되었다가 1953년 1중은 경북중, 대구고는 경북고등학교, 2중은 대구중학교로 다시 바뀌었다가 고등학교의 수요증가로 1958년 대구고등학교 재개교. 일제시대 일본인들이 다니던 학교였으므로 역사는 승계되지 않음. 일제시대 조선에는 고등학교가 없었음. 당시 고등학교는 대학교 본과를 다니기 전의 준비과정이었으므로 경성제대 예과가 식민지 조선의 유일한 "고등학교"에 상응. 현재는 의치수약대만 예과가 있음.  


1960년 2월 28일 민주당 수성천변 유세를 이유로 일요일임에도 고등학생들을 학교에 등교하게 함으로써 학생들이 불노함.

          (전날 토요일에 있었던 수성천 자유당 유세는 참여를 독려햐기 위해 12시에 조기하교 하였다.)

         이에 분노한 대구고, 경북고 등 대구시내 8개교가 들고 일어나 결의문을 발표하고 도청,시청 등을 항의방문하다 해산당함.

1962년 2월. 2.28 의거 -> 3.15 부마항쟁 -> 4.18 의거 -> 4.19 -> 4.26 이승만 하야로 이어지는 민주화 운동의 시발임을 기념코자

          대구시민들이 성금을 모금하여 명덕네거리 로타리에 기념탑을 조성하여 기념하게 됨.

          명덕로터리는 1962년 조성되었고 명덕광장(네거리)은 정확한 시점은 알 수 없으나 54년지도에서 이미 남문로의 확장을 시작       했으므로 1955~1959년 사이 이미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2번째 명덕명칭의 사용   


일명 바지 2벌, 62년2월 조성되어 89년 지하철공사로 인해 해체되어 현재는 두류공원 야구장에 새로 건립되어 있음. 

실제 2.28 당일 명덕네거리를 지나간 학생들은 대명동 교사에 있던 대구고 학생들 뿐이나 이 기념물로 인해 명덕로터리가 2.28의 상징이 되었고 기념물이 이전한 후에도 명덕초등학교내에 2.28 기념관이 생긴 이유가 됨. 


1963년 대구시 구제(區制)실시. 대구시 남부출장소 -> 대구시 남구. 

          남구청소재지는 남산동 693-7번지(남문시장네거리 남동측면)


구제가 실시되고 27년만에 대구시 도시계획이 수립됨(1965년), 대구의 유명한 14광장이 이 때 계획되는데 

명덕광장(명덕로터리)는 이미 로터리까지 건설되어 도시계획에는 없음. 

반월당네거리와 대동로, 대서로는 이 때 확장되어 너무 과도하게 넓은 도로가 아니냐는 비판을 들었지만 수십년을 내다본 혜안. 


1965년 동 행정구역 경계 통폐합이 이루어져 법정동과 행정동의 분리가 이루어짐. (5구 89행정동 106법정동)

          남산 1동, 2동, 3동으로 분동(법정동은 남산동), 대명 1동, 2동, 3동, 4동, 5동으로 분동(법정동은 대명동)


1968년 항공사진에는 이미 명덕로터리와 서로는 개통되었고 동로는 수도산(건들바위네거리)까지 개통된 상황. 

항공사진이 1954년 이후 14년만에 다시 있어서 그동안의 변화는 체크하기 힘듦. 

명서로와 연결되어 있는 달서로 등이 1967년 개통된 것으로 미루어 명서로,명동로도 비슷한 시기에 개통된 것으로 보임. 

명서로와 명동로는 각각 명덕로타리의 서쪽도로, 동쪽도로라는 의미기 때문에 명덕이 사용된 예시


1970년 대명4동이 대명4동,대명6동으로 분동.        

1975년  남산동의 일부가 중구로 편입되고 덕산동의 일부가 남구로 편입되는 등 구계 미세조정이 있음. 

           (이시기 달구벌대로(당시 대서로)를 기준으로 경계선을 넘은 지역을 서로 편입한 것으로 보임) 

           남산 1,2동이 합동되어 남산2동이 되고, 남산3동이 남산1동이 됨. 

           (이시기 서구 원대동은 4,5,6가가 노곡동, 조야동과 함께 북구에 편입되어 곡동과 대동이 합쳐져 노원 1,2,3가로 바뀜) 

1980년 4월 남산1,2동, 대명4,6동(남산4동,3동), 대봉1동,3동(대봉1,2동)이 남구에서 중구로 편입됨. 

          (중구와 남구의 경계선이 달구벌대로에서 명덕로로 바뀜)

          12월 남산동 693-7번지에 있던 남구청이 봉덕동 565-5번지로 이전.

1989년 대구지하철 1호선 공사로 인해 로터리가 해체되고 2.28 기념물은 두류공원으로 이전.

1997년 대구지하철 1호선이 개통되면서 역이름을 명덕네거리에서 따 명덕역으로 정함

1998년 명서로와 명동로를 합쳐 명덕로로 개칭 

2015년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이 개통되며 명덕역이 환승역이 됨.

          명덕네거리 남동측 택지재개발지구의 명칭이 명덕지구가 됨(현 e편한세상 명덕역 예정지) 

---------------------------------------------------------------------------------------------




정리하자면 

1951년부터 1980년 중구에 편입되기전까지 대구시 남부출장소와 남구청의 소재지였던 중앙대로변 남산동지역은 행정적으로는 남산동이었지만 전통적인 남산동(남산리, 남산정, 인쇄골목주변)도 아니었고 행정적으로는 남산동(남산정)이었던 아미산 남쪽지역도 1937년 남문시장이 들어서기 전까진 논밭이었던지라 남산동이라 불리기 보다는 남문시장이라 불렸으며, 아미산 북쪽은 덕산동, 남쪽의 명덕초등학교가 있는 주위도 1938년 대구시 편입전까지는 수성면 대명동이었던 곳이라서 출장소 소재지임에도 지역대표성이 미약해서 미리 분동을 대비하여 대동과 산동에서 글자를 따서 명덕동이라는 이름을 정하고 남부출장소에 있는 남부국민학교임에도 명덕국민학교로 바꾸었고 네거리가 생길 광장의 로터리를 조성하면서 명덕로타리로 이름짓고 좌우로 지나는 길도 명서로, 명덕로라고 지으면서 분동되기를 기다렸으나...


1965년 행정동과 법정동의 따로 관리하게 됨으로써 분동되더라도 법정동은 그대로 사용할수 밖에 없고 행정동도 남산ㅇ동이 되기 때문에 명덕동의 꿈은 사라져버리게 되었고 1975년 남산 1,2동을 2동으로 합동하면서 남산3동에서 남산1동으로 승격하는 수준에서 마무리되었다.  


이후 명덕로터리는 대구 2.28의거의 상징이 되며 주변지역의 상징이 되었으며, 1980년 남산동 등 명덕로 이북이 남구에서 중구로 편입되면서 30년에 가까운 남부출장소 및 남구에서의 헤게모니도 사라지고 중구의 일개 동이 되어버렸음..  


1951년 출장소체제가 되면서 남산동(현 남산1동)에 남부출장소가 생김.

1953년 남부초등학교에서 명덕초등학교로 변경

1955~1959년 사이 명덕광장(네거리) 조성됨 

1962년 명덕광장 중앙에 2.28 기념물이 세워지며 로터리가 생겨남. 

1963년 구제를 실시하여 남부출장소지역이 대구시 남구가 됨. 

1967년 명덕로터러 서,동쪽에 명서로, 명동로가 생김. 

1980년 남구와 중구의 경계가 달구벌대로에서 명덕로로 바뀜. 구청 이전. 

1997년 대구지하철 1호선 역명이 명덕역이 됨.

1998년 명서로, 명동로를 합쳐 명덕로로 개칭 

2015년 명덕네거리 남동측 택지지구 


이상 며칠에 걸친 정리 마침...

왜 이렇게 쓸데없는데 쓸데없이 정성을 들이냐구요? 

제가 저 남산동이지만 사람들은 덕산동이라고 생각하던 곳에서 

어릴 때 대구 유학와서 삼촌 결혼하기 전까지 몇 년 살았거든요. 


반월당 샘소나이트 대리점 골목에서 동네 양아치들한테 돈 뺏기고..

교과서 잃어버린 녀석한테 남문시장 헌책방에서 책사게하고 남은 돈으로 

동아쇼핑센터 지하에서 밥사먹고 6층 놀이기구 타러가고..

반월당네거리 삼성생명빌딩이 세워지기전 거기 있던 개미식당 떡볶이가 인생 최고의 떡볶이였고..

YMCA에 놀이터에서 놀다가 YMCA에서 518 광주학살 사진전을 개최하는 바람에 

경찰에 원천봉쇄되어 꼼짝없이 같혀진 적도 있고. (당시엔 시절이 시절이라 초딩도 안 풀어줌) 

여러 추억이 있어서리...



그나저나 일제는 1910년 이전까진 분명 하수서면에 있던 덕산동과 봉산동을 합쳐서 봉덕동으로 만들어버리곤...

왜 서상면 남외동과 동상면 남성리 지역을 대구부 덕산정, 대구부 봉산정 으로 만들었을까요? 



1줄요약

대명동+ 덕산동 = 명덕동 계획 실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