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대구 1호선 동부 구간의 문제점으로는 경북대, 대구공항, 공고네거리, 평화시장, 파티마병원 미경유, 구 대구선 미활용 등이 꼽힘. 이유는 동대구역과 고속터미널 경유 때문이고, 경북대와 대구공항, 공고네거리, 평화시장, 파티마병원 등은 3호지선과 5호선으로 커버하는 것이 초기 계획이었기 때문. 구 대구선 미활용은 동구 주민들이 철도 소음에 매우 민감해 활용하기 어려웠고.

그런데 사실 1호선이 칠성시장에서 신천역이 아닌 공고네거리로 진입한 후 파티마삼거리에서 동대구역 북편으로 내려와 동대구역지하도 쪽에 지하철 동대구역을 건설한 후 현 1호선 선형대로 갔더라면, 역간 거리 유지를 위하여 동구청역과 아양교역은 동서시장 앞에 통합해 지었더라면 동대구역을 경유하면서 공고네거리, 평화시장, 파티마병원은 물론이고 경북대 수요까지 잡을 수 있었음.

1호선 건설 전 유사한 대안 노선(위 안과 달리 칠성시장 대신 침산동과 경대교를 경유)이 논의됐지만 이 노선은 굴곡이 너무 커 동구에서 1호선의 경쟁력을 떨어트린다는 단점이 있는데, 칠성시장에서 공고네거리로 트는 노선이면 그렇게 굴곡이 커지지 않으면서도 도심에서 동촌, 안심으로 이어지는 전통적 경로인 신암로와 아양로 연선의 공고네거리와 평화시장, 파티마병원 등 수요처를 경유할 수 있고, 칠성시장 ~ 신암로 ~ 아양로 ~ 동촌 ~ 안심 구간에 밀집한 시내버스 노선들의 수요를 도시철도로 흡수하고 중복 노선들을 조정할 수 있었으며, 공고네거리 ~ 경북대정문 거리가 부산대역 ~ 부산대정문 거리와 별 차이가 없는 걸 고려하면 경북대 수요도 일부 잡을 수 있었음. 역간 거리 유지를 위하여 동구청역과 아양교역을 동서시장 앞에 통합해 지어서 잘못된 역 위치 선정으로 버스에 많은 수요를 빼앗기고 있는 큰고개오거리 일대 수요도 잡을 수 있고. 고속터미널 수요를 잡기 어려워진다는 단점이 있지만 대신 얻는 수요가 큰 데다 철도 동대구역과도 더 가까워지니.

애초에 공고네거리를 3호지선으로 커버한다는 발상 자체가 문제인 것이, 침산동으로 향하는 3호지선의 선형과 칠성시장을 경유해 도심으로 이어지는 연선의 교통 흐름은 불일치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