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자급자족도시에 대한 집착


1기신도시가 ‘베드타운’이라는 비판을 받자, 2기신도시는 거기에서 벗어나기 위해 일부러 먼 거리에 신도시를 조성하였음. 

하지만 신도시라는 개념 자체가 서울의 주택문제 해결을 위한 목적이었는데… 본말이 전도되어 버림. 

심지어 서울과 가까운 분당이 산업과 상업 분야에서 자급자족을 이룬 상태에서 2기신도시의 전략은 실패하였음



2. 대중교통 후 구축


정부, 토지공사, 주택공사, 지자체, 여타 공기업이 도시개발과 함께 철도 등 교통인프라를 선구축했던 1기신도시와 다르게, 2기신도시는 교통분담금 제도 등이 생기며 교통 없이 신도시 입주부터 이루어졌음. 

동탄신도시에 이제 와서야 첫 광역철도인 GTX가 들어왔음;;




그 결과 2기신도시는 서울에서 먼데 교통은 불편한 지역이 되었고, 결국 광역버스 땜방질이 계속되며 현대 수도권 출퇴근 문제를 야기하는 원인 중 하나가 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