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arca.live/b/city/106759332


위 글 보고 생각나서 만들어봄.


일단 경부선 벨트는 내 예전글에서처럼 경부선, 경부고속선, 경부고속도로가 지나는 시군으로 정의했는데 대신 여기서는 위 일본글에서처럼 경부 연선 도시권들은 제외하고 연선 시군만 포함했음. 아래 보일것처럼 인천, 창원이나 과천을 제외한거는 그것 때문.


그래서 경부에 포함된 시군은:

서울시, 광명시, 시흥시, 안산시, 안양시, 의왕시, 군포시, 성남시, 용인시, 수원시, 화성시, 오산시, 안성시, 평택시, 천안시, 아산시, 청주시, 세종시, 대전시, 옥천군, 영동군, 김천시, 구미시, 칠곡군, 대구시, 경산시, 영천시, 청도군, 경주시, 밀양시, 울산시, 양산시, 부산시





아무래도 한국은 일본과는 달리 경부선 벨트 이북으로 뭐가 없다보니 차이가 더한듯?


일본은 태평양 벨트 이북으로도 남한 두어개 사이즈의 도호쿠와 홋카이도가 있고 나름 7대 도시권이라 하는 삿포로와 센다이가 있는데 한국은 이제 경부선 벨트 이북에 수도권만 지나면 바로 최전방이니까.






약간 변형도 몇개 해봤음


경부고속선, 고속도로 연선을 제하고 오리지널 철도 경부선 연선만 포함하니까 반대로 경부연선 밖 지역들의 인구가 경부선 인구를 능가했는데, 아무래도 20세기 후반에 도로중심 개발을 한 한국에서는 원 철도 경부선 밖에 개발된 도시들이 많다는 반증이겠지.




(성남, 용인, 안성, 아산, 청주, 영천, 경주, 울산 제외 버젼)



반대로 경부선, 경부고속선을 제하고 경부고속도로 연선만 포함하니까 경부 연선 인구가 그 외 인구를 능가하면서도 처음에 숫자보다는 조금 더 균형적인 결과가 나옴



(광명, 시흥, 안산, 안양, 의왕, 군포, 아산, 세종, 청도, 밀양 제외 버젼)


여기에다가 광역시의 군들까지 연선/비연선 구분에 적용하니까 좀 더 대칭적인 구도가 나왔음.

(경부고속도로가 지나지 않는 대구광역시 군위군, 부산광역시 기장군 제외, 그리고 경부고속도로가 지나는 울산광역시 울주군을 제외한 울산 구 지역 제외)






마지막으로 이 변형 버젼들 중 가장 의미없다고 생각하는 경부고속선 연선 버젼... 인데 경부-비경부 인구가 가장 균형적인 버젼.

경부고속선이 지나간들 근처에 역이 없으면 지역에 영향도 적었을거고 (예: 영천, 영동) 경부고속선이 지나는 지자체가 아니어도 근처에 역이 있거나 KTX가 들어오면 수혜를 입고 (예: 수원), 생기기도 위 셋 중 제일 마지막으로 생겼지만 다른거 두개를 다 해본 만큼 호기심 때문에라도 만들어봄.



(안양, 의왕, 성남, 용인, 수원, 오산, 구미, 청도, 밀양 제외 버젼)


경기도의 인구 밀집지역이 경부에 포함되지 않으면서 본 글 중에 가장 균형적인 결과가 나오지 않았나 싶음. 



변형 버젼들부터는 반쯤 흥미로 만든거지만 재미있게 읽었기를 바래!


백지도 출처: https://arca.live/b/city/320187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