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0년 일제 강점기가 시작되면서 조선총독부는 9월 30일, 조선총독부지방관관제를 통하여 13도, 12부, 317군, 4,322면을 설치합니다.


이는 사실상 대한제국 시기에 설치되었던 도부군면을 계승한 것으로 이후 1914년 면적 약 160km2, 약 1만호를 기준으로 전국의 군을 통폐합 하면서 군은 220개가 되었고 1915년에는 도제(島制)를 실시하면서 울릉도, 제주도 2개의 도를 설치하였습니다.


이후 해방 이후까지 조선의 군은 218개로 고정됩니다. 군은 지방행정구역으로 읍면의 상위이자 도의 하위 구역이었습니다. 


뭐 거듭 설명할 필요는 없겠지만 군청(郡廳)은 군의 사무를 보는 곳으로 현대에도 그 명칭이 남아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일제강점기의 군청 모습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우선은 세가지의 군청을 올려보았습니다. 눈썰미가 좋은 분들이라면 이들의 이름이 나와있기 때문에 금세 어디의 군청인지 아실 수 있을 것 입니다.

실제로 세 군청은 각각 평안북도 선천군청, 충청남도 논산군청, 경기도 파주군청의 모습입니다. 세 건물들이 아주 유사하게 지어진 것을 알 수 있는데, 특히 논산군청과 파주군청은 거의 구분이 가지 않습니다. 그 원인은 무엇일까요?



일제강점기 군청의 공통도면(1910년대)

1910년대부터 20년대, 일제강점기는 본격적인 조선의 식민지화를 위해 각종 정책을 실시합니다. 행정적 조사와 함께 본격적으로 행정시설의 설치가 시작됩니다.

1910년 당시에는 대한제국의 행정구역을 그대로 물려받았기에 대부분의 행정 건물은 대한제국 시기의 한옥이나 각종 건물을 그대로 전용하였습니다. 하지만 1914년 군의 통폐합을 실시하면서 조선총독부는 각 행정기관에 군청의 이전, 신축 등의 경우를 계산하여 보고하라고 명령이 내려옵니다.

이러한 행정은 시간도 촉박하고 예산은 얼마 내려오지 않았습니다. 일제강점기 초기, 아직 조선인들은 곳곳에서 저항하고 막대한 행정, 인프라 구축비용이 곳곳에서 드는 상황이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조선총독부가 이용한 방안 중 하나가 공통도면입니다. 이러한 공통도면은 1910-20년대에 주로 이용되었는데, 공통된 도면을 하나 제시한 후 이곳에서 현지의 상황에 맞게 고치거나 하는 방식이었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공사비와 재료비를 절감시키고 행정기관이라는 상징성을 부여할 수 있었기에 자주자주 이용되었습니다. 국가기록원에 따르면 현재 도면이 남아있는 70여개의 군청 중 절반이 넘는 수가 이러한 공통도면을 활용하였다고 합니다.


출처 : (김, 2016)

공통도면 활용의 또다른 예시입니다. 특히 d번 아산군청의 경우 위쪽의 파주군청과 정면 장식까지 비슷한 모습을 보이며, 더더욱 공통도면이 활용되었다는 예시가 됩니다.



출처 : 김, 2016

위의 모습은 다양한 형태의 신축 군청사의 모습입니다. 공통도면을 활용한 사례(위에 모아 놓은)도 있지만 단순히 공통도면을 활용한 사례가 아닌 여러 변형도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이름 뒤에 *이 쳐져있는 경우들이 대표적입니다. 이들은 기본 베이스는 공통도면에 기반을 두었지만 정면의 장식을 바꾸거나 여러 변형을 주어 장식성과 상징성을 가미하였습니다.



공통도면의 평면에 기반을 두었지만 그 크기가 조금 더 커진 사례입니다. 맨 위 ab번의 상주군청과 통영군청은 놀랄 만큼 닮아있습니다.

그 외에도 그냥 새로운 도면을 이용하여 신축한 경우도 있습니다. 2층으로 올리는 경우에도 임실군청이나 옥구군청처럼 건물 전체를 올리는 방식도 있지만 예천군청이나 선산군청처럼 중앙만을 올리는 방식도 있었습니다. 이처럼 군청의 모습은 다양했습니다.



무조건적인 신축만이 이루어지지는 않았습니다. 조선총독부는 군 통폐합을 실시하면서 군청으로 적합한 건물을 찾아보라고 지시하였고 실제로 과거에 지어진 건축물을 활용하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위의 고양군청은 한 예시로, 과거 경기감영 빈관으로 이용되던 건물을 전용하였습니다.

주로 이용되었던 건물은 과거 조선과 대한제국의 행정시설이던 관청건물로 객사, 동헌 등이 대표적이지만, 학교 건물이나 금융건물, 심지어는 개인주택을 전용한 영천군청의 사례도 있습니다.


출처 : 김. 2015

기존의 한옥을 군청사로 활용한 여러 사례입니다. a 광주군청은 객사를, b 고양군청은 위에서도 말했 듯 경기감영을, c 전주군청의 경우 전주부판관청사, d 대동군청의 경우 평안도관찰사를 활용하였으며 e인 금산군청은 재무소 건물을, f 무주군청은 앞에 입구를 내는 등 개수를 거친 한옥을 이용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위에서도 말하였 듯 기존의 한옥을 무조건 이용하기만 하는게 아닌 여러 개수를 거치기도 했습니다. 기존 대한제국 시절 건축물을 이용하는 경우 상당히 연식이 오래된 건축물을 이용하였기 때문으로, 그 예시로는 1520년대 건축된 증평군청사나 1600년대 건축된 경주군청사, 이천군청의 경우 1400년대까지 거슬러 올라갑니다. 

이러한 건물들은 낡고 오래되었다는 이유로 증개축, 신축의 요구가 거세었습니다. 위의 도면은 함경남도 정평군청사를 개수하는 도면으로 기존 관아에 입구를 달고 전면에 복도를 설치하는 등 다양한 개수를 시도하였습니다.

출처 : 김. 2015

이외에도 위와 같이 기존의 한옥 건물을 증축하여 이용하는 일도 많게 됩니다. 진천군청의 경우 왼쪽에, 홍천군청의 경우 오른쪽에 새로운 목조 건축물을 증축하였습니다.

1930년대 들어서는 기존의 청사를 버리고 신축하는 일도 많게 됩니다. 대표적으로 한옥 건물을 이용하던 전주군청의 경우 1930년대 모더니즘 양식의 새로운 건물로 신축되게 됩니다.


참고문헌

- 국가기록원 일제시기 건축도면 컬렉션 : http://theme.archives.go.kr/next/place/viewMain.do
- 김명선. 2015. 일제강점기 기존 건물을 전용한 군청사의 개축 및 증축 양상. 한국산학기술학회. Vol. 16, No. 7
- 김명선. 2016. 일제강점기 신축된 군청사의 건축적 특징과 공통도면의 영향. 한국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Vol. 32, No. 2
- 김명선. 2017. 일제강점기 군폐합(1914) 전후 군청사 건축행정의 절차와 방침. 한국산학기술학회. Vol. 18, No. 7
- 구글 검색을 통한 각종 사진자료 출처




현대에 들어서는 이러한 군청사 대부분이 낡고 오래되었다는 이유로 새롭게 신축되었습니다. 이를 아까워하는 이들도 있지만, 아쉽기는 하지만 저는 기본적으로 당연한 순서라고 생각합니다. 

1910-20년대 식민지 건축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공통도면'이라고 생각합니다. 어쩌면 표준화라는 산업사회의 중요한 요소중 하나라고 생각하거나, 관용건축의 중요한 요소일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공통도면은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었는데, 추후에 기회가 된다면 이런 점도 다루어보고 싶습니다.

생각보다 글이 두서 없는데...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