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벨라루스 시위가 실패할 수 밖에 없는 이유

 - 시위 이후의 문제

민주주의 하면 좋지. 독재보다는 자유가 나으니까. 지금 독재정권이 잘하고 있는 것도 아니고, 통제 이제 지겨워!

라고 다들 생각해서 일어난 것이 1989년의 동유럽 혁명, 1991년의 소련 해체, 그리고 2011년의 아랍권 민주화 운동이야. 동유럽 혁명은 결과만 놓고 보면 성공했고, 소련도 뭐 표면적으로는 민주주의가 들어섰고, 아랍권은 사실 대부분 실패했다고 보는 게 맞지.

문제는 그 다음이야. 90년대 동유럽과 러시아, 우크라이나는 급격한 체제 전환에 IMF 주도로 신자유주의적 정책을 펼쳤고, 결과적으로 사회적 혼란, 초인플레이션, 무지막지한 실업률, 기본적인 사회보장제도의 붕괴, 범죄율 증가로 나타났지. 알바니아는 전국민의 대부분이 폰지 사기의 피해자가 되었고, 캅카스와 유고슬라비아에서는 전쟁이 일어났으며, 러시아와 우크라이나는 결국 여성들은 몸을 팔고, 남성들은 고국을 떠나 외노자 신세를 져야만 했지.

그러나 그 사이에는 벨라루스는 혼자 소련식 현실사회주의 체제를 오랫동안 유지해왔고, 동유럽과 구소련 국가들 중 유일하게 마피아, 올리가르히(과두재벌), 성매매가 판치지 않는 나라가 되었고, 심지어는 90년대 말 러시아에 쿠데타를 사주하는가 하면, 반쯤 불구가 된 러시아를 조종하려는 시도까지 했지. 물론, 루카셴코가 그렇게 사회주의 체제를 부활시키는 과정에서 수많은 반발, 그리고 숙청이 있었지만, 그래도 당시엔 먹고사니즘이 더 유행이라서, 그 정도는 일개 소련 해체를 반대한 공산당 보수파 지방의원에서 5년만에 신소련의 서기장이 된 루카셴코 대통령에게 껌이었지.

벨라루스 사람들이 이걸 모르는게 아니야. 야권 지도자이자 시위를 이끌고 있는 티히놉스카야는 유명 재벌의 아내야. 당연히 재벌이 집권하면 90년대 그랬던 것처럼 시장자유화 조치를 내릴 것이 뻔하고, 이는 곧 벨라루스의 우크라이나화를 이야기하는 거지. 그래서 일부 좌파 시위대는 티히놉스카야에 매우 부정적이야. 사실 벨라루스 역사상 가장 큰 시위라지만, 최대 규모가 10만명에 불과한대다가, 시위를 이끌던 조직은 일찌감치 해외로 나가버렸고, 벌써부터 시위대간 좌우대립이 본격화되고 있어. 


- 루카셴코의 지지기반

루카셴코의 지지기반은 블루칼라하고 농민, 그리고 군부임. 사회주의 정권이니 정말 당연한 얘기지. 그럼 반대하는 사람들은 누구냐고? 자본가, 화이트칼라, 그리고 학생. 근데 이게 한국처럼 선진국이면 후자가 쪽수가 더 많지만, 벨라루스같은 나라는 전자가 쪽수가 훨씬 많아. 특히, 블루칼라는 야권이 집권하면 어떻게 될까? 시장자유화와 구조조정으로 비정규직 전환 또는 정리해고라는 결과를 받게 될거야. 너같으면 시위 성공하면 회사 짤리는데 지지하고 싶겠냐? 당연히 죽기살기로 반대하지.

시골은 일찌감치 토지사유제 도입했는데도 전체 농토의 75%가 집단농장이라는 거 보고 아 얘네들은 진심이구나라는 걸 느꼈음.

그럼 왜 부정선거 했냐고? 그건 나도 모르겠다. 어차피 이길 선거였는데 왜 주작쳤는지 내가 민스크 가서 물어보고 싶음. 아마 정통성 문제 아니었을까 싶긴 함. 벨라루스 반응도 '55:45, 많이 봐줘서 60:40이었으면 이해가는데 80:20은 너무한거 아니냐'는 느낌이었으니까.

설령 이번 시위가 성공한다고 해도 군부의 압도적 지지가 문제야. 군부가 이렇게 매우 정치적일 경우, 이런 나라는 쿠데타의 가능성이 높아. 그건 역사가 증명해줬지. 칠레, 이집트, 리비아, 그리고 터키...그러면 장기적으로 봤을 땐 달라진 건 없는데 죽은 사람은 많다. 최악의 시나리오지. 리비아는 아직도 의문임. 걔넨 민주화 왜 했냐?


- 시위대의 의지 문제

앞서 언급했듯이 구소련 국가들은 정치에 무관심하고, 먹고사니즘을 중요시 여기는 특성이 있어. 10월 말에 야권은 총파업을 예고했지만, 블루칼라는 정말 당연히 동참 1도 안했고, 화이트칼라도 참여율이 저조했어. 왜 그랬는가 봤더니, 한 시민이 인터뷰에서, "루카셴코 정말 싫고, 파업 지지하지만, 저는 부양해야 할 가족들이 있고, 회사에서 해고당하기 싫기 때문에 회사에 나갔어요."

아...ㅇㅋ


- 주변 강대국들의 암묵적 동의

러시아는 벨라루스를 물심양면으로 도와주고 있고, 유럽연합은 암묵적으로 눈감아주고 있는 판국. 유럽연합에 있어서 러시아는 너무 버거운 상대고, 미국은 거리가 멀기 때문에 사실상 방관하고 있다고 봐도 무방함. 즉, 혁명이 성공하기 위한 2대 요소, 군부의 지지와 국제적 지지 둘 다 못받고 있기 때문에, 이 시위는 실패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것이 결론임.


2. 시위 이후의 판도 변화

이거부터는 다음 편에 계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