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미로 봐주길 바람 그냥 지리 관심 많은 아저씨가 심심해서 며칠동안 만든거니까 태클 말고 조언을 부탁함

(*) 확대해서 보거나 다운로드 받아서 보는 것을 추천함


미국에서 언급되는 와이오밍 규칙(미국에서 가장 인구가 적은 주를 1석으로 하는 기준으로 선거구를 짜자는 논리)에서 영감을 받아서, 한국에서 가장 인구가 적은 기초자치단체를 1석으로 하는 기준으로 선거구를 짜면 어떻게 되나 보려고 한번 해봤음.


2020년 10월 기준 경상북도 울릉군의 인구는 9200명으로 가장 작은데, 이걸 최소선거구 기준으로 하면 3756석이라 그냥 숫자 딱 맞춰서 하는게 나을거 같아서 그냥 과감하게 4000석으로 해버림


당연히 읍면동 분할은 기본 전제로 깔려있는거고 일단 인구 기준은 2020년 10월로 했음. (http://map.ngii.go.kr/ms/map/NlipMap.do?tabGb=statsMap  에서 가장 최신이 2020년 10월이라서 어쩔 수 없음)


가장 적은 인구의 기초자치단체를 기준으로 하니까 특례선거구라던지 생활권 분리라던지 이런 문제 안생겨서 좋긴 하더라.


근데 이 지도는 솔직히 너무 복잡해서 선거구의 의미보다는 차라리 인구밀집지역을 알아보는 지도가 되어버린거 같은 느낌이 없지않아 있음


광역자치단체별 배분

서울 748석 인천 227석 경기 1034석 강원 119석 충북 123석 세종 27석 대전 113석 충남 164석 전북 139석 광주 112석 전남 143석 경북 204석 대구 187석 울산 88석 경남 258석 부산 262석 제주 52석

인구 기준) 8640명~17279명, 평균 12959.5명


질문 있으면 써주길 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