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경전선 광주시내구간을 고가화(송정리~광주역), 지하화(광주역~남광주~효천역), 전 구간 복선전철화 개량해서 지하철 2호선으로 했더라면...

경로: 201 광주송정(광주송정역 구내)-202 광산(위치: 우산동 대덕2차아파트 부근 연선)-203 극락강(부역명: 신가)-204 동천(위치: 빛고을대로 교차지점)-205 동운(위치: 광암고가차도 교차지점)-206 광주역(광명역, 강릉역 방식의 지상역사-반지하 플랫폼 구조로 개축)-207 계림(위치: 무등로 교차지점, 지하구간 시작)-208 동명(위치: 동명로 교차지점)-209 남광주역-210 백운(위치: 백운교차로)-211 진월(위치: 대광여고, 진월동우체국 부근)-212 효덕(위치: 광주대사거리 부근)-213 효천역(지하)

지도상으로 보니 광주 시가지 한복판을 관통하는 경로인데, 현재는 송정리~광주역 구간만 단선 로컬노선으로 남아서 잉여취급인디, 도시철도로 잘만 개량했으면 상하이 지하철 3호선 처럼 핫한 노선이 됐을지도...

[2]광주 지하철 1호선-호남선 상호직결: 평동에서 동남쪽으로 더 빼서 호남선과 직결, 목포까지 각역정차.

덤으로 호남선 상에 중간역으로 나주중앙(위치: 현재의 광주학생항일독립운동진원지 나주역사), 목포중앙(위치: 목포시청 부근 연선) 신설

실현되었더라면 서울 지하철 종로선처럼 나주, 목포에서 광주로 들어오는 수요 덕에 지금보다는 장사가 더 됐을 수도...

[3]광주 지하철 3호선: 남북축선. 대략적인 경로: 첨단신시가지~첨단대교~양산제~본촌공단~일곡동~전대후문~광주역~금남로5가역~백운역

[4]광주 지하철 4호선: 2호선과 겹치면 구도심 순환망 형성. 대략적인 경로: 봉선동~백운역~풍암지구~월드컵경기장~금호지구~상무역~시청~유스퀘어터미널~임동오거리~광주역

[5]광주지하철 5호선:  구 전남선 경로 활용. 대략적인 경로: 담양터미널~담양 봉산면~석곡동~각화사거리~군왕로~풍향삼거리~광주교대~광주역~서암대로~동운고가교~광천사거리(4호선 유스퀘어터미널역 환승)~농성역~대남대로~백운역

[6]광주지하철 6호선: 동서축선. 대략적인 경로: 산수오거리~무등로~광주역앞~기아챔피언스필드~하남대로~극락강역~목련로~하남역

[7]호남선 통근열차: 본선은 호남선 목포~송정리~장성 구간, 지선은 호남선 송정리역~(경전선 신선 경유)~화순역~(화순선 경유)~복암. 이쪽은 디젤통근열차 투입.

덤으로 경전선 신선 송정리~화순 구간은 복선화하고 남평~화순 구간은 직선화 개량.

본선 정차역: 목포-임성리-함평-나주-광주송정-하남-장성/지선 정차역: 목포-임성리-함평-나주-광주송정-서광주-효천-남평-화순-화순중앙(위치: 화순고 북쪽 연선)-동화순(위치: 동면사무소)-복암역(여기에 통근열차 차량기지 건설)

 

아, 전국 제 2의 대도시 부산도 겨우 지하철 4호선+김해경전철, 동해선 광역전철 6노선인데 광주에 지하철 6호선+통근열차는 오버이려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