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지시

수지구 풍덕천1,2동, 동천동, 신봉동, 성복동, 상현동(기흥구 보정동 서쪽 일부 편입)

수지구 죽전1,2동 제외

인구: 약 27~8만

관내 대학: 없음(있을만한 곳이 딱히 없음)

관내 철도역: 신분당선 동천역, 수지구청역, 성복역, 상현역

산자락을 따라 아파트를 많이 짓다보니 인구밀도가 생각보다 높다. 죽전이 빠진다.

시청은 수지구청을 그대로 써도 된다.(애초에 수지구청은 과천시청, 광명시청보다도 크다)

 

 

죽전시

수지구 죽전1,2동, 기흥구 보정동, 마북동, 구성동 일부(청덕지구 제외 구시가지), 처인구 모현면 일부(여긴 인구가 좀 있는 편이라 어떻게 동으로 끼워맞춰도 된다. 고기리도 고기동인데.)

인구: 약 16만명

관내 대학: 단국대학교

관내 철도역: 분당선 죽전역, 보정역, 구성역(추후 GTX 용인역 개통 예정)

옛날부터 수지와 생활권이 좀 달랐던 곳으로 죽전역이 중심지 기능을 하고 구성역이 개발된다면 구성역도 어느정도는 중심지 역할을 할 수 있다. 시청은 보정동 주민센터 옆의 부지. 죽전1,2동이 약 7만명으로 인구의 절반이 조금 넘게 차지.

 

(경계가 확실하지 않음)

기흥시

기흥구 동백동, 신갈동, 구갈동, 상하동 일부, 상갈동 대부분, 구성동(청덕지구)

인구: 약 20만명

관내 대학: 강남대학교

관내 철도역: 분당선 신갈역, 기흥역(용인경전철), 상갈역 | 용인경전철 기흥역(분당선), 강남대역, 지석역, 어정역, 동백역, 초당역

기흥역세권지구와 기흥구청, 동백 호수공원 주변이 중심지 역할을 할 수 있다.

용인경전철이 지나면서 기흥역으로 이어준다.(먹튀?)

여기도 구청이 꽤 커서 시청으로 쓰여도 될 정도지만 좀 작다면 동백에다 신청사를 짓고 2청사로 써도 된다.

 

 

(경계가 확실하지 않음)

용인시

처인구 중앙동, 역삼동, 유림동, 동부동 일부

관내 대학: 용인대학교, 명지대학교 자연캠퍼스, 용인송담대학교

관내 철도역: 용인경전철 삼가역, 명지대역, 운동장.송담대역, 고진역, 보평역

처인구청 주변과 지금 개발중인 용인시청 주변이 중심지 역할을 한다. 상당히 작다. 시청은 당연히 아름다운 현재의 청사를 쓰면 된다.

 

 

수원 편입

기흥구 영덕동 일부, 서농동 일부

관내 대학: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삼성전자 공과대학교(삼성반도체 공장 내에 위치)

여긴 사실상 수원생활권이기도 하고 흥덕역으로 유명한 흥덕지구 주민들이 그렇게 수원 편입을 해달라고 하는 곳이다. 서천지구도 마찬가지다.

 

마지막으로 나머지 구역은 안성(백암면 쪽 지역), 화성(남사면. 남사면에 동탄 생활권을 겨냥한 아파트 대단지가 들어섬) 여러므로 나눠주고 포곡(에버랜드 있는데) 쪽은 포곡군으로 만들고 인구 생기면 포곡시로 승격. 이쯤되면 걍 막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