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에 반영된 내용

[1]종각~신설동 간 종로 구간은 복복선으로 확장. 서울지하철 1, 5호선이 복복선을 병주하며 1호선은 급행, 5호선은 각역정차의 형태로 완급결합.

[2]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지선, 서울지하철 5호선 신답역은 지금보다 북서쪽 경의중앙선 신답철교와의 교차점에 건설하여 2호선 성수지선, 5호선, 경의중앙선 간 환승연계. 아울러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지선은 지금과 달리 신답에서 종착.

[3]지하철 3호선은 현재의 경복궁-안국-종로3가-을지로3가-충무로 루트로 구도심을 우회하는 대신 경복궁-종각-을지로입구-명동-충무로 루트로 명동-충무로 구간으로 구도심을 관통한다. 명동-충무로 구간은 서울 지하철 3, 4호선이 현재의 경의중앙선, 공항철도 디지털미디어시티~공덕 구간처럼 아래층에 3호선, 윗층에 4호선의 형태로 입체병주한다

[4]강남에서 논현동 일대와 신사역을 관통하는 신분당선 연장선은 하저터널로 한남, 한강진을 계속 관통하고 일직선으로 북상, 충무로, 을지로3가, 종로 3가를 관통하고 율곡로에서 꺾어져 경복궁으로 진행. 경복궁역에서 다시 꺾어져 세검정 일대를 관통한 후 녹번에서 다시 3호선과 교차. 이후 역촌, 구산을 관통하고 3호선 원당 방면으로 진행.

지도에는 언급되지 않은 개인적 사견

[1]공항철도는 서울역에서 조금 더 연장하여 독립문에서 3호선과도 환승연계

[2]신안산선은 구로디지털단지에서 보라매로 직진, 보라매-대방-샛강 구간을 신림선 경전철과 병주하며 진행한다. 이후 5호선 여의나루~서강대교~6호선 광흥창~2호선 신촌/경의중앙선 서강대~연희동~3호선 홍제로 북상하며 서울 경전철 서부선(계획 중)을 대체.

이렇게 지어졌더라면/지어진다면 어땠을/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