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먼저 도농분리된 지역을 통합한다.

2. 도와 광역시를 폐지하고 광역자치단체로 군을 둔다.

3. 군 아래에는 기초자치단체로 시, 읍, 면을 둔다.

4. 일정 규모 이상의 시 아래에는 행정구를 둔다.

5. 행정구역 통폐합이나 인구 증가로 인하여 1개 시의 규모가 커졌을 경우(한 80~90만 정도) 해당 시를 폐지하고 산하의 행정구를 자치구로 개편한다. 이 경우 광역자치단체의 명칭은 군에서 부로 바꾼다.

 

예시1 전주

1. 전주와 완주 통합.

2. 전주군 신설.

전주군 전주시, 봉동읍, 삼례읍, 용진읍, 경천면, 고산면, 구이면, 동상면, 비봉면, 상관면, 소양면, 운주면, 이서면, 화산면(필요할 경우 기초자치단체간 행정구역 조정이나 통폐합 가능)

3. 전주시 아래에 덕진구와 완산구를 둠.

4. 전주시의 인구가 증가하여 효자구가 신설되고, 삼례읍이 전주시와 통합하여 특례로 삼례구가 신설되었을 경우 행정구역을 개편하여 전주군을 전주부로 바꾸고 전주시를 폐지. 전주부 아래에 덕진구, 완산구, 효자구, 삼례구, 봉동읍, 용진읍, 경천면, 고산면, 구이면, 동상면, 비봉면, 상관면, 소양면, 운주면, 이서면, 화산면

 

예시2 창원

1. 창원은 이미 통합되어 있으니 편함

2. 창원군 신설

창원시, 내서읍, 동읍, 구산면, 진동면, 진북면, 진전면, 북면, 대산면

3. 이 상태에서 바로 창원부로 승격시킨다면

성산구, 의창구, 회원구, 합포구, 진해구, 내서읍, 동읍, 구산면, 진동면, 진북면, 진전면, 북면, 대산면

4. 내서읍은 인구 5만 명 이상이니까 내서시로 승격시킴

 

예시3 대구광역시

1. 광역시는 자체적으로 필요한 행정구역 변경이 없으면 그냥 그대로 부로 명칭만 바꿈.

2. 광역시 산하 군들은 읍면 단위로 나누고, 너무 커진 읍면들은 그대로 시로 승격시킴. 대구부 다사시 이렇게.

 

예시4 보령

1. 보령시를 보령군으로 바꾸고 그 아래에 대천시, 웅천읍, 남포면, 미산면, 성주면, 오천면, 주교면, 주산면, 주포면, 천북면, 청라면, 청소면을 둠.

 

행정구역 수장 명칭

1. 부: 부윤

2. 군: 군수

3. 시/읍/면: 시장/읍장/면장

 

정리

광역자치단체 부/군 아래에 기초자치단체 시/읍/면/구를 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