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시(春川市)


춘천시청을 기준으로, 동북쪽의 양구군청까지 직선 34km, 동쪽의 인제군청까지 직선 44km, 남쪽의 홍천군청까지 직선 25km, 서쪽의 가평군청까지 직선 20km, 북쪽의 화천군청까지 직선 25km이다. 서울특별시 경계와의 거리는 직선 59km, 서울특별시청과의 거리는 직선 75km이다.


[건치연혁]

본래 맥국이라 알려졌으나, 최근의 발굴 성과에 따르면 영서 북부 일대에 소재했던 예족 정치체의 중심지였던 것으로 보인다. 신라 선덕여왕 6년(637년)에 우수(두)주로 하여 군주를 두었다. 문무왕 13년(673년)에는 수약주(오근내 혹은 수차약이라고도 한다.)라고 일컬었고, 경덕왕이 삭주로 고쳤다가 뒤에 광해주로 고쳤다. 고려 태조 23년(940년)에 춘주로 하였고, 성종 14년(995년)에는 단련사라 하여 안변부에 예속시켰다. 신종 6년(1203년)에 고을 사람이 길이 험난하여 왕래하기에 곤란하였으므로 최충헌에게 뇌물을 주고 높여서 안양도호부로 하게 하였다. 뒤에 지춘주사로 강등하였다. 조선 태종 13년(1413년)에 지금의 이름으로 고쳐 군으로 하였다가 15년(1415년)에 준례에 따라 도호부로 승격시켰으며, 영조 31년(1755년)에 역적 정연이 태어난 읍이라 하여 춘천현으로 강등하였다. 영조 40년(1764년)에 다시 춘천도호부로 복구되었다. 고종 25년(1888년) 음력 4월 19일에 춘천도호부를 전란 시 임금의 피난처로서 춘천유수부로 승격하였으며, 음력 5월 9일에 경기 감사가 춘천부 유수를 예겸함으로서 강원도 관찰사의 관할에서 벗어나였으며 가평의 읍호를 감하하여 춘천유수부에 소속함과 동시에 접경하고 있는 홍천, 인제, 양구, 낭천, 영평을 속읍으로 하였다. 개국 503년(1895년)에 23부제가 실시되어 춘천군으로 하여 이곳에 춘천부관찰부청을 두고 아래에 12개 군을 예속시켰다가, 건양 원년(1896년)에 13도제가 실시되며 춘천부관찰부청을 강원도관찰부청으로 개청하고 아래에 25개 군을 예속시켰다. 1914년 3월 1일에 소속한 18개 면 191개 리를 12개 면 103개 리로 통폐합하였고, 1917년에 부내면을 춘천면과 동내면으로 다시 분면하며 춘천면을 지정면으로 지정하였다. 1931년 4월 1일 춘천면이 춘천읍으로 승격하였으며, 1939년 춘천읍제가 실시되며 리를 정 · 정목으로 구획하였다. 1945년 9월 2일 38선을 기준으로 이북에는 소련군이, 이남에는 미군이 진주하면서 사내면 전역과 사북면의 4개 리, 북산면의 1개 리가 소련군정에, 나머지가 미군정에 편입되었다. 소련군정 하 사내면은 금화군에, 이외의 지역은 화천군에 편입되었다. 1946년 6월 1일에는 춘천읍이 춘천부로 승격하였으며, 구획된 정 · 정목을 동 · 가로 개칭하였다. 이외의 지역은 춘성군으로 개칭되었다. 1949년 춘천부를 춘천시로 개편하였으며, 1954년 11월 17일 춘성군 수복지구 중 사내면을 화천군으로 편입하고, 이외의 지역은 춘성군으로 두었다. 1992년 춘성군이 춘천군으로 개칭되었고, 1995년 춘천시와 춘천군이 통합하여 도농복합 춘천시가 출범하여 지금에 이른다. 2023년 6월 11일, 강원도가 강원특별자치도로 개편되면서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로 새로이 출범할 예정이다.


[속현] 없어졌으므로 생략


[관원] 시장 1, 부시장 1, 시장 직속 담당관 4, 부시장 직속 담당관 2, 본청 산하 국 5 및 산하 과 35, 직속기관 2 및 산하 과 10, 사업소 6 및 산하 과 5, 관 3, 읍면동 25, 의회사무국 1. 공무원 정원은 1,842명.


[군명] 우수, 수약, 오근내, 삭주, 광해, 춘주, 안양, 수춘, 봉산, 봄내


[성씨] 정(청산, 봉화), 지(단양), 박(영암, 춘천), 최(수성, 강릉), 용(홍천), 길(해평), 김(원주), 송(진천), 남궁(함열)

수록 예시)

본관 인구 전국비율/지역비율

청산 745 29.4

영암 881 21.7

춘천 1959 18.1

홍천 701 8.65

해평 827 6.66

수성 2057 6.01

봉화 862 5.69

원주 397 5.37

진천 981 5.37

함열 618 5.33

강릉 4320 5.31


인구비율 0.1% 이상, 전국 인구비율 대비 지역 인구비율 5배 이상을 기준으로 잡았습니다.

더 나은 기준 있으면 제시해주시면 반영 고려해 보겠습니다!


[풍속] 풍속이 순후하고 아름답다(신증동국여지승람 - 이선제의 시에 있다)


[산천]

봉의산 : 시청의 동북쪽 직선 1km에 있는 춘천의 진산이다.

청평산 : 다른 이름은 경운산이며, 현대에는 오봉산이라고도 부른다. 시청의 동북쪽 직선 13km에 있다. [이하 신증동국여지승람 각주 내용 검토 후 작성]

용화산 : 시청의 북쪽 직선 17km에 있다.

화악산 매봉 : 시청의 서북쪽 직선 21km에 있다. 응봉이라고도 한다.

대룡산 : 시청의 동남쪽 직선 9km에 있다. 순우리말을 한화한 지명인데 이두식 표현으로는 여매압산이라고 한다.

석파령 : 시청의 서남쪽 직선 9km에 있다.

우두산 : 시청의 북쪽 직선 4km에 있다.

모진 : 시청의 서북쪽 15km에 있다. 회양의 덕진, 금성의 보리진, 낭천의 대리진(현재의 대이리)은 그 상류이다. 현재는 춘천댐 건설로 인해 수몰되었다.

신연진 : 시청의 서남쪽 6km에 있다. 소양강의 하류이며, 현재는 의암댐 건설로 인해 수몰되었다.

소양강 : 시청의 북쪽 2km에 있다. 근원이 인제군 서화면 이포리에서 나와서 홍천군 내면에서 나온 내린천과 합류하여 양구군의 남쪽에 이르러서 초사리탄이 된다. 또 시의 동북쪽에 이르러 청연이 되고 주연이 되며, 적암탄이 되고 소양강이 된다. [이하 신증동국여지승람 각주 내용 검토 후 작성]


[토산] 지역 유명 토산품 + 닭갈비, 막국수, 된장소면, 장칼국수


[누정]

소양정 : 소양강 언덕에 있다. 예전에도 소양정이라고 불리다, 이요루라고도 불리었다.

봉의루 : 객관의 북쪽에 있었으며, 현재는 소실되었다. 요선당의 누각이었다는 설이 있다.


[학교]

향교 : 시청의 동쪽 직선 400m에 있다.

강원대학교 : 시청의 동남쪽 직선 2km에 있다.

한림대학교 : 시청의 동북쪽 직선 1km에 있다.

춘천교육대학교 : 시청의 동남쪽 직선 3km에 있다.

한림성심대학교 : 시청의 동북쪽 직선 3km에 있다.

송곡대학교 : 시청의 서남쪽 직선 12km에 있다.


[역원]

보안역 : 시청의 동쪽 직선 2km에 있었다.

원창역 : 시청의 남쪽 직선 11km에 있었다.

안보역 : 시청의 서남쪽 직선 16km에 있었다.

인람역 : 시청의 서북쪽 직선 13km에 있었다. 현재는 그 자리가 춘천댐 건설로 인해 수몰되었다.

부창역 : 시청의 동북쪽 직선 15km에 있었다. 현재는 그 자리가 소양댐 건설로 인해 수몰되었다.

약사원 : 시청의 남쪽 직선 1km에 있었다.

율장원 : 시청의 서남쪽 직선 16km에 있었다. 안보역 옆에 소재하였다.

청평원 : 시청의 동북쪽 직선 11km에 있었다. 현재는 그 자리가 소양댐 건설로 인해 수몰되었다.

덕두원 : 시청의 서남쪽 직선 6km에 있었다.


[창고]

소양강창 : 시청의 서쪽 직선 3km에 있었다. [이하 신증동국여지승람 각주 내용 검토 후 작성]


[불우]

신증동국여지승람 내용 검토 후 작성하시면 됩니다.


[사묘]

신증동국여지승람 내용 검토 후 작성하시면 됩니다.


[총묘]

장절공신숭겸묘역 : 시청의 서쪽 직선 7km에 있다.


[고적]

옛 난산현 : 시청의 서북쪽 직선 13km에 있었다. 본래 고구려의 석달현이다. 신라 경덕왕이 난산현으로 고쳐 우두주의 관할현으로 하였다.

유곡부곡 : 

으억 힘들다... 내일 내로 다시 방문해주시면 추가되어 있을거에요ㅠㅠ 전 대회 자료 제작하러...


[명환]


[인물]


[우거]


[효자]


[제영]


[방리]


[성지]


[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