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대한제국은 1905년 을사조약으로 외교권을 빼앗기기 전까지 여러 나라와 근대적 외교관계를 수립해 왔음


일본 제국 - 조일수호조규(a.k.a. 강화도 조약, 1876), 조일통상장정(1883)

미국 - 조미수호통상조약(1882)

청나라 -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1882), 한청통상조약(1899)

영국 - 조영수호통상조약(1883)

독일 제국 - 조독수호통상조약(조덕통상조약, 1883)

이탈리아 왕국 - 조이수호통상조약(1884)

러시아 제국 - 조로수호통상조약(조아통상조약, 1884)

프랑스 - 조불수호통상조약(조법통상조약, 1886)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조오수호통상조약(1892)

벨기에 - 한백수호통상조약(한비수호통상조약, 1901)

덴마크 - 조정수호통상조약(1902)


이 가운데 현재 대한민국 외교부에서는 일본(1965), 중국(1992), 러시아(1990, 당시 소련), 덴마크(1959)를 제외한 나머지 국가들은 해당국과의 수교 시점을 이 시기로 규정하고 있음


그렇다면 해당국들은 한국과의 외교 관계에 대해서 어떻게 규정하고 있을까?



1. 미국


미국 국무부 홈페이지 중 외교사를 다루고 있는 페이지가 있음


https://history.state.gov/countries/all


여기를 보면


조선-대한제국을 다루고 있는 Korea와


대한민국을 다루고 있는 Republic of Korea (South Korea) 페이지가 따로 있음

(미국은 북한을 승인하지 않았으므로 북한은 없음)


https://history.state.gov/countries/korea


Korea 페이지에 들어가 보면 미국은 조미수호통상조약이 비준되고 주한 공사관을 설치한 1883년 5월 20일을 수교 시점으로 정하고 있어 체결일인 1882년 5월 22일을 수교 시점으로 정하고 있는 대한민국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음


그리고 1905년 11월 17일 을사조약에 의해 외교권이 박탈당하고 11월 28일 미국 공사관이 철수하면서 외교 관계가 끝났다고 규정하고 있음


https://history.state.gov/countries/korea-south


그리고 Republic of Korea (South Korea) 페이지에는 미국이 대한민국을 승인한 1949년 1월 1일부터만 기재되어 있고, 외교 관계 수립 시점도 1949년 3월 25일로 규정하고 있음


그렇다면 국체가 여러 번 바뀐 독일이나 러시아는 어떻게 기술하고 있을까?



https://history.state.gov/countries/germany


미국은 독일과의 외교사를 프로이센과의 수교 시점인 1797년부터 설명하고 있음


https://history.state.gov/countries/russia


마찬가지로 러시아와의 외교사도 1809년 러시아 제국과의 수교 시점부터 설명하고 있음


그럼 미국과 국제사회가 승계를 인정하지 않은 유고슬라비아-세르비아에 대해서는 어떻게 설명하고 있을까?


https://history.state.gov/countries/kingdom-of-yugoslavia


세르비아 왕국-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구 유고 연방) 페이지에는 1882년부터 1992년까지의 관계를 적고 있음


https://history.state.gov/countries/serbia


세르비아 페이지에는 1992년 미국이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신 유고 연방)을 구 유고 연방의 계승자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내용을 적시하면서 이 때부터의 외교사만 다루고 있음


따라서 미국은 조선-대한제국과의 수교에 대한 대한민국의 승계를 인정하지 않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음


다만 묵시적으로는 2012년 주한미국대사관이 한미수교 130주년 특별전을 후원하기도 함



2. 영국


영국 정부 홈페이지나 주한영국대사관 사이트에서는 외교사에 대해 딱히 다루고 있지는 않음


다만 주한영국대사관에서 2013년 5월에 열린 여왕의 생일 파티를 한영 수교 130주년 기념식과 같이 진행한 것을 통해 영국도 대한민국과의 수교 시점을 1883년으로 인정하고 있음을 간접 확인할 수 있음


https://www.gov.uk/government/news/130-years-of-ties-celebrated-at-queens-birthday-party

당시 영국 정부 홈페이지에 올라온 뉴스



3. 독일


https://www.auswaertiges-amt.de/de/aussenpolitik/laender/korearepublik-node/suedkorea/216118

독일 외교부 홈페이지


독일 외교부에서는 대한민국과의 수교 시점을 1957년 5월 25일로 규정하면서 과거의 수교 기록을 간주하지 않고 있음


다만 이러한 스탠스는 한국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에도 모두 동일하게 적용돼서 프로이센, 독일 제국, 바이마르 공화국, 나치 독일이 체결한 외교 관계는 일절 인정하지 않고, 독일 연방 공화국(서독)과 독일 민주 공화국(동독)과의 외교 관계 수립만 적고 있음


따라서 독일 정부는 미국과의 수교도 1951년 7월 2일로 규정하고 있음

https://www.auswaertiges-amt.de/de/aussenpolitik/laender/usa-node/usa/203568

독일 외교부 홈페이지



4. 이탈리아


https://ambseoul.esteri.it/ambasciata_seoul/ko/i-rapporti-bilaterali/i-rapporti-bilaterali.html

주한이탈리아대사관 홈페이지


이탈리아는 대한민국의 외교 관계 승계를 인정하여 양국의 수교 시점을 1884년으로 규정하고 있음


1956년 외교 관계 '재개'라는 표현을 통해서도 외교 관계 승계를 인정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5. 프랑스


https://kr.ambafrance.org/%EC%97%AD%EC%82%AC,411

주한프랑스대사관 홈페이지


북한을 국가로 승인하지 않은 프랑스 역시 양국의 외교 관계 수립 시점을 1886년으로 인정하며, 1949년 대사관 '재개관'이라는 표현을 사용함


한불수교 130주년 기념 로고



6. 오스트리아


https://www.bmeia.gv.at/ko/oeb-seoul/oesterreich-und-korea/



양국 관계 '130주년'이라는 표현을 통해 승계를 인정하는 것으로 보임



2012년 오스트리아 빈에 내걸린 한오수교 120주년 기념 팜플릿


2022년 한오수교 130주년 기념 로고


오스트리아 빈 트램의 한오수교 130주년 기념 외장


7. 벨기에


https://republicofkorea.diplomatie.belgium.be/ko/2021-han-bel-sugyo-120junyeon-ginyeomyi-hae

주한벨기에대사관 홈페이지


아예 2021년 당시 한-벨 수교 120주년이라고 못을 박아놓음


이렇게 기념 로고도 만들었고


https://koreabelgium120.com/


한술 더 떠서 아예 주한벨기에대사관 측에서 한벨수교 120주년 기념 홈페이지까지 개설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