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드백은 댓글로 받습니다.


원역사와 다른 점:

북진통일 완수(북진통일 세계관과 평행세계 및 대치주공과 같은 세계관)

인천은 1963년 서울에 합병되었고, 독자 정체성이 있는 원인천을 제외한 동부 및 부평 지역은 완전히 서울에 동화된 상태.

성남의 시 승격은 1981년, 하남은 1992년에야 승격

고양의 시 승격은 1973년

금촌시 승격-1981년

김포시 승격-1986년

서울 부천군이 도서 지역을 관할 중.

세종특별자치시는 당연히 없고, 2018년 조치원읍 5만명 돌파로 시 전체가 연기시로 승격.

경부고속도로의 선형이 수원-군포-안양-영등포를 거쳐 경의고속도로와 직결. 원역사의 선형은 1990년대 언주신도시 교통대책으로 제2경부고속도로로 건설.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는 천호시 미경유

광명시는 완전히 서울에 합병되어 시흥구의 일부가 됨.

중동신도시 개발이 197-80년대(중동신시가지개발사업)

부평이 원역사의 강남3구 지위

3번 국도는 강남대로-헌릉로-청계산로-대왕판교로

잠실 일대 한강이 송파강 본류로 지나가는 상태. 신천강은 샛강이 되어 잠실은 광진구 소속.

본인이 연재 중인 북진통일 세계관보다 수도권 집중이 심함.

원역사의 광명시흥신도시-80-90년대 개발 및 일부 그린벨트

1기 신도시는 상계, 언주, 송파천호, 운정, 평촌, 김포, 일산화정

2기;분당1/2, 도곡개포, 권선, 양주, 동탄, 통진, 기흥수지, 강일미사, 조리, 세교

3기:고덕, 위례, 삼송, 계양, 다산, 백석, 과천


강난 3구 대신 강남 4시.


언주시:

1981년 양재시 언주출장소가 시로 승격. 양재시와는 영남대로를 경계로 맞대는 중. 1970-80년대부터 차근차근 개발이 시작되었고, 1990년대 1기 신도시인 언주신도시가 건설되면서 본격적인 서울 위성도시화. 원역사의 분당 포지션. 47번 국도의 언주대교(원역사의 영동대교)는 1989년 건설. 한편 2기 신도시인 도곡개포신도시 사업지이기도 하며, 이 신도시에 포함된 언주테크노밸리 사업이 대성공을 거두며 폭발 중.


양재시:

원역사의 서초구. 양재대단지사건에 대한 보상으로 1973년 시로 승격. 승격과 동시에 언주출장소를 설치해 1981년 시로 분리. 원역사의 강남대로와 비슷하게 영남대로가 뚫려 있고, 제3한강교라는 이름은 마포대교가 가져갔고, 양대재교는 1975년 개통. 1970-80년대에 건쳐 서울의 배후 주거지로 개발. 원역사의 성남시 구시가지 포지선. 한편 시가지 서쪽으로는 그린벨트가 있는 상태.


송파시:

1986년 광주군 송파출장소가 시로 승격. 천호시와 밀접하게 관계를 맺는 중. 1기 신도시 중 최대 규모인 천호송파신도시가 위치 중으로, 많은 문화재로 인해 수도권판 경주가 되는 중.


천호시:

송파시와 마찬가지로 문화재가 많아서 여기도 저층 위주. 1986년 송파시와 동시 승격. 천호동 일대가 최대 중심지. 천호송파신도시가 존재. 한편 2기 신도시인 강일미사신도시가 건설 중. 3기 신도시인 고덕신도시가 개발 예정.


노해시:

1981년 양주군 노해출장소가 분리되어 노해시로 승격. 이와 동시에 양주군 반갈죽. 1기 신도시인 상계신도시가 존재. 경원고속도로가 지나가는 상태. 현재도 서울의 배후 택지지구가 개발 중. 원역사의 의정부시에서 자족기능을 뺀 포지션. 


성남시:

원역사와 달리 크게 성장하지 못한 상태지만 1980년대 중반-말 성남주공아파트로 인해  구시가지가 개발되었고, 2기 신도시 최대 사업지인 분당1,2신도시(원역사의 동탄 포지션)와 3기 신도시인 위례신도시가 예정으로 빠르게 성장 중.


안양시 과천출장소:

3기 신도시인 과천심도시가 들어올 예정. 그냥 평범한 안양권 위성도시. 지역번호 역시 032.


금촌시:

운정신도시는 1기 신도시로 개발. 서울의 위성도시.


문산시:원래 개성 위성도시였으나, 개성의 신도시 개발과 경의중앙선 확장으로 서울 위성도시화가 가속화되고 있고(완전하지는 않고 수원 정도), 2시 신도시인 월롱탄현신도시로 인해 문산도 이제 서울에 빨려들어갈 운명.


용인시:원역사와 달리 신도시로 개발되어 난개발이 원역사보다는 나은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