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단 표기


군단 미표기 


편제 


제1작전사령부(북부사령부, 평안도, 함경도 관할) 사령부 평양

 - 직할대

  * 제25지역방위사단(평안북도 관할) 사단본부 구성

  * 제27지역방위사단(함경북도 관할) 사단본부 영광

 - 제1군단(평안북도 서부 관할) 군단본부 정주

  * 제1보병사단(평안북도 해안 및 서북부 관할) 사단본부 철산

  * 제9보병사단(평안북도 중부 지방 관할) 사단본부 대관

 - 제2군단(평안북도 동부 및 함경남도 관할) 군단본부 영광

  * 제7보병사단(평안북도 동부 관할) 사단본부 강계

  * 제15보병사단(함경남도 북부 관할) 사단 본부 삼수

  * 제66보병사단(함경남도 동남부 해안 관할, 동원사단) 사단본부 북청

  * 제73보병사단(함경남도 남부 관할, 동원사단) 사단본부 문천

 - 제3군단(함경북도 관할) 군단본부 청진

 * 제12보병사단(함경북도 동부 관할) 사단본부 회령

 * 제21보병사단(함경북도 서부 관할) 사단본부 청진

 - 제7기동군단(평안남도 및 유사시 대응) 군단본부 평양

  * 제2신속대응사단(평안남도 중부 및 후방 교란) 사단본부 순안

  * 제8기동사단(평안남도 북서부) 사단본부 안주

  * 제11기동사단(평안남도 북중부) 사단 본부 개천

  * 제75보병사단(평안남도 관할, 동원사단) 사단본부 순천


중부작전사령부(황해도, 경기도, 강원도 관할) 사령부 개성

 - 직할대

  * 제28지역방위사단(황해도 동부) 사단본부 신계

  * 제55지역방위사단(경기도 남동부)

 - 수도군단(경기도 북부 방어)

  * 수도기계화보병사단(경기도 북서부) 사단본부 개성

  * 제56지역방위사단(경기도 북중부) 사단본부 고양

  * 제72보병사단(경기도 북동부, 동원사단) 사단본부 양주

 - 제5군단(황해도 전역) 사령부 사리원

  * 제3보병사단(황해도 북부) 사단본부 송림

  * 제5보병사단(황해도 중서부) 사단본부 신천

  * 제6보병사단(황해도 남부) 사단본부 해주

  * 제60보병사단(황해도 중부, 동원사단) 사단본부 사리원

 - 제8군단(강원도 전역) 사령부 춘천

  * 제22보병사단(강윈도 북부) 사단본부 고성

  * 제36지역방위사단(강원도 남부) 사단본부 원주

 

제2작전사령부(충청도, 전라도, 경상도) 

 - 현재 편제 그대로 유지


수도방위사령부(서울 및 경기도 남부 방어) 사령부 본부

 - 제17보병사단(인천 및 경기도 서부 해안) 사단본부 인천 부평

 - 제51지역방위사단(경기도 남서부 해안) 사단본부 화성

 - 제52보병사단(서울 전역, 동원사단) 사단본부 광명


실수로 52사단 넣는거 깜빡함

대충 가상 적국 중국군으로 상정하고 중국군이 집중공격할 진격로에 대부분의 사단 배치

지상작전사령부를 제1작전사령부와 중부작전사령부로 개편

일부 사단은 지역방위사단으로 감편(25, 27)하고 일부 정규 사단 역시 평시에는 감편


이외에도 해병대 6여단은 본부는 옹진군으로 이동하고 대대급 병력만 각 섬에 남긴다던가 2사단은 평안도 쪽으로 이동시킨다던가

해군은 3함대가 전라남도 서해안과  경상남도 동해안 까지 관할하게 한 후 1함대를 함경도까지 2함대를 평안도까지 확장 아니면 함대를 신설

공군은 8비(원주) 10비(수원), 16비(예천), 17비(청주)를 각각 구성, 순천, 함흥, 사리원으로 이전하고 함경북도 주둔 비행단 소규모 신설 방공포는 1여단 삼남지방 관할로 확장 2여단이 강원, 함경 3여단이 경기 황해한 후 4여단 신설 평안 관할


육군을 감축하고 해공군을 늘리는 방향으로 가야할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