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사회해체이론의 배경과 의의

 

사회해체이론은 산업화 · 도시화에 의한 범죄의 증가현상을 개인적 결함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는 사회병리학이 한계에 이르러 등장한 이론으로 도시화 · 산업화 등으로 기존의 사회체제가 붕괴되어 현존하는 사회적 행동기준이 개인에 대하여 미치는 영향력이 감소하여 사람들의 반사회적 태도가 증가하고 규범준수에 대한 사회구성원의 공감대가 약화되어 범죄의 원인이 된다는 이론이다.

 

 

② 사회해체론자

 

Cooley, Thomas등의 초기사회학들이 제창하였으며 Queen, Elliott & Merrill, Thrasher, Znaniecke, Ogburn, Shaw & Mckay등에 의하여 발전하였다. 특히 Bursik은 Shaw & Mckay의 이론이 사회해체와 범죄와의 관계를 명확히 설명하지 못하는 한계를 비판하면서 사회해체의 원인으로 주민이동과 주민이질성에 의한 비공식적 감시기능의 약화 · 행동지배율의 결핍 · 직접통제의 부재 등을 들고 있다.

 

 

③ 사회해체이론의 사회정책

 

사회해체의 근원적인 원인인 도시화 · 산업화는 대책을 세울 수도 없고, 세우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직접적인 원인인 사회 통제력의 약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역 내의 관습적 가치를 지닌 책임감 있는 성인들을 단합시켜 도시지역사회를 재조직함으로써 사회 통제력을 증진시키는 것이 사회해체에 대한 사회정책이다.

 

 

④ 사회해체이론의 영향

 

사회해체이론은 범죄의 지역성에 관한 연구로 미국 사회학적 범죄이론의 기초를 제공하여 차별적 접촉이론과 아노미이론에 영향을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