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글은 가상입니다. 피드백은 댓글로 받습니다.


<도시환경정비구역>

원역사의 서울의 도시환경정비사업과 비슷하나, 이 세계관에서는 평양, 부산 등의 대도시에서도 도심 재개발이 추진됨.(서울/평양/부산/함흥/대구에 추진됨)


파란색의 경우에는 고층 업무용 타워가 들어섰고, 노란색은 주상복합이 들어선 상태.


도심 재개발 결과, 평양에 고층 오피스 건물이 많아졌고, 1900년대 당시 건설된 신시가지는 재개발로 많이 갈아엎어졌음. 한편 당시 평양대학교 의대로 쓰였던 풍경궁으로 인해 고도 문제가 촉발되는 중.


반면, 평양 구도심은 고도제한구역으로 두어 고층 건물이 못 들어서게 하였습니다.


<경의선 광역전철>

경의선 광역전철의 경우 수도권 전철 경의선(해당 세계관에서는 경의선의 수요가 매우 많기 때문에 중앙선과의 직결운행은 원천적으로 불가능함)과는 별개로 운행되며, 노선색은 짙은 남색임.(수도권 전철 경의선과의 구분을 위해 노선색을 다르게 함)


1991년에 1기 신도시 교통대책으로 최초로 개통되었으며, 현재 납작이, 동글이, 뱀눈이 열차가 다니는 중이고 기존의 신저항이나 노후화된 납작이 대체를 위해 주둥이가 다니고 있는 중. 평안도의 핵심 간선 철도 노선으로, 출퇴근 시간에는 지옥철이 되기 일쑤.


광역전철 역 목록:

K901 흑교역-광역전철 기점

K902 중화역

K903 역포역-관리역, 평양 1.10호선과 환승

K904 검포역-광역전철 전용

K905 남평양역-광역전철 전용

K910 강남역-광역전철 전용

K911 대동강역

K912 평양역:관리역, 평남선과 평양 도시철도 1,2,3,7호선 환승가능

K913 대타령역-광역전철 전용

K914 서평양역- 평양 도시철도 6호선과 환승

평양조차장역-미정차(여객 미취급)

K915 서룡역-광역전철 전용

K916 서포역-평원선과 분기, 10호선 환승가능

K917 간리역-일반노선인 간리선과 분기

K918 순안역-1.9호선과 환승 가능

K919 영유역-광역철도 종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