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개괄 ==

의외로 여기서 한 번도 다룬 적이 없길래 만들어보았다. 2020년 8월 31일 주민등록인구 현황을 토대로 제작하였다.


== 군청 소재지보다 타 지역에 인구가 많은 사례 ==

군 이름 가나다순. 왼쪽이 군청소재지, 오른쪽이 비군청소재지다.


간성읍-토성면

기장읍-정관읍

논공읍-다사읍, 현풍읍, 옥포읍, 유가읍, 화원읍

무안읍-삼향읍 (남악)

보성읍-벌교읍

연천읍-전곡읍 (아마 연천보다 전곡이란 지명이 더 유명하기 않을까 싶다.)

영암읍-삼호읍

예천군-호명면(...)

용진읍-삼례읍, 봉동읍, 이서면(...)

청량읍-온산읍, 언양읍, 온양읍, 범서읍, 삼남면(...)

음성군-금왕읍

갈말읍-동송읍

청송읍-진보면(...)

평창읍-진부면(...)

가야읍-칠원읍 (근데 인구 차이가 1000명도 안 됨.)


전국 82개 군 가운데 15개 군이 이에 해당한다.


== 전국 군청소재지 인구밀집도 ==

역시 군 이름 가나다순이며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였다.

★는 앞에서 언급된 적 있는 곳이 해당된다.


가평군 - 31.25%

강진군 - 39.59%

강화군 - 32.92%

거창군 - 66.36%

고령군 - 32.17%

고성군(간성) - 26.07%  

고성군 - 47.65%

고창군 - 38.98%

고흥군 - 19.29%

곡성군 - 27.94%

괴산군 - 26.61%

구례군 - 42.14%

군위군 - 35.32%

금산군 - 44.39%

기장군 - 30.85%  

남해군 - 39.71%

단양군 - 36.42%

달성군 - 7.21% (전국 꼴찌)  

담양군 - 31.04%

무안군 - 12.85%  

무주군 - 39.3%

보성군 - 22.57%  

보은군 - 45.68%

봉화군 - 31.6%

부안군 - 39.95%

부여군 - 31.15%

산청군 - 19.62%

서천군 - 26.49%

성주군 - 31.77%

순창군 - 36.75%

신안군 - 14.88%

양구군 - 63.94%

양양군 - 44.49%

양평군 - 25.8%

연천군 - 18.13%  

영광군 - 40.93%

영덕군 - 30.43%

영동군 - 44.34%

영암군 - 15.42%  

영양군 - 43.68%

영월군 - 54.63%

예산군 - 42.81%

예천군 - 26.85%  

옥천군 - 57.44%

옹진군 - 0% (관내에 군청이 없음)

완도군 - 36.57%

완주군 - 7.8%  

울릉군 - 70.84%

울주군 - 8.72%  

울진군 - 28.77%

음성군 - 18.18%(...)  

의령군 - 35.35%

의성군 - 26.05%

인제군 - 29.56%

임실군 - 26.96%

장성군 - 30.23%

장수군 - 33.39%

장흥군 - 40.76%

정선군 - 29.07%

증평군 - 94.88% (전국 1위. 근데 1읍 1면이라 애매하긴 함. 증평이랑 울릉 빼면 거창이 1위.)

진도읍 - 35.23%

진안군 - 39.94%

진천군 - 36.74%

창녕군 - 27.81%

철원군 - 26.91%  

청도군 - 24.29%

청송군 - 20.81% (전국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군청소재지라는데 퍼센트로 계산하면 뒤에서 11등임.)  

청양군 - 32.16%

칠곡군 - 29.25%

태안군 - 47.21%

평창군 - 20.62%  

하동군 - 22.32%

함안군 - 30.45%  

함양군 - 47.11%

함평군 - 26.34%

합천군 - 25.8%

해남군 - 35.91%

홍성군 - 38.35%

홍천군 - 50.4%

화순군 - 62.5%

화천군 - 33.86%

횡성군 - 44.79%


전국 82개 군 가운데 군청소재지에 군민의 절반 이상이 사는 지역은 8개 군이 해당된다.


다음 소재는 시청 소재지보다 타 지역에 인구가 많은 사례 및 전국 시청소재지 인구밀집도인데 언제 올라일지는 알 수 없다만 재수 없으면 추석에 올라올지도 모름. 중딩때같았으면 바로 올렸을텐데.. 쩝 중딩때 공부 안 한걸 자랑이라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