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에 엑셀 함수로 만들어놨던 인구성장 모델 써먹어보고 싶어서 다소 과몰입으로 보일 수 있음 주의;

-하와이의 전체 인구 추이


*추후 북해도 도시화 프로젝트도 해보고 싶어서 일본 인구 2천만 정도 늘어남


-하와이의 인구구조학적 특징

1. 태평양 전쟁 당시 격전지였던 하와이는 일본 본토에 비해 1945~1946년 출생 감소 경향이 두드러짐.

2. 미군정 당시 본토보다 가까워 당국의 입김이 거셌던 영향으로 산아제한책이 강력하게 실행되어 베이비붐이 상대적으로 미미했고, 이후의 출생 감소도 확연하게 나타남.

3. 1960년대 이후 본토보다 출산율이 높아질 수 있도록 사회/문화 환경적 요인이 조성되어 본토보다 높은 출산율을 유지함. 1990년대 말까지 합계출산율 2명대를 상회했음.

4. 대부분의 연령에서 타 지역으로부터의 순유입이 두드러지나 20대 초반~중반에서는 본토로의 유출 경향을 보임. 비교적 관광업 의존도가 높은 점 등 본토(특히 도쿄 수도권)에 비해 열악한 경제 사정이 청년층의 유출을 불러오는 것으로 보여짐.


-하와이의 근30년간 인구변동 (청록-자연증감, 연청-사회증감, 빨간 실선-전체 증감)

1. 30년간 꾸준히 사회증가가 유지되고 있음.

2. 2000년대 출산율 감소 여파로 자연증가분이 급감. 2017년 처음으로 인구의 자연감소가 나타났으며, 이는 일본 전체 자연감소 시작 시점인 2005년보다 12년 늦은 것임. 2018년부터 자연감소폭이 완화되는 듯 했으나 2022년 하와이에도 코로나가 대유행하며 사망률이 늘어나 역대 최대 자연감소폭을 기록함.

3. 2010년대 이후 일본 국내 귀농/전원 생활 열풍으로 본토로부터 하와이로 유입되는 인구가 증가했음.


-연령별 순이동 현황 (2021)

1. 대부분의 연령에서 양호한 수준의 순유입을 보이나 20대에서만 상당한 인구가 유출되고 있음.

2. 본토에서 경제활동을 끝냈거나, 안정적인 커리어를 쌓아놔 이직이 비교적 자유로운 중년~고령자의 유입에 의한 기여도가 큼. 19세 미만의 순유입은 40대~50대 가구주의 이주에 따른 가구원으로서의 합류로 보여짐.


(오키나와는 규슈 포함)

-하와이~타 지역별 인구 이동 현황 (2021)

1. 간토 지역을 제외한 전체 지역에서 하와이로의 순유입이 나타남.

2. 간토 지역에게 인구를 뺏기고 있고, 긴키권도 순유입이 유달리 적은 것을 미루어 보아 하와이에서 유출되는 20대 인구 대부분이 거대도시권인 도쿄와 오사카로 전출되고 있음을 재확인할 수 있음.


-

지도는 예상보다 할 게 급격히 많아져서 다 작업하고 나중에 들고 오겠음; 원래 난 인구지리도 엄청 좋아해서 여튼 구경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