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구군 행정구역 지도>

<양구읍 시가지 지도>

<문등읍 시가지 지도>

강원도의 자치군

楊口郡 / Yanggu County

현청 소재지 : 양구읍 관공서로 38 (하리)

광역자치단체 : 강원도

하위 행정구역 : 2읍 4면

인구 : 16,319명


<개요>

강원도의 자치군.


<역사>

1950년 - 통일 전쟁 이후 경기북강원도에서 강원도로 복원되었다.

1963년 - 북면을 양구면으로 편입하였다.

1966년 - 수입면이 문등읍으로 승격되었다.

1979년 - 양구면이 양구읍으로 승격되었다.


<경제>

금강산으로 가는 도로가 있어서 숙박업이 주를 이루고 있다. 한때 문등읍을 중심으로 형석 채굴이 숙박업과 함께 군의 주요 경제였으나, 90년대 채산성이 감소해 형석 광산이 폐쇄되면서 몰락했다.


<인구 감소>

강원도에서 화천, 인제와 함께 인구(대부분 춘천으로 유출되고 있다.)가 빠르게 감소하고 있는 지역으로, 시내 곳곳에 폐건물이 급증하고 있어 빈집 문제가 군의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폐건물 문제>

위에서 언급했듯이, 양구의 인구가 급속도로 감소하면서 폐건물들이 증가하고 있다. 폐건물들의 증가로 우범지대가 증가하고 있으며, 일부 인터넷 방송인들의 무단 침입으로 주민들에게 민폐를 끼치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인 예시로는 문등읍에 있는 문등가든이 있다.


<교통>

국도는 31번 국도(동래시 기장구 - 함경남도 안변현 신고산읍)와 46번 국도(인천시 화도진구 - 고성군 간성읍)가 지나가고 있다. 고속도로와 철도는 지나가지 않는다.


<문화>

화가 박수근의 고향으로, 양구읍에 박수근미술관이 있다.


<정치>

금화군, 회양군, 화천군, 인제군과 함께 선거구를 이루고 있다.


<하위 행정구역>

양구읍(楊口邑) : 하(下), 고대(高垈), 공(恭), 공수(公須), 군량(軍糧), 도사(都沙), 동수(東水), 상(上), 상무룡(上舞龍), 석현(石峴), 송청(松靑), 수인(水仁), 안대(安垈), 웅진(雄津), 월명(月明), 이(泥), 정림(井林), 죽곡(竹谷), 중(中), 학조(鶴鳥), 한전(閑田)

인구는 8,613명.

군청소재지이다. 읍내에 박수근미술관이 있으며, 박수근 거리가 조성되어 있다.

문등읍(文登邑) : 문등(文登), 송거(松巨), 내(內), 백현(栢峴), 근(芹), 수청(水靑), 청송(靑松), 두포(杜浦), 석사(石寺), 지혜(智惠), 분지수(分池水), 인패(印佩), 암(巖), 오천(烏川), 점방(占方), 지경(地境), 대정(大井), 천(泉)

인구는 5,116명.

양구군청 문등출장소가 있다.

형석 광산으로 유명한 지역으로 한때 인구가 2만 명을 넘어 양구면보다 먼저 읍으로 승격될 정도로 번성하였으나, 광산이 폐쇄되면서 인구가 급속도로 감소하였다.


남면(南面) : 용하(龍下), 가오작(佳伍作), 구암(九巖), 도촌(桃村), 두무(斗武), 명곶(明串), 송우(松隅), 심포(深浦), 야촌(野村), 원(院), 적(笛), 죽(竹), 창(蒼), 청(晴), 황강(黃崗)

인구는 1,065명.


동면(東面) : 임당(林塘), 덕곡(德谷), 비아(比雅), 사태(沙汰), 원당(元塘), 월운(月雲), 지석(支石), 팔랑(八郞), 후곡(後谷)

인구는 965명.


방산면(方山面) : 현(縣), 건솔(乾率), 고방산(古方山), 금악(金岳), 송현(松峴), 오미(五味), 장평(長坪), 천미(天尾), 칠전(漆田)

인구는 1,001명.


해안면(亥安面) : 현(縣), 만대(萬垈), 오유(五柳), 월산(月山), 이현(泥峴), 후(後)

인구는 559명.

양구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하위 행정구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