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전선

전선이란 서로 다른 두 기단 사이에서 밀도차이에 의해 발생하는 불연속선을 전선이라고 하며 중위도의 가장 특징적인 대기현상 중 하나임.

전선이 자주 발생하는 곳을 전선대라고 하고 성질이 서로 다른 기단이 만나는 면은 이제 전선면이라고 함


전선의 특징들로는

1.전선이 발달한 지역은 대부분 저기압이 나타나는데 그 이유는 두 유체가 만나면 접촉면에서 파장이 생겨 진동이 일어나는데, 진동이 계속 일어나면 공기가 혼합되고 상승기류가 생겨서 저기압이 발달함.

2. 두 기단의 온도 차이가 클 수 록 강한 전선이 발달하고

3. 전선 상층부의 이동속도가 하층부보다 빠른데 이는 하층부의 경우 지표의 영향을 받기 때문임. 이로 인해서 전선이 기울어지게 되는 것임.


다음으로 한대전선이론에 대해 알아보면

한대전선이 특징있는 생멸의 과정을 겪으면서 전선을 발달시키거나 전선을 따라 이동하는 저기압 파동을 발생시킨다는 이론으로 중위도 저기압이 한대-열대기단 사이에서 나타나는 한대전선상의 파동에서 시작한다는 것을 설명하는 것에 목적이 있고 노르웨이의 베르겐 학파에 의해 만들어짐.


한대전선이론의 단계를 보면

1단계: 차가운 공기와 따뜻한 공기가 만나면 서로 섞이지 않고 경계선을 만들어내고

2단계: 두 공기의 진행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경계면에서 파동이 발생하기 시작하며

3단계: 파동으로 인해서 경계면에서 비틀림이 나타나고

4단계: 차가운 공기의 이동속도가 더 빨라 차가운 공기 쪽으로 만곡이 심해지며

5단계: 결국 따뜻한 공기가 차가운 공기가 위치한쪽까지 밀려나게 됨

6단계: 이때 차가운 공기가 따뜻한 공기를 밀어내면서 상승기류를 발생시키고 저기압을 형성하게 됨

7단계: 다음으로는 반시계 방향으로 수렴하는 저기압과 편서풍이 만나서 한대 전선에서 이탈 후 이동하는 것이 한대전선이론의 과정임


전선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면

성질이 서로 다른 기단끼리 만날수록 전선의 경계지역이 발달하고 원래의 속성을 잘 유지하는 경향이 있음.

전선의 종류에는 온난전선, 한랭전선, 정체전선, 폐색전선이 있는데


온난전선은 온난기단에 한대기단쪽으로 이동하면서 만들어지는 전선으로 차가운공기가 밀도가 높아서 온난기단이 한랭기단 위로 미끌어져 올라가면서 전선이 형성됨, 이때 전선의 수직수평비가 1:200정도로 기울기가 완만한 특징을 보임.

다른 특징들로는 넓은 전선이 형성되어서 구름도 넓게 퍼지는 층상형 구름이 발달하고 강수량도 넓은지역에 얕게 내리는 특징을 보이며 전선면에서 기온역전이 나타남. 일기도상에서는 둥근 반원으로 표시됨.


한랭전선은 한대기단이 온난전선으로 이동하면서 만들어지는데 차가운 공기가 따뜻한 공기를 밀어내면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전선의 기울기가 매우 급하고 성질차이도 크기때문에 전선이 매우 뚜렷하게 나타남. 기울기가 급하기 때문에 구름도 적운형 구름이 발달하고 강수도 좁은지역에 소나기성 강수가 집중적으로 내리는데 이동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일기회복은 상대적으로 빠름. 일기도상에서는 삼각형으로 표시됨


정체전선이 두 기단의 세력이 비슷할때 형성되는데 힘이 비슷해서 전선이 수평으로 놓이고 두 전선 사이에서 공기들도 정체되어있는 모습을 보임. 또한 풍향이나 등압선도 전선이랑 거의 평형하게 놓여져 있고 날시는 온난전선이랑 비슷한 날씨를 보임.

일기도상에서는 삼각형이랑 반원이 교차하는 형태로 표현되고 우리나라의 장마전선이 대표적인 예시임.


폐색전선은 속도가빠른 한랭전선이 느린 온난전선을 따라잡을때 발생하는 전선으로 상황에 따라 한랭형과 온난형으로 구분됨.

한랭형 폐색전선은 한랭전선 후면의 차가운 공기가 따라잡은 온난전선 전면의 차가운 공기보다 더 차가울때 나타나는 일반적인 폐색전선이고 날씨도 한랭전선이랑 비슷하게 나타남.

온난형 폐색전선은 한랭전선 후면의 차가운 공기가 온난전선 전면의 차가운 공기보다 더 따뜻할때 나타나는 것으로 날씨 역시 온난전선이랑 비슷하게 나타는데 주로 해양성 한대기단이 대륙성 기단을 따라잡을때 발생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