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 지도 출처: 네이버 지도)


이전 포천선 관련 게시물에 추가적으로 삽입한 것인데,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에 조성된 신도시. 신도시 계획 도로망은 위와 같다.


도시 조성 과정에서 거사리, 가양리, 금주리가 동으로 승격되었고, 신도시 내 조성 예정까지 합친 공원 수만 12개이다. (가상의 테마파크인 CP포천까지 13개.)


컨스터블포인트포천은 그린란드 셍메흐속에 본사를 두는 가상의 테마파크 회사인 콘스타블 퓐트(Constable Pynt)의 한국 지사 어뮤즈먼트 파크이다. (실제로는 절대 불가능한 일이며, 영평리 면적 중 군사 시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


이 도시의 특징 중 하나는 BRT 전용차로를 신교통형처럼 설치하긴 하였으나, 실제 버스 노선 취급은 일반 시내버스인 점이다.


시내버스들은 포천동에서 포천아트밸리 -> 신북체육문화센터 -> 경복대입구 -> 새벌역(구 신평역) -> 신도시 진입이 대부분이며, 배차간격은 평균적으로 15분 정도이다.


수도권 전철 포천선 새벌역 - 거사역 - 영중역 - 영평성동역이 위치해 있으며, 새벌역과 영중역은 급행열차 정차역.


영중신도시 경유 시내버스 목록:

노선 번호경로
1218
영평성동역 - 영중역 - 거사1동 - 새벌역 - 경복대(포천) - 경복대(남양주) - 진접역 - 오남역
1387
영평성동역 - 영중역 - 거사1동 - 새벌역 - 경복대(포천) - 용암마을15.16단지 - 민락코스트코 - 의정부고산지구
G1388
영평성동역 - 영중역 - 거사1동 - 새벌역 - 경복대(포천) - 활기체육공원/민락IC -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
927
영평성동역 - 영중역 - 거사2동 - 가양동(포천) - 새벌역 - 경복대(포천) - 신북역
948
영평성동역 - 영중역 - 거사2동 - 거사역 - 거사1동 - 새벌역 - 경복대(포천) - 신북역
12-2
영평성동역 - 영중역 - 거사1동 - 에코그린일반산업단지 - 기산리 - 사직리 - 연곡리 - 이동 - 도평리
17영북역 - 야미역 - 영평성동역 - 영중역 - 거사1동 - 에코그린일반산업단지 - 화현리 - 신팔리 - 베어스타운
72
영평성동역 - 영중역 - 거사1동 - 새벌역 - 경복대(포천) - 포천역 - 포천시청역 - 어룡역 - 감암역 - 선단역 - 송우역 - 소흘역 - 의정부성모병원 - 경기도청북부청사 - 의정부역 - 회룡역 -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
892
영북역 - 야미역 - 영평성동역 - 영중역 - 거사2동 - 거사역 - 거사1동 - 에코그린일반산업단지
901
영중역 - 거사2동 - 거사역 - 거사1동 - 새벌역 - 경복대(포천) - 포천역
902영평성동역 - 영중역 - 거사2동 - 거사역 - 거사1동 - 새벌역 - 경복대(포천) - 포천아트밸리
904영평리 - 거사2동 - 거사역 - 거사1동 - 금주동
908거사2동 - 거사역 - 금주동 - 만세교리 - 새벌역 - 경복대(포천) - 신북역
937영평성동역 - 영중역 - 거사2동 - 거사역 - 거사1동 - 새벌역 - 경복대(포천) - 신북역


광역버스 1218, 1387, G1388은 이 구간에서 S-BRT로를 이용하며, 일반 도시철도에 버금가는 표정속도를 낼 수 있으나 일부러 서행운전하는 면이 잦음. (17번, 72번이 일반시내임에도 불구하고 여기에서 통과차로로 광역버스 세 노선 차량들 다 추월하는 경우가 잦다)


서울(도봉산)까지 편도만 약 50km이기 때문에 서울까지 가려면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존재.


M1111번과 1386번은 간접적으로 경유하기는 하나, 호국로만 계속 따라가기 때문에 접근성이 어렵다.


902번 노선도 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