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일반구 체제가 가로로 긴 세 구를 쌓아놓은 모양이었기 때문에 일반구가 생활권과 동떨어져있거나 너무 길쭉해지는 (특히 소사구는 경인선을 따라 경계선을 그었기 때문에)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아예 일반구를 새로 구성해 설치한다는 가정임


특히나 기존 3일반구 체제는 일반구 간 인구 불균형 문제도 심해서 (2016년 기준 원미 44만, 소사 22만, 오정 18만) 이에 대한 논의도 종종 있었던 걸로 앎


생활권이나 근접성 등을 고려했고 특히 성주산, 원미산 같은 산으로 나뉜 지역도 고려함


특히 경인선으로 인해서 반갈죽 당한 지명(소사동-소사본동, 심곡동-심곡본동, 역곡동 등)은 다시 한 구로 모이도록 했음


다만 실제 부천시는 내년 부로 기존의 3일반구 체제로 환원하므로 오정구-원미구-소사구 체제가 변할 일은 없겠지


빨간 네모는 시청을, 하얀 원은 각 구청을 표시함

구청은 일반구 폐지 전에 쓰이던 건물(현 어울마당)을 다시 사용


인구는 대충 어림한 수치라 오차 있을 수 있음!


시나리오 1 - 북구/남구 2구 체제

인구가 빠르게 감소해 80만명 선도 진작 붕괴한 상태라 아마 원조 일반구가 없었다면 2구로 갔을 거라고 봄...


남구: 원도심, 원미, 역곡 + 舊 소사구

[부천 남구 갑: 원미1, 원미2, 심곡1, 심곡2, 심곡3, 송내1, 송내2, 심곡본, 심곡본1, 소사]

[부천 남구 을: 역곡1, 역곡2, 역곡3, 소사본, 소사본1, 괴안, 범박, 옥길]

북구: 중동, 상동, 도당, 춘의 + 舊 오정구

[부천 북구 갑: 원종1, 원종2, 고강본, 고강1, 성곡, 신흥, 오정, 도당, 춘의, 약대]

[부천 북구 을: 중, 중1, 중2, 중3, 중4, 상, 상1, 상2, 상3]


시나리오 2 - 오정/계남/소사 3일반구 체제


오정구(또는 북구): 도당, 춘의, 중동 中 길주로 북쪽 + 舊 오정구

[단독 선거구 구성]

계남구(또는 서구): 원도심, 송내, 원미, 상동, 중동 中 길주로 남쪽

[부천 계남구 갑: 상, 상1, 상2, 상3, 중, 중1]

[부천 계남구 을: 원미1, 원미2, 심곡1, 심곡2, 심곡본, 심곡본1, 송내1, 송내2, 중2]

소사구(또는 동구): 소사, 역곡, 범박, 괴안, 옥길

[단독 선거구 구성]


※ 계남구는 적절한 구명이 떠올리지 않아 붙인 단순 가칭임. 중동/상동 자체가 방위+洞 이므로 "中洞區" 같은 네이밍은 부적절해보이고 그렇다고 송내나 원미를 쓰자니 너무 구석에 위치하는지라 대표성이 떨어져서 차선책으로 이지역에 두루 쓰이는 옛지명 "계남"을 사용해봄




일반구 폐지 이전(2019년) 행정구역과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