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 구역 지도>

<고속철도(파란색 선) 및 공항(시안색) 지도>

행정 구역: 1특별시 2직할시 9도 1특별자치도

 - 특별시 및 직할시의 구는 자치권이 없으며, 일반구로 설치되어 있다.

 - 원역사의 대구, 광주, 울산은 직할시로 승격되지 않았으며, 당연히 수원, 전주는 직할시로 승격되지 않았다.

1. 특별시

 - 대전: 5구(중앙구, 대동구, 회덕구, 둔산구, 유성구)

대한민국의 수도.

기존 수도인 서울이 휴전선과 가까이 있어서 안보 문제로 인해 천도한 도시. 서울과 부산의 중간 지점에 위치해 있어 원 역사보다 균형 발전이 이루어진 편이지만, 산지로 둘러싸여 있어 개발에 제한이 많아 서울, 부산보다 인구가 적다.

대통령실을 비롯한 국가 정부 기관이 둔산, 유성에 소재하고 있다.


2. 직할시: 줄여서 시로 부르는 경우가 있다.(ex. 한양시, 동래시)

(1) 한양

대한민국의 옛 수도.

서울이 휴전선과 가까이 있어서 안보 문제로 인해 수도를 대전으로 옮기면서 몰락하였으며, 서울에서 한성으로 개칭되었다. 한성의 영역은 성저십리 영역과 영등포부, 광주군 북부 지역(원 역사의 강남 3구 지역)을 포함하고 있다.

옛 조선 왕조의 수도라는 정통성을 지니고 있고, 경기도 지역의 중추도시이자 군사 및 관광도시 역할을 하고 있다.

 - 구: 종로구, 용산구, 서대문구, 마포구, 동대문구, 성북구, 성동구, 둑도구, 영등포구, 동작구, 서초구, 강남구, 잠실구

(2) 동래

대한민국 제1의 도시이자 최대의 항구 도시.

경부가도에 속한 도시들 가운데 경제를 담당하고 있다. 대부분의 대기업들이 경기도 대신 부산과 경상남도로 이전하면서 급성장하였다.

낙동강 삼각주 지역은 부산의 부족한 용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어진 신도시 지역이다.

 - 구: 광복구, 부산진구, 동래구, 수영구, 대연구, 해운대구, 금정구, 구포구, 사상구, 사하구, 대저구, 강서구, 명지구, 녹산구, 기장구


3. 도

볼드체는 최대 도시, 밑줄은 도청 소재지.

(1) 경기도

대한민국의 옛 수도권 지역.

서울을 비롯한 경기도 지역이 휴전선과 가까이 있어서 안보 문제로 인해 수도를 대전으로 옮기면서 군사 지역으로 바뀌었으며, 원 역사와 달리 농촌 지역이 대부분으로 당연히 간척이 이루어지지 않은 지역이 많다. 북한군이 공격할 때 보복 공격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으로, 추후 2차 한국전쟁을 대비해 군사 시설이 강원도와 함께 포진해 있다.

경제는 주로 농업과 군인들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업이 대부분이다.

 - 시: 수원

 - 현: 인천, 시흥, 평택, 남양, 광주(廣州), 용인, 안성

 - 군: 이천, 음죽, 여주, 양평, 고양, 파주, 금포, 강화, 연천, 포천, 가평

(2) 강원도

 - 시: 속초, 동해, 태백, 사북

 - 현: 춘천, 원주, 강릉, 삼척

 - 군: 철원, 화천, 양구, 인제, 간성, 홍천, 양양, 횡성, 평창, 정선, 영월, 울릉

(3) 충청북도

충청남도와 함께 대전이 대한민국의 수도가 되면서 수혜를 입은 지역이다.

대전의 부지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주가 적극적으로 기업 유치를 하고 있다.

 - 부: 청주

 - 현: 충주, 제천, 증평, 옥천, 보은

 - 군: 진천, 음성, 괴산, 단양, 영동

(4) 충청남도

충청북도와 함께 대전이 대한민국의 수도가 되면서 수혜를 입은 지역이다.

대전의 포화 상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 기관을 연기현으로 이전하고 있다.

 - 부: 천안

 - 시: 강경, 장항

 - 현: 아산, 연기, 논산, 당진, 서산, 홍주, 보령

 - 군: 태안, 삽교, 예산, 청양, 부여, 서천

(5) 전라북도

군산이 원 역사의 인천 포지션을 잇게 되면서 급성장한 항구 도시가 되었고, 대한민국 최대 국제공항인 군산국제공항이 구 옥서면에 위치해 있다.

함열은 군산과 대전을 잇는 가도에 있어서 성장한 도시로, 함열이 시로 승격되면서 구 함열군 지역이 복구되었다.

금산은 대전이 수도가 되면서 수혜를 입은 지역으로, 전북 지역에서 유일하게 대전 생활권에 속한다.

 - 부: 군산

 - 시: 전주

 - 현: 익산, 함열, 금제, 정읍, 금산, 남원

 - 군: 부안, 고창, 고산, 순창, 임실, 무주, 진안, 장수

(6) 전라남도

 - 시: 광주(光州), 목포

 - 현: 나주, 해남, 장흥, 순천, 광양, 여수, 낙안

 - 군: 담양, 곡성, 구례, 고흥, 보성, 화순, 강진, 영암, 남평, 무안, 함평, 영광, 장성, 완도, 진도

(7) 경상북도

 - 부: 포항

 - 시: 대구

 - 현: 경주, 금천, 안동, 구미, 영주, 영천, 상주, 문경

 - 군: 의성, 비인, 군위, 의흥, 청송, 영양, 영덕, 청도, 고령, 성주, 현풍, 왜관, 예천, 봉화, 울진

(8) 경상남도

경제 중심 도시가 된 동래를 중심으로 발전한 지역으로, 대한민국 제2의 수도권으로 불리고 있다. 대기업의 본사가 동래를 비롯한 경남 지역에 위치해 있다.

 - 부: 창원, 금해, 양산

 - 시: 울산, 웅상, 삼천포

 - 현: 진주, 거제, 통영, 밀양

 - 군: 함안, 칠원, 거창, 창녕, 영산, 고성, 하동, 곤양, 사천, 합천, 남해, 함양, 산청, 의령, 언양

(9) 황해도

실효 지배 지역은 장연군 백령면과 벽성군 송림면 연평리 지역으로, 주소를 표기할 때는 '황해도 장연군 백령읍 XX로 XX'로 표기한다.

 - 군: 장연(백령), 벽성(연평)


4. 특별자치도: 제주도 한 지역밖에 없다. 공식 명칭은 제주특별자치도이지만, 줄여서 제주도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다. 시읍면 자치를 채택하고 있다.

 - 시: 제주, 서귀, 대정

 - 읍: 조천, 애월, 세화, 한림, 중문, 남원(南元), 성산

 - 면: 한경, 안덕, 정의, 우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