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는 https://arca.live/b/city/33100891 에서 가져옴


우선 말해두고 싶은게 방언 구획이라는 것은 행정구역 상으로 나누어지는 것은 절대 아님 지역이라는게 칼로 두부 자르듯이 정확히 나뉘는 것도 아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행정구역을 통해서 방언을 분류한게 의미가 없는 것은 또 아닌데, 행정구역을 통해서 만드는 방언 구획의 의의는 우선 첫번째로는 편의성이고, 두번째로는 화자의 인식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음. 행정구역이라는 것은 의식 속 지리로 투영되는 경향이 있기에, 지역어라는 특징의 방언을 인식하는데 있어서 행정구역이 미치는 영향을 무시할 수가 없음.


해당 방언지도는 대방언권 및 중방언권을 묘사한 거라서, 이 이상으로 소방언권까지 나눌 수 있기야 하지만 거기까지 하는건 솔직히 지금으로선 무리라고 생각해서... 일단은 가능한 만큼 만들어봄


크게 보자면 한국어의 방언은 다음과 같이 나뉠 수 있음


동부 방언

-육진 방언

-관북 방언 (동북 방언)

-영동 방언

-영남 방언 (동남 방언)

서부 방언

-관서 방언 (서북 방언)

-중부 방언

--해서 방언 (황해 방언)

--경기 방언

--영서 방언

--호서 방언 (충청 방언)

-호남 방언 (서남 방언)


우선 초분절 자질로서 음장이 나타나는 지역과 성조가 나타나는 지역으로 한국어의 방언을 서부와 동부로 대별하는 분류법은 의미가 있다고 봐서 반영함 (주로 북한의 언어학계에서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짐) 


동북 서북 동남 서남이라는 명칭 대신에 관북 관서 영남 호남같은 명칭을 사용한 이유는 일괄성을 위해서... 다만 보통 동북 서북 동남 서남등의 용어가 훨씬 많이 쓰이는 것도 사실임


육진 방언과 영동 방언은 따로 분류함. 그 이유는 우선 다른 방언들에 비해서 대방언으로 분류할 만큼 특징이 크기 때문임. 육진 방언은 역사적으로 다른 지역들과 구별되는 특징과 더불어서 언어학적으로는 관북 방언에서는 나타나는 구개음화 및 비모음화같은 음운 규칙들이 나타나지 않으며 관북 방언과 다른 종결어미를 가지고 있음 (곽충구, 2018)


영동 방언 또한 중부 방언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성조를 초분절 자질로 가지고 있으며 영서 방언에서 나타나지 않는 비모음화 및 반모음화의 특징이나 곡용과 활용 등에서 차이를 보이기에 (김봉국, 2020) 중부 방언의 하위 방언으로 분류하기 보다는 관북 방언과 영남 방언 간의 전이 방언으로 상정할 수 있기에 중부 방언과는 따로 분류하는게 맞다고 생각해서 한국어의 동부 방언으로 설정함.


소방언권의 명칭은 대부분 자료에 나온대로 기입하였고 북한 지역같은 경우 내가 여러 방언 자료집들을 종합하여 방언 구획을 직접 하고 이름을 붙인거라서 독자적이라고 볼 수 있음. 북한의 소방언권의 경우 함경도 이외에는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기에...



위 지도는 다음과 같은 자료를 검토하여서 작성했음


육진 방언

이기동. "북한의 방언구획에 대한 고찰." 한국학연구 15.0 (2001): 139-159.

곽충구. "육진방언의 현장과 연구 과제." 동아시아문화연구 34.0 (2000): 327-362.

남명옥. "함경도 방언 연구의 회고와 전망." 방언학 30.0 (2019): 59-92, 10.19069/kordialect.2019.30.003

정인호. "북한방언 연구의 현황과 과제 -대비방언학을 중심으로-." 방언학 30.0 (2019): 5-31, 10.19069/kordialect.2019.30.001

홍윤표. "통일 시대를 위한 북한어 연구 방향." 한국어문학회 전국학술대회자료집 (2014): 7-51.

소강춘. "남북 언어 자료 구축과 정비 방안." 국립국어원 광복 70주년 기념 겨레말 통합을 위한 국제학술회의 (2015): 127-176.


관북 방언

남명옥. "함경도 방언 연구의 회고와 전망." 방언학 30.0 (2019): 59-92, 10.19069/kordialect.2019.30.003

정인호. "북한방언 연구의 현황과 과제 -대비방언학을 중심으로-." 방언학 30.0 (2019): 5-31, 10.19069/kordialect.2019.30.001

홍윤표. "통일 시대를 위한 북한어 연구 방향." 한국어문학회 전국학술대회자료집 (2014): 7-51.

소강춘. "남북 언어 자료 구축과 정비 방안." 국립국어원 광복 70주년 기념 겨레말 통합을 위한 국제학술회의 (2015): 127-176.

곽충구. "동북방언과 국어국문학." 개신어문연구 43.0 (2018): 5-42.


영동 방언

문효근. "영동,영서 방언의 어휘적 비교 연구." 인문과학 46.0 (1982): 1-29.

정성훈. "중부지방 방언구획과 네트워크분석." 방언학 32.0 (2020): 283-315, 10.19069/kordialect.2020.32.283

김옥영. "남북 강원지역의 방언구획." 국어학(國語學) 92.0 (2019): 203-239, 10.15811/jkl.2019..92.007

김봉국. "강원방언의 특징과 그 보존 방안." 인문학연구 28.0 (2020): 1-28.


영남 방언

김덕호. "영남 지역의 하위 방언구획에 대한 종합적 연구." 영남학 69.0 (2019): 213-254.

김정대. "경남방언 구획 문제를 다시 생각한다." 배달말 51.0 (2012): 45-90.


관서 방언

정인호. "북한방언 연구의 현황과 과제 -대비방언학을 중심으로-." 방언학 30.0 (2019): 5-31, 10.19069/kordialect.2019.30.001

김영배. "평안방언 연구 ( 자료편 )." 상명대학교 논문집 5.0 (1976): 329-388.

김영배. "김태균(金泰均) 편저(編著), 함북방언사전(咸北方言辭典)." 국어국문학 96.0 (1986): 330-333.

김영배. "김 병제 지은 [조선어방언학개요] 평설." 한글 213.0 (1991): 255-300.

홍윤표. "통일 시대를 위한 북한어 연구 방향." 한국어문학회 전국학술대회자료집 (2014): 7-51.

소강춘. "남북 언어 자료 구축과 정비 방안." 국립국어원 광복 70주년 기념 겨레말 통합을 위한 국제학술회의 (2015): 127-176.


해서 방언

곽충구. "황해도 및 강원도 북부지역 친족명칭의 지리적 분화와 그 역사성." 대동문화연구 30.0 (1995): 309-332.

강순경. "황해 방언의 모음체계." 언어 24.3 (1999): 335-356.

장승익. "황해도 방언 연구의 회고와 전망." 방언학 30.0 (2019): 93-118, 10.19069/kordialect.2019.30.004

최소연. "황해도 안악 지역어의 음운론적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020.

한성우. "서해 중부 도서 지역어 연구." 한국학연구 62.0 (2021): 219-243.

홍윤표. "통일 시대를 위한 북한어 연구 방향." 한국어문학회 전국학술대회자료집 (2014): 7-51.

소강춘. "남북 언어 자료 구축과 정비 방안." 국립국어원 광복 70주년 기념 겨레말 통합을 위한 국제학술회의 (2015): 127-176.


경기 방언

정성훈. "중부지방 방언구획과 네트워크분석." 방언학 32.0 (2020): 283-315, 10.19069/kordialect.2020.32.283

한성우. "서해 중부 도서 지역어 연구." 한국학연구 62.0 (2021): 219-243.

김한별. "경기도의 방언 구획 -등어선속을 이용한 첫 체계적 시도-." 어문연구 51.2 (2023): 195-239.


영서 방언

정성훈. "중부지방 방언구획과 네트워크분석." 방언학 32.0 (2020): 283-315, 10.19069/kordialect.2020.32.283

김옥영. "남북 강원지역의 방언구획." 국어학(國語學) 92.0 (2019): 203-239, 10.15811/jkl.2019..92.007


호서 방언

이병근, 정승철. "경기(京畿)·충청지역(忠淸地域)의 방언분화(方言分化)." 국어국문학 102.0 (1989): 45-77.

정성훈. "중부지방 방언구획과 네트워크분석." 방언학 32.0 (2020): 283-315, 10.19069/kordialect.2020.32.283

박경래. "충청북도 방언의 특징과 하위 방언권." 충북발전연구원 단행본 (2000): 77-95.

강경원. "충남의 방언지역 구분 - 어휘를 중심으로 -." 문화역사지리 30.1 (2018): 20-32.


호남 방언

전광현. "전라북도 방언구획 (方言區劃) 시고 (試考) - 어휘분포를 중심으로 -." 동양학 25.1 (1995): 1-18.

정성훈. "서남방언의 하위방언구획과 네트워크 분석." 언어학 77.0 (2017): 157-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