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단이 되지 않아서 수도권 개발이 경인 지역과 경의가도 지역, 구 시흥군 지역에 집중되면서 강남 지역이 원 역사보다 늦게 개발되었다.


노선 현황

1. 서울

 * 1호선(남색): 철원 ~ 연천 ~ (이하 원 역사와 동일하지만, 광명지선과 서동탄 지선은 없다.)

 * 2호선(녹색): 강남 지역이 늦게 개발되면서 순환선 형태가 아니고 인천 쪽으로 연장되면서 제2의 경인선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인천북항 ~ 석남 ~ 부천구청 ~ 소사 ~ 신트리 ~ 양천구청 ~ 영등포 ~ 여의도 ~ 공덕 ~ 서울시청 ~ 왕십리 ~ 광진구청 ~ 교문 ~ 다산 ~ 도농 ~ 금곡 구간.

 * 3호선(주황색): 강북 구간은 원 역사와 약간 똑같이 운행되고 있으나, 강남 구간은 2016년에 개통된 광역전철 신분당선과 직결되어 개통되었다. 문산 ~ 탄현 ~ 서운정 ~ 대화 ~ (원 역사의 구간과 동일.) ~ 연신내 ~ 서대문 ~ 서울(역) ~ 이태원 ~ 강남 ~ 매헌 ~ 정자 ~ 수지구청 ~ 경기도청 ~ 화서 ~ 봉담 구간.

 * 4호선(파란색): 강북 구간은 원 역사와 똑같이 운행되고 있으나, 광역전철 신안산선과 직결해 운행하고 있다. 포천 ~ 진접 ~ 북별내(원 역사의 별내별가람) ~ 창동 ~ 동대문 ~ 명동 ~ 서울 ~ 공덕 ~ 여의도 ~ 영등포 ~ 서울문성초등학교 ~ 시흥(금천구청) ~ 광명 ~ 목감 ~ 중앙 ~ 한양대에리카캠퍼스 ~ 남양 구간.

 * 5호선(보라색): 동부 구간은 강북 지역만 지나가고 있다. 양촌 ~ 김포구청 ~ 김포공항 ~ 여의도 ~ 노량진 ~ 용산 ~ 동묘 ~ 석계 ~ 별내 구간.

 * 6호선(갈색): 송추 ~ 연신내 ~ 수색 ~ 공덕 ~ 용산 ~ 사당 ~ 과천 ~ 금전 ~ (안산선, 수인선과 직결)

 * 7호선(올리브색): 서부 구간은 제3의 경인선의 역할을 맡고 있으며, 동부 구간은 신규 개발 지역인 강남의 핵심 노선 역할을 맡고 있다. 남청라 ~ 가정 ~ 남작전 ~ 서운 ~ 신월 ~ 목동 ~ 여의도 ~ 사당 ~ 강남 ~ 선릉 ~ 천호 ~ 금곡 구간과 천호 ~ 고덕 ~ 미사 ~ 하남구청 ~ 팔당 구간.

 * 8호선(분홍색): 방학 ~ 미아사거리 ~ 보문 ~ 제기동 ~ 선릉 ~ 수서 ~ 복정 ~ 성남구청(원 역사의 야탑.) ~ (원 역사의 분당수인선 구간과 동일.)

 * 9호선(금색): 경원선의 수요를 분산하기 위해 지어진 노선. 도봉산 ~ 노원 ~ 태릉 ~ 상봉 ~ 아차산 ~ 광진구청 ~ 잠실 ~ 가락시장 ~ 복정 구간.


2. 인천

 * 인천 1호선(짙은 하늘색): 통진 ~ 양촌 ~ 북검단 ~ 검단(원 역사의 검단사거리.) ~ 계양 ~ (원 역사 구간과 동일.)

 * 인천 2호선(밝은 주황색): 김포구청 ~ 검단 ~ 검암 ~ (원 역사 구간과 동일.) ~ 인천대공원 ~ 신천 ~ 과림온신 ~ 범안 ~ 안현초등학교 ~ 광명구청 ~ 가산디지털단지 ~ 대림 ~ 영등포 구간.

 * 인천 3호선(밝은 연두색): 북검단 ~ 청라국제도시 ~ 남청라 ~ 인천북항 ~ 동인천 ~ 숭의 ~ 동춘 ~ 소래포구 ~ 신현 ~ 광명 구간.

 * 인천국제공항철도(바다색): (원 역사 구간과 동일.) ~ 김포공항 ~ 여의도 ~ 용산 ~ 서울 구간.


3. 국철

 * 경의선(옥색): 1982년 7월 1일 개통되었다. 개성 ~ 장단 ~ 문산 ~ (원 역사 구간과 동일.).

 * 교외선(옥색): 1호선 경원선 구간과 경의선의 수요를 분산하기 위해 1987년에 개통되었다. 남부순환선과 직결 운행을 하고 있다.

* 남부순환선(코레일 블루): 1994년 개통되었고, 1호선 의왕 이남 구간, 교외선과 직결 운행을 하고 있다.


2023.09.25. 16:33 - 9호선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