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지도]

대한민국의 도

全羅北道 / North Jeolla Province

도청 소재지: 전주시 완산구 효자로 225 (효자동3가 1)

하위 행정구역: 1시 5현 10군

인구: 3,127,596명

면적: 8584.91km²

인구 밀도: 364.31명/km²


1. 개요

호남 지방에 위치한 대한민국의 도.


2. 역사

1914년

 - 부군면 통폐합으로 전라북도는 1부(군산) 14군(전주, 익산, 옥구, 김제, 정읍, 부안, 고창, 남원, 순창, 임실, 장수, 진안, 무주, 금산) 체제가 되었다.

 - 구례군이 전라남도로 편입되었다.

 - 개야도, 연도, 어청도와 세 섬을 포함한 부속 도서들이 충청남도로 편입되었다.

1935년: 전주군 전주읍이 전주부로 승격되었다. 동시에 전주군 잔여 지역은 완주군(完州郡)으로 개편되었다.

1947년: 익산군 이리읍이 이리부로 승격되었다.

1949년: 전국의 모든 부가 시로 개편되면서 전주부, 이리부, 군산부는 각각 전주시, 이리시, 군산시로 개편되었다.

1960년

 - 충청남도 영동군 용화면이 무주군으로 편입되었다.

 - 전라남도 영광군 위도면이 부안군으로 편입되었다.

 - 전라남도 영광군 대마면 복평리·성산리가 고창군으로 편입되었다.

 - 남원군 대강면이 순창군으로 편입되었다.

 - 순창군 복흥면, 쌍치면이 정읍군으로 편입되었다.

 - 장수군 산서면이 임실군으로 편입되었다.

1963년: 익산군 망성면, 황화면 신화리가 충청남도(現 충청도) 강경시(舊 논산군 강경읍·채운면)로 편입되었다. 익산군 황화면 잔여 지역은 논산군 구자곡면과 통합되면서 논산군 연무읍이 신설되었다.

1981년

 - 정읍군 정주읍이 정읍시로 승격되었다.

 - 남원군 남원읍이 남원시로 승격되었다.

1989년: 김제군 김제읍이 김제시로 승격되었다.

1995년

 - 이리시와 익산군, 군산시와 옥구군, 김제시와 김제군, 정읍시와 정읍군, 남원시와 남원군이 익산현, 군산현, 김제현, 정읍현, 남원현으로 도농통합되었다.

 - 舊 전주부 잔여 지역이 전주시로 편입되면서 완주군 잔여 지역은 고산군으로 복군되었다.

 - 남원군에 속한 舊 운봉군 지역이 운봉군으로 독립하였다.


3. 생활권

전주시를 기준으로 호남평야를 끼고 있는 서부와 진안고원을 끼고 있는 동부로 나눌 수 있다. 단, 고산군은 전주 생활권에 속한다.

굵은 글씨로 된 지역은 각 생활권의 최대도시이다.

3.1. 전주

 * 전주시

 * 고산군

3.2. 서부

 * 익산현

 * 군산현

 * 정읍현

 * 김제현

 * 부안군

 * 고창군

3.3. 동부

 * 남원현

 * 임실군

 * 순창군

 * 진안군

 * 장수군

 * 무주군

 * 금산군

 * 운봉군


4. 사법

4.1. 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이 전라북도 전역을 관할하고 있다.

4.2. 지방법원

전주지방법원이 전라북도 전역을 관할하고 있다.


5. 행정

주요 행정기관은 행정의 중심지인 전주에 집중되어 있다.

5.1. 산림청

남원현에 본부를 두고 있는 서남지방산림청이 호남 전역과 경상남도 서부 지역을 관할하고 있으며, 전라북도에서는 무주국유림관리소와 정읍국유림관리소가 서남지방산림청에 속해 있다.

5.2. 국토관리청

익산지방국토관리청이 전라북도를 포함한 호남 전역을 관리하고 있다.

5.3. 세무서

전라남도 광주시에 본부를 두는 광주지방국세청이 전라북도를 포함한 호남 전역을 관리하고 있다.

5.4. 고용노동청

전라남도 광주시에 본부를 두는 광주지방고용노동청이 전라북도를 포함한 호남 전역을 관리하고 있다.


6. 군사

대한민국 육군 제35보병사단이 임실군 임실읍 대곡리에 주둔하고 있다.


7. 방송

동양방송을 제외한 모든 방송국은 전주를 본사로 두고 있다.

7.1. 한국방송공사(KBS)

 * KBS전주방송총국

7.2. 문화방송(MBC)

 * 전주문화방송

7.3. 서울방송(SBS)

 * 전주방송(JTV): 전라북도 전역을 가청권으로 하고 있다.

7.4. 동양방송(TBC)

준키국인 호남방송의 가청권에 속한다.


8. 교육

8.1. 거점국립대학

 * 전북대학교

8.2. 국립대학

 * 전주교육대학교

 * 군산대학교

8.3. 전문대학

 * 한국농수산대학교

8.4. 사립 대학

8.4.1. 4년제

 * 원광대학교

 * 우석대학교

 * 전주대학교

 * 호원대학교

 * 한일장신대학교

 * 예수대학교

 * 예원예술대학교

8.4.2. 전문대학

 * 군산간호대학교

 * 군장대학교

 * 백제예술대학교

 * 원광보건대학교

 * 전북과학대학교

 * 전주기전대학

 * 전주비전대학교


9. 교통

9.1. 도로

9.1.1. 일반국도

[전라북도 일반국도 지도]

 * 1번 국도

 * 4번 국도

 * 13번 국도

 * 17번 국도

 * 19번 국도

 * 21번 국도

 * 22번 국도

 * 23번 국도

 * 24번 국도

 * 26번 국도

 * 27번 국도

 * 29번 국도

 * 30번 국도

 * 37번 국도

9.1.2. 고속도로

[전라북도 고속도로 지도]

 * 호남고속도로

 * 서해안고속도로

 * 통영대전고속도로

 * 순천전주고속도로

 * 수원장수고속도로

 * 광주대구고속도로

 * 김제전주고속도로

 * 부안옥과고속도로

 * 고창담양고속도로

9.2. 철도

9.2.1. 일반철도

[전라북도 일반 철도 지도]

 * 호남선

 * 전라선

 * 장항선

 * 군산항선

 * 군산공항선

9.2.2. 고속철도

[전라북도 고속철도 지도]

 * 호남고속철도: (강경은진역) - 익산역 - 정읍역 - (광주송정역)

9.2.3. 도시철도

 * 전주 도시철도: 현재 4개의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9.2.4. 광역철도

 * 호남권 광역전철: 호남선 강경~신태인 구간과 전라선 익산~상관 구간, 군산항선 익산~군산 구간, 군산공항선 군산~군산공항 구간을 운행하고 있다.

9.3. 항공

밑줄 친 공항은 민군공용공항이다.

 * 군산국제공항

9.4. 페리

 * 군산항: 옥도면과 충청도 어청도, 개야도로 가는 연안여객선을 운행하고 있다.

 * 격포항: 위도, 상왕등도, 하왕등도로 가는 연안여객선을 운행하고 있다.

 * 군산항국제여객터미널: 중화민국 산동성 영성현 석도항으로 가는 국제여객선을 운행하고 있다.


10. 하위 행정구역

[전라북도 행정구역 지도]

10.1. 시

10.1.1. 전주시

전라북도 최대 도시이자 호남 지역 제2의 도시로, 전라북도에서 유일하게 인구가 100만 이상인 도시이다. 전북의 행정을 담당하고 있으며, 전라북도의 지리적 중심지 역할을 맡고 있다.

한때 함경북도 청진시와 같이 직할시로의 승격 논의가 있었지만 전라북도의 반대로 무산되었다.

10.2. 현

10.2.1. 익산현

전라북도 제2의 도시이자 호남 지역의 관문이다.

호남선과 전라선, 장항선이 만나는 교통의 중심지로 발달하였다.

10.2.2. 군산현

일제강점기 개항장으로 지정된 이후 전라남도 목포시와 함께 호남에서 규모가 큰 공업도시이자 항구도시이다.

10.2.3. 김제현

전라북도에서 마지막으로 시로 승격된 도시이다.

후술할 부안군과 함께 새만금 갯벌로 유명한 도시이다.

10.2.4. 정읍현

익산과 광주의 중간 지점에 자리잡은 교통의 요지이다.

10.2.5. 남원현

전라북도 동부 지역의 중심 도시.

10.3. 군

10.3.1. 부안군

'변산반도'로 알려진 군으로, 변산반도 국립공원이 있다.

10.3.2. 고창군

전라북도에서 생활권이 전라남도와 가까운 지역이다.

10.3.3. 순창군

순창의 특산물인 순창 고추장이 유명하다.

10.3.4. 임실군

치즈를 중심으로 하는 낙농업과 군인들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업이 발달하였다.

10.3.5. 진안군

전북의 명산인 마이산이 유명하다.

10.3.6. 장수군

고랭지 채소와 한우, 사과가 장수의 명물로 알려져 있다.

10.3.7. 무주군

덕유산 국립공원과 태권도원이 유명하다.

10.3.8. 금산군

전라북도에서 유일하게 충청도와 생활권을 공유하고 있는 지역이다.

10.3.9. 고산군

전라북도에서 가장 폐쇄적인 지역으로 알려져 있으며, 군민 대부분이 고산군 토박이들로 이루어져 있다.

10.3.10. 운봉군

전라북도에서 인구(1만 8천 명)가 가장 적은 지역이다.


11. 여담 및 원 역사와의 차이점

 * 해당 세계관에는 '특별자치'가 붙은 행정구역은 존재하지 않는다.

 -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도 연기현

 - 강원특별자치도: 강원도

 - 전북특별자치도: 전라북도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도

 * 금산군은 충청남도가 아닌 전라북도에 존속해 있다. 이는 영변 출신 정치인 길재호가 자신의 고향인 영변에서 정치 활동을 하였기 때문에 충청남도로의 편입이 추진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만 생활권 면에서 보면 금산군은 충청도 대전시와 가깝다.

11.1. 새만금 관련

 * 새만금지구는 존재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새만금방조제도 존재하지 않는다.

 * 옥도면은 육지로 가기 위해서 군산으로 가는 페리에 의존하고 있다.

 * 4번 국도의 시종점은 옥도면 장자도가 아닌 비응항에 있다.

 * 해당 세계관의 새만금은 호남 최대의 갯벌로 남아 있으며, 2021년 한국의 갯벌 중 하나로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었다.

 * 정부가 새만금 대신 전주시 개발에 주력하면서, 전주는 원 역사보다 크게 발전해 인구가 100만 명을 돌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