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4년 러시아 제국 페트로그라드 (Петроград)에서 발간된 러시아어 방언 지도다


당시 러시아 제국은 러시아어,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 루신어, 포모르어 (아르한겔스크 도에서 사용되는 언어로 러시아 정부는 러시아어의 방언으로 분류함)를 전부 러시아어의 방언으로 분류했다. 우크라이나어는 소러시아 방언으로 표시했다. 우크라이나어가 오늘날 우크라이나 대부분의 영역과 벨라루스 브레스트 도 대부분과 러시아 벨고로드 도 대부분, 쿠르스크 도 서부, 보로네시 도 남부, 로스토프 도 서부, 크라스노다르 지방 북부에서 사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오늘날 수미 도 동부 푸티블 일대와 루간스크인민공화국 일부, 로스토프 시 주변 지역은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가 섞인 사투리가 사용됐다.


검은색 선 : 현대 국경


회색 : 백러시아 방언

  Ю-З : 남서백러시아 사투리

  С-В : 북동백러시아 사투리


연두색 : 소러시아 방언

  К-У : 헝가리령 자카르파탸 사투리

  Ю-М : 남소러시아 사투리

  С-М : 북소러시아 사투리


빨간색 : 남부 대러시아 방언

  А : 남부 사투리

  Б : 툴라 사투리

  В : 남동부 사투리


주황색 바탕에 점선 : 중부 대러시아 방언

  1 : 프스코프 사투리

  2 : 중서부 사투리

  3 : 중동부 사투리


노란색 : 북부 대러시아 방언

  ПОМ : 포모르 사투리

  ОЛ : 올로네츠 사투리

  ЗАП : 북서부 사투리

  ВОСТ : 북동부 사투리

  ВЛ-ПОВ : 블라디미르와 볼가 사투리


회색 바탕에 빨간색 점선 : 백러시아 사투리와 남부 대러시아 사투리가 섞임


연두색 바탕에 회색 점선 : 소러시아 사투리와 백러시아 사투리가 섞임


연두색 바탕에 빨간색 점선 : 소러시아 사투리와 남부 대러시아 사투리가 섞임


하얀색 점 : 비 러시아계 소수

다른 색 점 : 러시아계 소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