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지도]

전라북도의 시

全州市 / Jeonju City

시청 소재지: 덕진구 가련산로 64-2 (덕진동2가)

광역자치단체: 전라북도

하위 행정구역: 6구 147법정동

인구: 1,524,173명

면적: 604.65km²

인구 밀도: 2520.75명/km²


1. 개요

전라북도의 시. 전라북도청 소재지이자 전라북도 제1의 도시이다.

대한민국에서 전통과의 조화가 이루어진 도시로 알려져 있다.


2. 역사

1914년: 전주군과 고산군이 전주군으로 통폐합되었다.

1930년: 전주군 이동면 금암리·노송리·서신리·인후리·중산리·진북리·태평리·화산리·효자리가 전주면으로 편입되었다.

1931년: 전주군 전주면이 전주읍으로 승격되었다.

1935년

 - 전주군 전주읍이 전주부로 승격되어 전주군에서 분리되었다. 동시에 전주군 잔어 지역은 완주군(完州郡)으로 개편되었다.

 - 우림면과 난전면을 우전면으로 통폐합하였다.

 - 우림면 청도리의 땅거스러미가 김제군(現 김제현) 금산면으로 편입되었다.

1940년: 완주군 이동면 전역과 조천면 일부가 전주부로 편입되었다.

1946년: 전주부에 있는 일본식 지명이 청산되었다.

1949년: 전주부가 전주시로 개편되었다.

1956년: 완주군 삼례면이 삼례읍으로 승격되었다.

1957년: 하리(삼례면으로 편입됨.), 상운리(용진면으로 편입됨.)를 제외한 초포면 전역과 조촌면·용진면 일부가 전주시로 편입되었다.

1960년: 완주군 봉동면 구만리가 용진면으로 편입되었다.

1963년: 완주군 조촌면이 조촌읍으로 승격하였다.

1965년: 완주군 조촌읍이 전주시로 편입되었다.

1973년

 - 완주군 용진면 산정리 일부가 우아동으로 편입되었다.

 - 완주군 봉동면이 봉동읍으로 승격되었다.

1979년: 완주군 용진면 산정리, 금상리와 구이면, 상관면, 이서면이 전주시로 편입되었다.

1981년: 완주군청(現 아중구청)이 전주시 인후동2가 1561번지(현 덕진구 백제대로 721)로 청사를 이전하였다.

1982년: 전주시에 완산출장소와 덕진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83년

 - 전주시 완산출장소와 덕진출장소가 완산구, 덕진구로 승격되었다.

 - 완주군 상관면 대성리·색장리, 용진면 산정리가 전주시로 편입되었다.

1989년: 전주시 완산구에 효자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92년

 - 전주시 완산구 효자출장소가 효자구로 승격되었다.

 - 완주군 용진면이 용진읍으로 승격되었다.

 - 전주시 덕진구에 조촌출장소가 설치되었다.

1994년

 - 전주시 덕진구 조촌출장소가 조촌구로 승격되었다.

 - 김제군 백구면 강흥리·도덕리·도도리와 용지면 남정리가 전주시로 편입되었다.

1995년: 舊 전주부 잔여 지역인 완주군 삼례읍·봉동읍·용진읍·소양면이 전주시로 편입되면서 전주시가 조선시대 전주부 시기의 판도로 복구되었다. 완주군 잔여 지역은 고산군으로 복군되었다.

1998년: 덕진구에 삼봉(례+동)출장소와 아중출장소가 설치되었다.

2004년: 덕진구 삼봉출장소가 삼봉구로 승격되었다.

2011년: 덕진구 아중출장소가 아중구로 승격되었다.

2016년: 전주시청이 완산구 서노송동에서 덕진구 덕진동2가로 이전되었다.


3. 경제

전주시의 주요 산업은 관광업과 탄소산업이다.

전자는 전주가 전통과 조화를 이루고 있는 도시라는 점을 이용하였으며, 완산구에 있는 한옥마을을 중심으로 관광객을 끌어모으고 있다.

후자는 관광업 위주인 전주시의 산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육성된 산업으로, 조촌구 팔복동·여의동·여의동2가와 삼봉구 둔산동·용암동에 있는 탄소산업단지를 중심으로 발달하였다.


4. 교통

전주는 전라북도의 중심에 위치해 있고 익산, 김제, 진안, 임실, 순창, 정읍과 같은 다른 지역으로 연결이 잘 되어 있어 도로 교통이 우세하지만, 철도는 익산역이 전라남도 광주시의 광주송정역과 함께 호남의 중심역 역할을 하고 있어 철도 교통은 익산보다 떨어지는 편이다.

4.1. 철도

[전주시 철도 지도]

4.1.1. 일반 철도

 * 전라선: (익산역) - 삼례역 - 팔복역 - 송천역 - 전주역 - 아중역 - 상관역 - (임실역)

4.1.2. 도시철도

전주 도시철도는 1997년에 1호선이 개통한 이후 2002년에 2호선, 2008년에 3호선, 2016년에 4호선을 개통하였다. 노선 대부분은 드리프트가 많다.

 * 1호선(녹색): 전주시의 주요 도로인 백제대로를 경유하고 있으며, 삼봉구 둔산동(舊 봉동읍 둔산리) 둔산역 및 아중구 황운동(舊 소양면 황운리) 소양역에서 효자구 원기동 구이역까지 연결하는 노선이다.

 * 2호선(파란색): 전주시의 주요 도로인 기린대로를 경유하고 있으며, 삼봉구 장기동·낙평동(舊 봉동읍 장기리·낙평리) 봉동역에서 효자구 삼천동3가 쑥고개역까지 연결하는 노선이다. 수요가 많은 삼례, 조촌, 덕진, 원도심을 경유하고 있어 이용객 수가 많은 노선이다.

 * 3호선(노란색): 송천, 효자를 지나가고 있으며, 1호선 둔산~전미 구간과 직결 운행을 하고 있다. 덕진구 전미동1가 전미역에서 효자구 원당동 원당역까지 연결하는 노선이다.

 * 4호선(빨간색): 덕진구 운곡동(舊 용진읍 운곡리) 서당골역에서 완산구 신동(舊 상관면 신리) 상관역까지 연결하는 노선으로, ㄷ자 선형으로 전미, 조촌·여의, 이서, 전북도청, 노송(舊 전주시청), 병무청을 경유하고 있다.

4.1.3. 광역철도

 * 정차역: (익산역) - 삼례역 - 팔복역 - 송천역 - 전주역 - 상관역 - (시종점)

익산현의 익산역을 중심으로 하는 호남권 광역철도가 운행되고 있으며, 전주시에서는 삼례역, 팔복역, 송천역, 전주역, 상관역이 운행되고 있다.

4.2. 도로

[전주시 도로 지도]

4.2.1. 고속도로

 * 호남고속도로: (익산 교차로) - 삼례 나들목 - 전주 나들목 - 서전주 나들목 - 서전주 교차로 - (금구 나들목)

 * 순천전주고속도로: (시종점) - 전주 교차로 - 남전주 나들목 - 완산 교차로 - 상관 나들목 - (임실 나들목)

 * 수원장수고속도로: (익산 교차로) - 북전주 나들목 - 전주 교차로 - 소양 나들목 - 상관 교차로 - (진안 나들목)

 * 김제전주고속도로: (북김제 나들목) - 서전주 교차로 - 남전주 나들목 - 완산 교차로 - 상관 교차로 - (시종점)

4.2.2. 국도

17번 국도를 제외한 대부분의 국도는 시가지를 우회하고 있다.

 * 1번 국도

 * 17번 국도

 * 21번 국도

 * 26번 국도

 * 27번 국도


5. 문화유산

 * 풍남문(豊南門): 완산구 전동 소재. 전주부성의 남문이다.

 * 경기전(慶基殿): 완산구 풍남동3가 소재. 태조 이성계의 어진을 봉안한 어용전(御容殿, 태조 이성계의 어진을 모시는 전각.)이다. 경기전 바로 앞에는 전동성당이 있다.

 * 전동성당(殿洞聖堂): 완산구 전동 소재. 조선 정조 15년(1791년)에 일어난 신유박해 당시 순교한 윤지충 바오로와 권상연 야고보가 순교한 자리에 1914년에 완공된 성당이다.

 * 자만동 금표(滋滿洞 禁標): 완산구 교동 소재. 조선 고종 시기에 이성계의 고조부 목조 이안사가 거주하던 자만동에 세워진 금표이다.

 * 전주객사(全州客舍): 완산구 중앙동3가 소재. 전주부성이 세워질 때 함께 지어졌을 것으로 추정되는 객사로, 전주가 태조 이성계의 고향이라 하여 '풍패지관(豊沛之館, 풍패(豊沛)는 한 고조 유방의 고향이다.)'이라는 현판이 붙어 있다.

 * 전라감영(全羅監營): 완산구 중앙동4가 소재. 조선 시대에 전라도를 관할하던 감영이다.

 * 동고산성(東固山城): 완산구 교동·대성동 소재. 후백제 초대 왕 견훤이 세운 성으로 전해지고 있다.

 * 위봉산성(威鳳山城): 아중구 대흥동(舊 소양면 대흥리) 소재. 숙종 원년(1675년)에서 숙종 8년(1682년)까지 쌓은 포곡식 산성으로, 군사적 목적 뿐만 아니라 조선태조어진을 모시기 위한 행궁을 두고 있어 조선 후기 성곽의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 전주 송광사(全州 松廣寺): 아중구 대흥동(舊 소양면 대흥리) 소재. 신라 경문왕 7년(867년)에 도의선사가 세운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후 폐허가 되었다가 조선 광해군 14년(1622년)에 재건되었다.


6. 관광

 * 전주 한옥마을: 완산구 소재. 개성 한옥마을, 북촌 한옥마을과 함께 대한민국 3대 한옥마을로 손꼽히는 한옥 밀집지역으로, 전주시의 인지도가 높아지는 데 공헌을 한 지역이다.

 * 최명희문학관: 완산구 풍남동3가 소재. 소설가 최명희를 주제로 한 문학관이다.

 * 국립전주박물관: 효자구 효자동2가 소재.

 * 전주영화종합촬영소: 효자구 상림동 소재.

 * 덕진공원: 덕진구 덕진동1가 소재.

 * 전주동물원: 덕진구 덕진동1가 소재.

 * 혼불문학공원: 덕진구 덕진동1가 소재. 소설 <혼불>로 유명한 최명희의 묘역에 있다.

 *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덕진구 덕진동1가 소재. 전라북도 문화공연의 성지로 알려져 있다.


7. 문화

전주는 예로부터 예향(藝鄕)이라는 별칭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그 별칭에 맞게 국제영화제와 같은 축제가 활발하게 개최되고 있다.

7.1. 음식

전주는 호남평야와 진안고원이 적절하게 주변에 맞닿아 있고 바다가 아주 멀지 않은 지리적 특성상 온갖 식재료의 조달이 용이하고, 경제적으로 부유한 양반의 도시였고, 호남의 수부도시이자 교통의 중심지였기에 옛날부터 음식이 다양하고 맛있기로 유명한 곳이다.

 * 전주비빔밥: 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한국 음식으로, 전주시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에서 인지도가 높은 음식이다.

 * 콩나물국밥: 서울의 설렁탕, 동래의 돼지국밥과 함께 지역 주민들에게 사랑받는 국밥 요리이다.


8. 다른 지역과의 관계

8.1. 전라남도 광주시

전주와 광주 두 도시는 호남 최대의 도시를 두고 라이벌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

8.2. 경기도 개성부

전주와 개성 두 도시는 전통과 현대가 조화를 이루고 있는 도시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며, 두 도시 사이의 문화 교류가 매우 활발하다. 다만 고려 태조 왕건이 자신의 라이벌이었던 후백제의 왕 견훤이 다스렸던 지역인 전주를 경계하였던 역사가 있어서 전주시민들 가운데 개성에 대한 감정이 있는 편이다.

8.3. 삼흥 지역(함흥직할시, 경흥직할부, 영흥현)

세 지역은 전주시와 함께 조선의 흥왕지지(興王之地, 왕이 일어선 땅)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며, 위에서 말한 개성부와 마찬가지로 전주시와 세 지역 사이의 문화 교류가 매우 활발하다. 다만 '네 지역 가운데 조선 왕조의 발상지가 어디인가'를 두고 논쟁도 있다.


9. 하위 행정구역

[전주시 일반구 지도]

9.1. 완산구(完山區)

관할 법정동: 전(殿), 전동3가(殿洞3街), 중앙동1·2·3·4가(中央洞1·2·3·4街), 다가동1·2·3·4가(多佳洞1·2·3·4街), 고사(高士), 태평(太平), 경원동1·2·3가(慶園洞1·2·3街), 풍남동1·2·3가(豊南洞1·2·3街), 교(校), 중노송(中老松), 서노송(西老松), 남노송(南老松), 동완산(東完山), 서완산동1·2·3가(西完山洞1·2·3街), 동서학(東棲鶴), 서서학(西棲鶴), 대성(大聖), 색장(色長), 신(新), 마치(馬峙), 용암(龍巖), 의암(衣巖), 죽림(竹林)

인구는 70,862명.

전주의 역사적 중심지로, 전주의 원도심을 관할하고 있다.

舊 상관면의 중심지인 신동에 완산구청 상관출장소가 있다.

9.2. 효자구(孝子區)

관할 법정동: 효자동1가(孝子洞1街), 효자동2·3가(孝子洞2·3街), 삼천동(三川洞)1·2·3가, 평화동1·2·3가(平和洞1·2·3街), 상림(上林), 서신(西新), 석구(石九), 용복(龍福), 원당(院堂), 중인(中仁), 중화산(中華山), 항가(亢佳), 원기(元基), 광곡(光谷), 계곡(桂谷), 덕천(德川), 두현(斗峴), 백여(白如), 안덕(安德), 평촌(坪村)

인구는 420,356명.

전주의 서부 신시가지를 관할하고 있으며, 효자동3가에 전라북도청이 있다. 舊 구이면의 중심지인 항가동에 효자구청 구이출장소가 있다.

중화산동은 원래 중화산동2가였으나, 중화산동1가가 완산구로 편입되어 서완산동3가로 개칭되면서 현재의 지명으로 개칭되었다.

9.3. 덕진구(德津區)

관할 법정동: 덕진동1가(德津洞1街), 덕진동2가(德津洞2街), 송천동1·2가(松泉洞1·2街), 전미동1·2가(全美洞1·2街), 호성동1·2·3가(湖城洞1·2·3街), 금암(金巖), 진북(鎭北), 운곡(雲谷), 간중(澗中), 구만(九萬), 구억(九億), 상삼(上三), 상운(上雲), 신지(新池), 용흥(龍興)

인구는 360,087명.

전주시의 행정 중심지.

舊 용진읍의 중심지인 운곡동에 덕진구청 용진출장소가 있다.

9.4. 아중구(牙中區)

관할 법정동: 인후동1가(麟後洞1街), 인후동2가(麟後洞2街), 우아동1·2·3가(牛牙洞1·2·3街), 금상(今上), 산정(山亭), 황운(黃雲), 대흥(大興), 명덕(明德), 신교(新橋), 신원(新元), 신촌(新村), 죽절(竹節), 해월(海月), 화심(花心)

인구는 142,175명.

전주의 중심역인 전주역이 우아동3가에 있다.

舊 소양면의 중심지인 황운동에 아중구청 소양출장소가 있다.

9.5. 조촌구(助村區)

관할 법정동: 여의(如意), 여의동2가(如意洞2街), 팔복동1·2·3·4가(八福洞1·2·3·4街), 고랑(古浪), 만성(萬成), 반월(半月), 성덕(聖德), 용정(龍亭), 원(院), 장(長), 화전(花田), 강흥(江興), 남정(南井), 도도(道道), 도덕(道德), 금계(金溪), 금평(金坪), 갈산(葛山), 남계(南溪), 반교(盤橋), 이성(伊城), 상개(上開), 용서(龍棲), 은교(銀橋), 이문(伊門)

인구는 270,539명.

삼봉구와 함께 탄소산업단지가 있으며, 서전주 지역의 관문인 전주 나들목과 동전주 나들목, 호남제일문이 있다.

9.6. 삼봉구(參鳳區)

관할 법정동: 수계(岫溪), 삼례(參禮), 구와(舊瓦), 석전(石田), 신금(新金), 신탁(新卓), 어전(於田), 하(下), 해전(海田), 후정(後亭), 고천(高川), 구미(九尾), 구암(九巖), 낙평(洛平), 둔산(芚山), 성덕(成德), 신성(新城), 용암(龍巖), 율소(栗所), 은하(隱下), 장기(場基), 장구(長久), 제내(堤內)

인구는 260,154명.

둔산동에 탄소산업 위주인 삼봉산업단지가 있다.

통일신라시대와 고려시대의 행정구역인 우주현(紆州縣)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