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양현 지도]

전라남도의 현

潭陽縣 / Damyang City

현청 소재지: 추성로 1371 (객사동)

광역자치단체: 전라남도

하위 행정구역: 18법정동 1읍 10면

인구: 176,257명

면적: 456.96km²

인구 밀도: 385.72명/km²


1. 개요

전라남도의 현. 나주현과 함께 광주시의 위성도시 역할을 맡고 있다.


2. 역사

1914년: 담양군과 창평군, 장성군 갑향면, 광주군 갈전면·대치면이 담양군으로 통폐합되었다.

 * 舊 담양군(潭陽郡)

 - 동면+서면 → 담양면(潭陽面)

 - 두면+목면+우면 → 구암면(九巖面)

 - 고면+광면+산면 → 월산면(月山面)

 - 고면+천면 → 금성면(金城面)

 - 용면(龍面)

 - 무면(武面)

 - 정면(貞面)

 * 舊 창평군(昌平郡)

 - 내면+외면+군내면 외동리 → 남면(南面)

 - 가면+군내면 → 창평면(昌平面)

 - 면+면 → 대덕면(大德面)

 - 면+북면+현내면 → 고서면(古西面)

 - 동서면+장남면+장북면+광주군 갈전면 궁산리·두정리 → 수북면(水北面)

 * 舊 광주군(光州郡: 갈전면(궁산리, 두정리는 제외.), 대치면) + 장성군 갑향면

 - 갈면+치면+갑향면 → 대전면(大田面)

1931년: 담양군 구암면이 봉산면으로 개칭되었다.

1932년: 담양군 면과 면이 무정면으로 통합되었다.

1943년: 담양군 담양면이 담양읍으로 승격되었다.

1955년: 광산군 석곡면 덕의리·충효리·금곡리를 담양군 남면으로 편입하였다.

1957년: 남면 일부(석곡면 편입지)를 광주시로 환원하였다.

1983년:

 - 봉산면 강쟁리, 무정면 오계리·반룡리, 월산면 가산리·삼다리·운교리, 금성면 금월리·삼만리·학동리가 담양읍으로 편입되었다.

 - 창평읍 광덕리가 봉산면으로 편입되었다.

1986년: 담양군 담양읍이 담양시로 승격되었다. 담양군 잔여 지역은 담주군(潭州郡)으로 개편되었다.

1995년

 - 담양시와 담주군이 담양현으로 도농통합되었다.

 - 창평면이 창평읍으로 승격되었다.

 - 대전면이 대치면으로 개칭되었다.


3. 경제

시내동지구는 서비스업과 제조업, 읍면 지역은 관광업과 농업으로 먹고 사는 전형적인 도농통합시이다.

시내동지구는 광주시와 가까워 1970년대 후반부터 담양읍(現 담양현 시내동지구)을 중심으로 도시개발사업이 진행되었으며, 최근 담양현 제2의 중심지인 창평읍에도 개발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3.1. 특산물

담양의 현목(縣木, 현(縣)을 상징하는 나무.)인 대나무로 만든 죽세공품이 죽녹원을 중심으로 판매되고 있다.


4. 교통

철도 중심인 나주현과 달리, 도로 교통이 담양현의 중심 교통으로 자리잡고 있다.

4.1. 철도

철도는 지나가지 않으며, 고속철도나 일반철도를 이용하려면 광주시에 있는 광주송정역을 이용해야 한다.

4.2. 도로

[담양현 도로 지도]

4.2.1. 고속도로

 * 광주대구고속도로: (시종점) - 고서 교차로 - 담양 교차로 - 담양 나들목 - (순창 교차로)

 * 광주순천고속도로: (문흥 교차로) - 고서 교차로 - 창평 나들목 - 대덕 교차로 - (옥과 나들목)

 * 고창담양고속도로: (장성 교차로) - 북광주 나들목 - 담양 교차로 - 대덕 교차로 - (시종점)

4.2.2. 일반국도

 * 13번 국도

 * 24번 국도

 * 29번 국도


5. 문화유산 및 관광

 * 소쇄원(瀟灑院): 남면 지곡리 소재. 조선 중종 시기의 학자 양산보(梁山甫)가 기묘사화로 그의 스승 조광조가 화를 입자 시골로 은거하러 내려가 본가 창암촌의 옆 계곡에 조성한 별서정원(別墅庭園, 별서(別墅)는 농장이나 들이 있는 장소에서 한적하게 지은 집을 뜻한다.)이다. 조선중기 호남의 사림 문화를 이끈 인물들이 교류하던 곳으로, 면앙 송순(俛仰 宋純: 담양에 있는 면앙정에서 면앙정가를 지었다.), 하서 김인후(河西 金麟厚: 성균관 문묘에 배향된 동방 18현에 속하는 호남의 유학자.), 송강 정철(松江 鄭澈: 윤선도와 함께 조선 가사문학의 대가로 알려져 있으며, 그의 시조인 <관동별곡>, <사미인곡>이 유명하다.) 과 같은 인물들이 드나들면서 정치, 학문, 사상 등을 논하던 구심점 역할을 하였다.

 * 죽녹원(竹綠苑): 향교동 소재. 죽녹원 8길, 판소리 전수관, 송강 정철 유적지, 죽향 체험마을이 있다. 담양현의 시내동에서 접근성이 좋아 대나무숲을 볼 수 있어서 호남 주민들에게도 인기가 많은 관광지이다.


6. 하위 행정구역

[담양현 행정구역 지도]

6.1. 시내동 지구

관할 법정동: 객사(客舍), 가산(佳山), 강쟁(江爭), 금월(錦月), 남산(南山), 담주(潭州), 만성(萬成), 반룡(盤龍), 백(栢), 삼다(三茶), 삼만(三萬), 양각(羊角), 오계(五桂), 운교(雲橋), 지침(紙砧), 천변(川邊), 학동(鶴洞), 향교(鄕校)

인구는 114,685명.

6.2. 읍

6.2.1. 창평읍(昌平邑)

관할 법정리: 창평(昌平), 삼천(三川), 오강(梧江), 외동(外東), 용수(龍水), 유곡(維谷), 유천(柳川), 의항(義項), 일산(一山), 장화(長華), 해곡(海谷)

인구는 28,035명.

舊 창평군(昌平郡)의 중심지이자 담양현 제2의 중심지로, 창평리에 담양현청 창평출장소(창평읍, 고서면, 남면, 대덕면 관할.)가 설치되어 있다.

창평리, 삼천리, 의향리를 중심으로 창평읍 시가지가 형성되어 있다.

6.3. 면

6.3.1. 舊 담양군(潭陽郡)

6.3.1.1. 금성면(金城面)

관할 법정리: 석현(石峴), 금성(金城), 대곡(帶谷), 대성(大成), 덕성(德成), 봉서(鳳棲), 봉황(鳳凰), 외추(外楸), 원율(原栗), 원천(元泉)

인구는 2,962명.

6.3.1.2. 무정면(武貞面)

관할 법정리: 봉안(鳳安), 덕곡(德谷), 동강(東江), 동산(東山), 서흥(瑞興), 성도(成道), 안평(安平), 영천(靈泉), 오례(五禮), 오룡(五龍), 오봉(五峰), 정석(貞石), 평지(平地)

인구는 2,798명.

6.3.1.3. 봉산면(鳳山面)

관할 법정리: 신학(新鶴), 광덕(廣德), 기곡(錡谷), 대추(大秋), 삼지(三支), 양지(陽地), 연동(淵洞), 유산(柳山), 와우(臥牛), 제월(祭月)

인구는 3,079명.

황해도 봉산부(鳳山府)와 한글 및 한자 명칭이 똑같다.

6.3.1.4. 수북면(水北面)

관할 법정리: 수북(水北), 고성(古城), 개동(開東), 궁산(弓山), 나산(羅山), 남산(南山), 대방(大舫), 대흥(大興), 두정(斗井), 오정(梧亭), 정중(井中), 주평(舟坪), 풍수(豐水), 황금(黃金)

인구는 4,528명.

6.3.1.5. 용면(龍面)

관할 법정리: 추성(秋城), 도림(道林), 두장(斗長), 산성(山城), 쌍태(雙台), 용연(龍淵), 용치(龍峙), 월계(月桂), 청흥(靑興), 통천(桶泉)

인구는 1,939명.

취소선 처리된 산성리와 청흥리는 1976년 담양댐이 세워져 담양호가 만들어져서 수몰되어 폐지되었다.

6.3.1.6. 월산면(月山面)

관할 법정리: 월산(月山), 광암(廣巖), 신계(新溪), 오성(五星), 용암(龍巖), 용흥(龍興), 월계(月溪), 월평(月平), 중월(中月), 화방(化方)

인구는 2,691명.

6.3.2. 舊 창평군(昌平郡)

6.3.2.1. 고서면(古西面)

관할 법정리: 동운(東雲), 고읍(古邑), 교산(敎山), 금현(金峴), 보촌(甫村), 분향(芬香), 산덕(山德), 성월(聲月), 원강(院江)

인구는 3,572명.

6.3.2.2. 남면(南面)

관할 법정리: 연천(燕川), 가암(柯巖), 경상(京相), 구산(九山), 만월(滿月), 무동(茂洞), 인암(仁巖), 정곡(鼎谷), 지곡(芝谷), 풍암(豐巖), 학선(鶴仙)

인구는 1,337명.

담양의 유명 관광지인 소쇄원이 지곡리에 있으나, 지곡리는 광주시와 매우 가까워 광주시 생활권에 속한다.

6.3.2.3. 대덕면(大德面)

관할 법정리: 매산(梅山), 갈전(葛田), 금산(錦山), 문학(文學), 비차(飛釵), 성곡(聲谷), 용대(龍坮), 운산(雲山), 운암(雲巖), 입석(立石), 장산(章山)

인구는 2,021명.

6.3.3. 舊 광주군(光州郡, 現 광주시)+장성군 갑향면

6.3.3.1. 대치면(大峙面)

관할 법정리: 대치(大峙), 갑향(甲鄕), 강의(講義), 병풍(屛風), 서옥(西玉), 성산(城山), 월본(月本), 응용(應龍), 중옥(中玉), 태목(台木), 평장(平章), 행성(杏成)

옛 지명은 대전면(大田面)이었으나, 1995년 행정구역 개편 때 舊 대전면의 별칭인 대치(大峙)에서 이름을 따와 개칭되었다.

인구는 4,575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