ㅍㅇ /가상이론/ 


A는 B보다 크고, B는 C보다 크고, C는 D보다 크지만 D는 A보다 작은 식은 성립할 수 없다.

그러나 최근 밀톤 수학협회에서 발표된 드롭 웨이크필드의 논문에 이르면,


D에 무한을 대입할 경우의 식을 예로 들자면

무한+3은 무한+2보다 크고, 무한+2는 무한+1보다 크고, 무한+1은 무한보다 크고, 무한은 무한+3보다 크다.

무한은 끝이 없는 수, 즉 모든 수보다 더 큰 수를 의미하기 때문에 이 식이 성립된다.

이 식을 발견해 낸 드롭 웨이크필드의 이름을 따서 이 식은 '웨이크필드 부등호' 라고 불리게 되었다.

그러나 이 식이 성립은 하나 무한의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웨이크필드의 역설' 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이 공로로 드롭 웨이크필드는 밀톤수학협회 올해의 인물로 선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