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


본 조약의 당사국은,


모든 국민과 모든 정부가 평화적으로 생활하고자 하는 희망을 재확인하며, 또한 발칸 반도와 지중해 지역에 있어서의 평화 기구를 공고히 할 것을 희망하고,


당사국 중 어느 1국이 발칸 반도 지역에 있어서 고립하여 있다는 환각을 어떠한 잠재적 침략자가 갖지 않도록 외부로부터의 무력 공격에 대하여 자신을 방위하고자 하는 공동의 건의를 공공연히 또한 정식으로 선언할 것을 희망하고,


또한 발칸 반도와 지중해에 있어서 더욱 포괄적이고 효과적인 지역적 안전보장 조직이 발달될 때까지 평화와 안전을 유지하고자 집단적 방위를 위한 노력을 공고히 할 것을 희망하여


다음과 같이 동의한다.


제1조 당사국은 관련될지도 모르는 어떠한 국제적 분쟁이라도 국제적평화와 안전과 정의를 위태롭게 하지 않는 방법으로 평화적 수단에 의하여 해결하고 또한 국제관계에 있어서 국제연합의 목적이나 당사국이 국제연합에 대하여 부담한 의무에 배치되는 방법으로 무력으로 위협하거나 무력을 행사함을 삼갈 것을 약속한다.


제2조 당사국 중 어느 1국의 정치적 독립 또는 안전이 외부로부터의 무력 공격에 의하여 위협을 받고 있다고 어느 당사국이든지 인정할 때에는 언제든지 당사국은 서로 협의한다. 당사국은 단독적으로나 공동으로나 자조와 상호 원조에 의하여 무력 공격을 저지하기 위한 적절한 수단을 지속 강화시킬 것이며 본 조약을 이행하고 그 목적을 추진할 적절한 조치를 협의와 합의 하에 취할 것이다.


제3조 각 당사국은 타 당사국의 행정 지배하에 있는 영토와 각 당사국이 타 당사국의 행정 지배하에 합법적으로 들어갔다고 인정하는 금후의 영토에 있어서 타 당사국에 대한 발칸 반도에 있어서의 무력 공격을 자국의 평화와 안전을 위태롭게 하는 것이라 인정하고 공통한 위험에 대처하기 위하여 각자의 헌법상의 수속에 따라 행동할 것을 선언한다.


제4조 코소보 연방은 혁명군을 해체한후 그리스에게 안보를 위탁하며, 코소보 연방은 이에 최대한 협조한다

이 조항은 코소보 연방이 안보를 유지할 능력이 있다고 판단될때까지 유지된다



제4조 코소보-알바니아 연방은 코소보 혁명군을 제한적으로 가지며 전시에는 그리스군의 통제를 따른다.



제5조 상호적 합의에 의하여 그리스 공화국의 육군, 해군과 공군을 코소보-알바니아의 영토 내와 그 부근에 배치하는 권리를 코소보-알바니아는 이를 허여하고 그리스은 이를 수락한다.


제6조 본 조약은 코소보-알바니아 연방과 그리스 공화국에 의하여 각자의 헌법상의 수속에 따라 비준되어야 하며 그 비준서가 양국에 의하여 아테네에서 교환되었을 때 효력을 발생한다.


제7조 본 조약은 무기한으로 유효하다. 어느 당사국이든지 타 당사국에 통고한 후 1년 후에 본 조약을 종지시킬 수 있다.



이상의 증거로서 하기 전권위원은 본 조약에 서명한다.


본 조약은 1931년 6월 14일 아테네에서 알바니아어와 그리스로 작성되었다.


코소보-알바니아 연방을 위하여 부야르 니샤니 코소보-알바니아 대통령


그리스 공화국을 위하여 요르요스 파판드레우 그리스 공화국 대통령


@여자에요_여자죠

허가요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