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내가 이해하기로는 이번에 말한 게 ‘도시철도’라면 광주선 이설&지하화와는 별개 건으로 판단. 즉 송정-극락강-광주의 광주선은 그대로 둔 채 별개 도시철도(3호선)로서 지하철 만드는 것. 비용 및 효용 고려했을 때 굳이 이걸 지하화&이설할 필요는 없다 생각. 물론 3호선과 광주선이 공히 ‘광주역 기점의 동서선’이라는 공통점이 있지만 기능을 달리하면 될 것. 즉 광주선은 장거리 이동용으로(=광송광주 특급) 쓰면 될 것.

일단 3호선을 2호선과 비슷한 지하 경전철로 가정시, 광주역 앞 도로 파서 짓는 것이라 생각. 이때 상무-시청-광천-방직-광주역’ 노선에서 광주역-금남로5가까지 한 번 더 가면 좋겠음.

한편 광주선은 광주선 대로 활용해서 광역철도화: 핵심기능은 광주역-송정역의 특급 연결이되, (목포?)-나주역-송정-극락강-운암-광주역-각화-담양으로 굴릴 수는 있을 것(3호선 방직역 존재로 야구장은 이제 불필요)

이렇게 설정하고 상상해보면, 원도심 등 1호선 동쪽 라인에서 오히려 광주역, 광천 가기 어려운 것 해소 가능하고, 2호선 북구 구간에서 원도심 가는 동선도 3호선 연계로 편리하며 광주선 타고 송정역도 빠르게 갈 수 있음. 특히 3호선은 복선 도시철도이니 배차간격도 좋을 것.

요컨대 광주역에서 갈 수 있는 게 역 내부 선로로는 광주선(송정, 담양&대구행), 역 뒷편은 2호선(전남대 등 북구 곳곳, 조선대 및 남광주), 역 앞쪽에서는 3호선(금남5, 방직-광천-상무)로 ㄹㅇ 장거리/단거리 각 방면으로 모두 소화 가능.

동쪽 권역은 광주역에서 장거리단거리 다 통하는 구조 만들었다면, 서쪽 권역은 단거리는 상무(광천, 혁도, 금남로, 수완, 첨단, 풍암, 백운 등), 장거리는 송정(목포 익산 순천 서울 등)으로 분리 집적.

송정 쪽 거주자 아닌 경우 사실 웬만한 광주 내 일상적 활동은 상무~광주역 사이 반경에서 이루어질 것이고, 송정을 거쳐 외부에서 광주로 들어온다고 가정시 광주선으로 일단 광주역 가서 사방으로 쏘거나 1호선으로 상무 찍고 사방으로 퍼지면 웬만한 곳은 쉽게 갈 것.


즉 1호선과 3호선 두 동서선을 동, 서에서 한 번씩 이어주는 구조인 것이고, 백운-농성-광천 잇는 중앙 남북선은 이것과는 아예 다른 기능을 수행하면서 의미를 가질 것이라 생각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