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산 무안군수입력 2023.07.24. 17:44


지난 4월 광주군공항 이전 특별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이래 광주시와 전남도, 전남도와 무안군 간 갈등을 빚고 있다. 김영록 전남도지사가 광주 군·민간공항의 통합 이전을 호소하고 광주시는 1조원 지원책을 발표했으나 무안군의 입장은 명확하다. 무안군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광주 군공항 무안 이전을 저지하며, 원하는 지역으로 가도록 지원하도록 하라는 것이다. 군민의 평화롭고 행복한 삶을 위해 군민 대다수가 반대하는 광주전투비행장 무안이전을 반드시 저지해 내겠다.

이는 우리 후손들의 미래를 생각하며 결정했다.

광주 군 공항 이전 시 전투기 소음피해로 무안군의 성장동력이 꺾이게 된다.

광주 군 공항은 교육훈련을 주로 하는 공항으로 비행횟수가 많고 선회비행 및 이착륙 훈련 등으로 전국 16개 군 공항 중 소음이 가장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투기 이륙 빈도는 1일 평균 120여회로 평균 소음도는 88웨클에 달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는 항공기 소음은 스트레스 유발 호르몬 수치를 높여 인간의 심성과 성격을 거칠게 하는 부작용이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군공항 예정후보지로 거론되고 있는 무안국제공항 주변은 지리적으로 무안 발전의 중심부이고 서해안과 신안의 다도해를 잇는 교통의 중심지이다.

현재 무안공항 주변에는 무안 MRO항공특화산업단지가 조성되고 K푸드융복합산업단지, 창포호생태공원, 첨단농업복합단지 조성사업이 추진 중이다. 또 도리포와 톱머리 해수욕장은 관광명소화 사업 등이 추진 중이다. 군공항 외곽 5km가 군사보호지역으로 묶이게 되므로 무안국제공항 및 KTX공항역과 연계한 역점사업들은 개발에 제약을 받고 추진이 어렵게 된다.

이밖에도 무안군 농수축산물의 부정적 이미지 낙인으로 농가소득 감소와 축산업 붕괴가 불가피하고 어업은 피해보상 증빙이 어려워 보상도 받기 힘들다.

관광산업도 큰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 현재 무안갯벌 해안선을 중심으로 펜션과 귀촌이 늘어나고 있고, 무안CC에는 리조트가 증축되고 있다. 또 조금나루에 대규모 휴양시설이 올 하반기 착공예정이고, 도리포에는 관광호텔 투자협약도 체결했다.

무안국제공항은 1993년 목포공항에서 발생한 비행기 사고를 계기로 광주시와 전남도 편의와 서남권 발전을 위한 거점공항을 육성한다는 취지로 목포공항과 광주 국내선의 통합공항으로 건설됐다.

국토부의 공항개발중장기종합계획에 의하면 광주공항은 무안국제공항 개항시기에 맞춰 이전하는 것이 국가의 방침이었다.

그런데 광주시에서는 시민들이 불편하다며 2007년 무안국제공항 개항 당시에도 국제선만 이전했고, 2018년 8월 이용섭 시장과 김영록 도지사, 김산 군수 등 3자가 만나 2021년까지 광주공항을 무안국제공항으로 조건 없이 이전한다는 약속도 2020년 12월 시민권익위 권고를 핑계로 지키지 않았다.

무안군에서 2020년 10월 실시한 만 18세 이상 1천명을 대상으로 한 주민여론조사 결과 전투비행장 이전 찬성이 22%, 반대가 70.3%, 무응답이 7.7%였다.

광주 군공항이 원하는 지자체로 이전할 수 있도록 국방부와 광주시, 전남도가 함께 노력해 줬으면 좋겠다. 김산 무안군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