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영상 링크:

https://youtu.be/FbYLqzW4Z_Y?si=6u0e11uaitQts6qv



해당 튜토리얼은 서브스턴스로 만드는 그라디언트 베이스 컬러를 만들기 튜토리얼임. 위의 영상을 참고하며 만들었음.


해당 글을 쓰는 이유는 개인적으로 배우면서 가장 나에게 와닿았던 작업이었고, 해보니까 생각보다 쉽고, 다른사람들도 시도해보길 바라는 마음에서 써봄.

1. 그라디언트 베이스를 굳이 만드는 이유가 무엇인가.

좌:단색베이스 우:그라디언트 베이스

단색보다 볼륨감을 더해줄 수 있음. 단색 베이스는 자칫 평면적으로 보일 수 있는데, 그라디언트 베이스는 부족한 양감을 더해주는 작업을 미리 해두는 거라고 생각하면 된다.


2. 그럼 어떻게 세팅하나.


레이어 5개를 설정하여 만든다. 위의 이미지는 베이스 컬러만 표시했음에도, 형태가 잘보임을 알 수 있다. 5개의 레이어를 보여주며 설명을 이어나가겠다.


1). basecolor

베이스 컬러를 설정해두는 레이어다. 만약 가죽, 금속등의 레이어를 사용한다면, 재질 머터리얼을 가져오거나, 스마트 머터리얼의 가장 베이스가 되는 레이어를 설정하면 된다.
2). AO 레이어

레이어 설정은 곱하기(multiply)로 설정한다. 해당 레이어의 색감은 베이스 레이어가 짙어지는 색감을 설정하고 색을 정하면 된다. 이 레이어의 경우 안쪽으로 들어가있는 부분이나, 오브젝트가 어두워지는 부분을 진하게 표시해준다.
마스크 레이어에서 생성기 -> ambient occlusion을 선택하면 된다.

그리고 ambient occlusion 에서 이렇게 세팅해준다.

3).edgehighlight

모서리 부분을 다시 밝게 강조하는 레이어다. 이것도 마스크 레이어에서 생성기 -> Culvature 를 선택하면 된다.


생성기 설정.

4). 반사광작업

오브젝트의 명암을 보색으로 어두워지도록 칠하며 베이스를 마무리 시키는 레이어다. 이것도 곱하기(multiply)로 설정한다. 색감은 베이스 컬러를 추출하고, 보색단계로 색상을 설정하면된다. 해당 레이어는 생성기->position을 선택하도록 한다.

position 설정.

5).baked lighting stylized

해당작업의 하이라이트이자 가장 중요한 작업이라고 볼 수 있다. 가상의 햇빛을 비추어 물체를 비췄을때 나타나는 색감을 새로 설정하는 레이어다. 다른 레이어와 다르게 이 레이어는 필레이어에 필터를 설정하고 baked lighting stylized를 선택한다. 다른건 마스크에서 설정하지만 얘만 레이어 그자체에다가 적용한다. 해당레이어는 소프트라이트로 설정한다.

해당 레이어 세팅인데. 이 레이어 같은 경우에는 물체의 위치나 강조하고 싶은 부분을 기준으로 앵글을 돌려주며 설정해야 된다. 
sun intensity 에서 일조량을 조절하고 아래의 앵글로 비추는 방향을 조절하면 된다. 예를 들어 처음에 보여주었던 위의 해골의 경우, 등쪽의 오브젝트였기 때문에 비추기 위해 앵글이 등쪽에 있는 해골을 비추도록 설정하였다. 대강 그런식으로 위치를 맞춰주면 된다.


3. 마치며

 나름대로 튜토리얼을 만들어 보겠다고 부족한 글솜씨로 게시글을 올려봤다. 작업 과정을 보여주는게 좋다고 생각하고, 아마 이작업에 대해서는 이미 알고있는거던가, 나랑 다른식으로 작업하는 사람들도 있다고 본다. 영상으로 보여줄껄 글로 쓴다고 글이 쓸데없이 길어졌다. 긴글 봐줘서 고맙고 본인도 취업할 수 있도록 정진하도록 하겠다.


자료 머터리얼:https://drive.google.com/file/d/1j9A7zfpMML-a5oN0ftl8aIl8qIjd8d84/view?usp=drive_link


어차피 만드는거 다들 귀찮은거 아니까 만들어둔거 링크로 남겨둠. 이상이다.

--수정)제목 수정함. 스타일라이즈드 베이스라고 영상 제목이 써져 있었지만, 이 작업은 전반적으로 써먹을 수 있겠다고 생각이 들어서 수정함. 다들 츄라이츄라이.
++추가)위의 영상에서 적용후에 조절하는 작업 참고하길 바람. 내가 이미지로 세팅 요약은 했지만, 제대로 써먹는 방법은 영상에 있으니까 적용해보려는 챈럼도 영상 시청하는걸 권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