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임러 타이틀은 달고 있지만 가끔 챈에서 떡밥터질때마다 항의메일 수정첨삭하는거 외에 따로 하는게 없는 번역공임이다

그 어느 솦붕이들과 마찬가지로 이번 규제로 인해서 매우 화가나있는건 나도 마찬가지고, 내가 무언가 의미있고 도움이 될 수 있는 일을 할 수 있을까 싶어서 고민을 하다가 이번에 미국 상원에 계신 상원의원님들한테 진심을 담은 청원편지를 써서 보냈어. 


미국 헌법에서는 미국 의회가 "타국과의 무역을 규정/규제할 수 있다 (regulate commerce with foreign nations)"라고 조지 워싱턴이 대통령 하던 시절부터 못박아뒀기 때문에, 무역 관련 이슈에 있어서 미국 상원은 꽤 큰 영향을 끼치고 있어. 거기 있는 상원의원님들 중에는 한국 문제를 특히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는 의원들의 모임인 "코리아 코커스"가 있고. 이 모임은 꼭 어떤 당에 속한 의원들만 모여있다기 보다는, 4명의 상원의원님들이 초당적으로 서로 협력해서 더욱 나은 한미관계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자 하시는게 모임의 특징이야. 


https://www.ossoff.senate.gov/press-releases/sens-ossoff-sullivan-schatz-young-launch-u-s-senate-korea-caucus/

https://www.voakorea.com/a/7127310.html


그래서 코리아 코커스에 속해있는 존 오소프, 브라이언 샤츠, 댄 설리번, 토드 영 의원님들한테 편지 보내고 왔다. 



이런식으로 열심히 적어서 
(물론 실제로 나갈때는 내 영어이름이랑 미국에 살때 쓰던 주소 넣음)









상원의원 4분 모두한테 웹사이트 통해서 편지 보냈음.


편지는 아래와 같이 썼고, 만약에 참고하고자 하면 얼마든지 참고해도 좋아! 




Dear Senator (NAME),

 

I hope this letter finds you well.

 

I am writing today to shed light upon an ongoing policy issue in South Korea, which might sound distant to you as an American senator, but which I believe is deeply related to United States’ trade with South Korea. 

 

On May 16th, 2024,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s announced the “Enhancing Consumer Safety and Strengthening Corporate Competitiveness in Consumer Foreign Direct Purchase (Korean: 해외직구 소비자 안전 강화 및 기업 경쟁력 제고방안)” measures, which seeks to ban consumers from directly importing goods from overseas sellers, such as but not limited to Amazon, AliExpress, and TEMU. Announced with the pretext of “protecting domestic markets,” the measures put a direct import ban on over eighty different categories of products, such as various electronic goods, toys, batteries, airsoft guns, consumer-use chemicals, and sterilizers, severely limiting South Korean consumers from purchasing these products from overseas sellers. The government is also proposing to stop its policy of waiving tariffs requirements of imported goods under $150, making it harder for consumers to make the most reasonable choice in purchasing consumer goods.

 

While such measures might seem reasonable at a glance, the reason why I am calling for your attention on the matter is because this measure is indiscriminate, preventing South Korean citizens from purchasing goods sold by American retail sellers and manufacturers. Both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 benefits from the Free-Trade Agreement (KORUS FTA), which has been the bedrock of free trade between both our countries since 2008. Through the FTA, both Korean and American citizens were able to enjoy the immense benefits and the added values that stems from the consumer goods of both countries, where South Korean citizens enjoy American goods such as Apple iPhones, Dell laptops, and USDA Prime Ribs, while American citizens also mutually benefits from Samsung Galaxy, LG TVs, and Hyundai automobiles. However, the proposed measure puts a disproportionate ban towards various American products sold by American sellers towards Korean citizens, as the proposed South Korean policy measure outright prohibits South Koreans purchasing goods from American sellers exporting their products to consumers overseas. According to the Federation of Korean Industries, South Koreans directly purchased 1.226 billion USD worth of goods from American retail sellers in Q1 and Q2 2022 alone. According to Statistics Korea, South Koreans directly purchased 1.368 billion USD worth of goods from American retail sellers in 2023, which proves that this is a sizable market. The South Korean policy to ban the direct purchase of goods from overseas sellers will not only hurt South Korean consumers, but also American taxpayers who benefit from selling their products to South Korean consumers. 

 

The measure goes directly against the values of open and free trade that both the United States and South Korea agrees upon, where both countries agree to engage in trade that is mutually beneficial towards each other, and to break down the different barriers and regulations which impedes both countries from mutually prospering through fair trade. The reason why I am writing specifically to you, Senator (NAME), is because I am aware that you are a part of the U.S. Senate Korea Caucus, formed during the 70th anniversary of the U.S. – Korea alliance to strengthen and better the relationship between both our countries. Furthermore, to my best of knowledge, the United States Senate – and the U.S. Congress as a whole - has the ability to regulate foreign commerce and exercise necessary measures within its powers to protect American interests in trade, as enumerated by the U.S. Constitution. In that note, I sincerely ask you to take a look into this matter, and if possible, do what can be done to protect the best interests of Americans and Koreans that benefit from the mutual trade of both our countries. 

 

As a South Korean citizen who has studied in Washington D.C. throughout my college years, I am very grateful of the work that you are doing to better the alliance, and foster the best relationship between both our countries. At the same time, my time at D.C. made me fully aware of the unique and special role that the Capitol Hill plays on American trade and diplomacy, which would be especially useful at this very moment. I hope that my letter, while it might be insignificant or tedious, be of help in guiding you make the best decision in mutually benefiting both Americans and Koreans who rely on our ever-dependent economic relationships. 

 

Sincerely,

(내 이름)



번역본:


ㅇㅇ 상원의원님 귀하, 

 

저는 오늘 상원의원님께는 다소 먼 이야기로 들릴 수도 있지만, 미국과 한국간의 무역에 아주 깊은 영향이 있는, 한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정책 관련 이슈에 대해 소개해드리고 싶습니다. 

 

2024년 5월 16일에, 대한민국 정부는 “해외직구 소비자 안전 강화 및 기업 경쟁력 제고방안” 이라는, 대한민국 소비자들이 아마존,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등과 같은 해외 소매사업자들로부터 직접구매(직구) 하는 것을 막고자 하는 제도를 발표하였습니다. “내수 시장 보호”라는 전제 하에 발표된 이 정책은, 다양한 전자제품, 완구류, 배터리, 비비탄총, 생활화학용품, 소독제 등 80여가지 종류의 제품들에 대한 직구를 막음으로서, 한국 소비자들이 해외 셀러들로부터 이러한 제품들을 사는 것을 극히 제한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정부는 또한 기존에 150불 미만의 직접수입통관 제품들에 대한 관세면제 제도를 철폐하여, 소비자들이 소비재를 구매하는데에 있어 합리적인 선택을 하는 것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습니다. 

 

이러한 제도들이 한눈에는 합리적이라고 보실 수도 있겠지만, 이 정책에 대해 (상원의원님의) 관심을 불러일으키려는 이유는, 이 제도가 무차별적이기 때문으로, 특히 대한민국 시민들이 미국 소매상들과 제조사들로부터 제품을 구매하는 것을 막기 때문입니다. 우리 두 나라, 한국과 미국은, 2008년부터 양국의 자유무역의 기반이 되어온 한미자유무역협정으로부터 많은 혜택을 얻고 있습니다. 자유무역협정을 통해, 한국의 시민들이 애플의 아이폰, 델의 노트북, USDA 프라임 등급의 갈비를 소비하고, 미국의 시민들이 삼성 갤럭시, LG 텔레비전, 현대의 자동차를 사용하듯, 한국과 미국의 시민들은 양국의 다양한 소비재들이 주는 엄청난 혜택과 부가가치를 즐기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번에 (대한민국 정부가) 추진하는 정책은 한국 시민들이 미국 소매상들로부터 각종 제품들을 구매하는 것을 제한하기에, 미국 소매상들이 대한민국 시민들에게 판매하는 미국 제품들에 대해 불균형한 제한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인협회에 따르면, 2022년 상반기에만 해도 대한민국 시민들은 12.26억불 규모의 제품을 미국으로부터 직구하였으며, 통계청에 따르면 2023년에 한국인들은 13.68억불 규모의 제품들을 미국으로부터 직구하였습니다. 이러한 통계는 직구시장이 꽤 규모있는 시장이라는 반증입니다. 이에, 직구를 제한하는 대한민국 정부의 정책은 한국 소비자들에게만 피해를 끼치는 것이 아닌, 한국 소비자들에게 제품을 판매함으로서 이득을 얻는 미국 시민들에게도 악영향을 끼칠 것입니다. 

 

이번 조치는 대한민국과 미국이 둘 다 전적으로 동의하는, ‘상호호혜적이며 공정무역을 통해 양 국가의 공동 발전을 위해 다양한 장벽들과 규제들을 철폐하고자 하는’ 자유무역의 가치를 직접적으로 거스르고 있습니다. 제가 ㅇㅇ 상원의원님께 직접 이 글을 쓰는 이유는, 상원의원님께서 한미동맹의 70주년을 기념하여 우리 두 나라의 관계를 강화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형성된 미국 상원 “코리아 코커스”의 일원이신 것으로 알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 제가 아는 한, 미국 상원과 미국 의회는, 미국의 헌법에 규정된 것과 같이 미국이 타국과 행하는 무역 관련 업무를 조정하고 미국이 타국과의 무역에 있어 수호하고자 하는 가치들을 지키기 위해 필요한 행위들을 행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하여, 혹시 가능하시다면 이번 이슈를 주의 깊게 보시고, 양국의 상호무역을 통한 혜택을 입고 있는 미국인들과 한국인들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를 취해주실 것을 진심으로 촉구드립니다. 

 

대학교 학부 시절 워싱턴 D.C.에서 공부를 했던 한국의 시민으로서, 상원의원님께서 양국의 동맹을 발전시키고 최고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기울이고 계신 모든 노력에 대해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동시에, 제가 D.C.에서 쌓은 경험은 캐피톨 힐 (역주: 미국 의회를 의미함 / 우리나라에서 국회의사당을 여의도라고 부르는거랑 같음)이 미국의 무역과 외교에 있어 행사하는 고유하고 특별한 역할에 대해 더욱 잘 알게 해주었으며, 그런 역할이 지금과 같은 시기에 그 어느 때 보다 더욱 유용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제가 보내는 편지가 (의원님께서 보시기에) 대수롭지 않거나 다소 지루하실 수도 있곘지만, 의원님께서 그 어느때보다 서로에게 상호의존하고 있는 한국인들과 미국인들의 경제적 관계를 발전시키는데에 있어 올바른 판단을 내리시는데에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솦붕이 본인) 드림 





뭐 얼마나 영향이 될지는 모르고 그냥 씹힐 가능성이 99%지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면 좋겠다 

근데 진짜 상원의원한테 답변 오면 재밌겠네 




그리고 이건 긴 글 읽느라 수고했으니깐 그냥 내 총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