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들 안녕? 자연지리 글이 별로 없어서 그냥 하나 써본다.


어떠한 지역의 사용 가능한 수자원의 양, 혹은 하천유량...이런건 어떻게 예상할까? 생각해 본 적 있을려나? 


뭐...사실 굉장히 다양한 기법이 농공학/토목공학/지구과학/토양학/지리학 등등 다양한 분야에서 제각각, 혹은 서로 교류하면서 백여년 넘게 개발되고 발전되고 그래왔지. 요즘은  최첨단 기후 예측모델과 연계되서 하루에 수십 테라바이트씩 결과를 생산해내는 그러한 방식으로도 예측도 하고.


그런데 그 가장 기본이 되는 근간 개념들을 살짝 소개해볼려고.




위에 그림은 고전 중에 고전, Thornthwaite(1948)가 제안한 물수지 모델이야.  요약해보자면....

강수량(비, 눈) = 증발산량 + 저장용량(지하수, 빙하) + 유출량(하천 등을 통해 바다로 빠지는)

간단데스네...근데 이게 진짜로 수문학의 기본개념이자 토대라고 보면됌.




근데 여기서 간단하게 기후학적인 요소를 곁들이면 재밌어지는데.



위에는 Budyko Curve(1974)라고 부르고 어느 지역의 기후특성과 사용 가능한 수자원양을 그림 하나로 퉁쳐버리거.

Y축은 (실제로 증발산 된 물의 양/강수량), X축은 (최대로 증발산 가능한 물의 양/강수량).

X값이 1보다 작으면 기후적 요인으로 인해서 아무리 열심히 최적 조건에서 열심히 증발산이 일어나도 물이 남는거고, 
X값이 1보다 크면? 비는 오긴 오는데 기후적 특성상 얼마든지 다 증발산되버릴 준비가 되어있다...이거고.

전 세계를 대상으로 증발산과 강수량의 관계를 적당히 회귀곡선으로 그려주면 대충 저 점선과 같은 곡선이 나온다...는게 부디코의 가설임. 말이 많은 접근법이긴 한데, 그래도 꽤나 유용한 개념임.

아...급 귀찮아서 줄인다. 다음에 이어쓰던가해야지. 궁금한거 있으면 댓글다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