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츠쿠시, 치쿠시(筑紫)


- 지쿠고풍토기(筑後風土記)에는 "尽くす"에서 유래 그 뜻은 안장을 닳게하고, 사람을 죽이며, 나무를 벤다고 표현함


- 그 별칭을 시라히와케(白日別)라고 부르는데, 別(와케)는 고대 인명에서 볼 수 있으며 의인화 표현의 일종으로 봄


- 일본서기(日本書紀)에는 츠쿠시노시마(筑紫嶋), 츠쿠시노휴가(筑紫の日向)로 표기되는데, 尽くす는 사방팔방으로 퍼진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어 츠쿠시노휴가는 양지, 즉 태양을 향해 뻗어간다고 해석할 수도 있음


- 또 다른 어원으로는 다자이후로 가는 납작돌 길(石畳の道, 이시다타미노미치)을 닦는 데서 치쿠이시(築石, 돌담을 쌓는데 쓰는 돌)가 チクシ로 와전되었다고도 봄


- 筑(ちく, 치쿠) + 紫(し, 시) / '치쿠'는 중국 고대 현악기 '축'의 음독, '시' 자줏빛 '자'의 음독해 읽은 음차 단어


- 7세기 말 이후 치쿠젠국(筑前国)과 치쿠고국(筑後国)으로 분할됨


2. 히(肥)


- 일본서기에 따르면 케이코 천황(景行天皇)이 타던 배가, 밤이 어두워 착안이 어려울 때 아득한 불빛을 보고 무사히 육지에 도착할 수 있었기에 해당 불빛이 있었던 야시로노아가타(八代県, 아가타는 황실 직할지 또는 지방관의 임지를 의미하는 용어이며 시골, 지방이라는 의미로도 사용됨)의 토요무라(豊村)를 히노쿠니()라 이름 지어준 것에서 유래되었다고 함


- 이 불빛은 규슈 야츠시로 해(八代海)에서 무수히 많은 불빛이 깜빡이던 현상인 시라누이(不知火)를 가리킴 / 참고로 시라누이의 역사적 가나 표기법은 不知(しらぬ)+火(ひ)인 しらぬひ지만 は행이 어중, 어말에 오면 "와, 이, 우, 에, 오"로 발음하는 데 이를 '하행 전호음'이라고 부르며 오늘날 가나 표기법에서는 발음대로 표기하나, 일부에서는 역사적 가나 표기법을 쓰는 경우가 있음


- 일각에서는 아소산(阿蘇山)의 분화를 의미한다고 보기도 함


- 肥(히, ひ) / 肥는 살찔 '비'를 음독해 읽은 음차 단어


- 치쿠시와 마찬가지로 히젠국(肥前国)과 히고국(肥後国)으로 분할됨


3. 토요(豊)


- 분고국풍토기(豊後国風土記)에 따르면 백조(白鳥)가 있고, 백조가 떡이 되고, 수천 그루의 토란(さといも, 사토이모)이 되면서 땅이 풍초(豊草)이니 토요노쿠니(豊の国)라고 이름 짓겠다 한 것이 유래라고 함


- 별개의 얘기로 토요쿠니(豊国)는 고대 일본에서 한반도를 부르던 별칭임 '宝の国'(타카라노쿠니)와 함께 사용되었던 단어라고 함


- 토요(豊, とよ) / 豊는 풍년 '풍'을 나노리(名乗り, 일반적 독음이 아닌 인명/지명 등에서 특수한 읽기)해서 읽은 단어


- 치쿠시, 히와 마찬가지로 부젠국(豊前国)과 분고국(豊後国)으로 분할됨


4. 휴가, 히무카(日向)


- 일본서기에 따르면 케이코 천황이 코유군(子湯県, こゆぐん) 니모노오노(丹裳小野)를 방문해 아침해를 보며 종자에게 '이 곳은 일출(日の出)을 바라보고 있다'며 말한 것에서 유래되었다고 봄


- 읽는 법에 대해 일본서기에는 '宇摩奈羅麼、譬武伽能古摩'(うまならば、ひむかのこま) = 馬ならば日向の駒(말이라면 히무카의 말)이라고 적혀 있음


- 휴가(ひゅうが)는 히(日) + 무카(向)가 전음(転音)된 것으로, 현대 일본어 표기법에 따르면 い단 뒤에 う、ふ가 오는 경우, い단 + ゅう 장음(ū)으로 발음함 / 비슷한 예시로 柳生라는 성씨는 柳(やぎ)+生(ふ) → やぎう → やぎゅう(야규)로 발음됨


5. 오스미(大隅)


- 「모퉁이 우(隅)」는 스미(すみ)라 읽는데, 산과 강이 활처럼 굽게 되어 깊숙이 숨어있는 곳을 말하기에 오스미라는 지명도 지형이 활처럼 크게(大) 굽은 모퉁이(隅)라서 유래되었다고 봄


- 소노쿠니(襲国 ,そのくに)라 불리우며 규슈 남부의 지방 세력인 쿠마소(熊襲, くまそ)와 하야토(隼人, はやと)의 근거지였음 이곳에서 할거했던 호족들은 아타이(大隅直), 소노키미(曾君), 카시키아가타누시(加士伎県主), 키모츠키(肝衝) 등이 있었음


- 大隅는 큰 '대'와 모퉁이 '우'를 각각 훈독한 'おお-' + 'すみ' 


6. 타네(多禰)


- 아이누어로 가늘고 긴 것을 탄네(タンネ)라고 부르던 것에서 유래된 설, 섬의 모양이 씨(種, たね)를 닮았다는 것에서 유래된 설, 예로부터 타네가시마에서 적미(赤米)가 많이 재배되고 그것이 본토에 전해져 タネの島, 즉 타네가시마(種子島)가 되었다는 설이 있으며 마지막 주장이 가장 유력하다고 함 


- 속일본기(續日本紀)에 따르면 702년 타네가시마(多褹島)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타네가시마와 야쿠시마(やくしま)를 타네국(多禰国)으로 재편했으며, 약간의 녹비(鹿皮)를 공물로 보내는 빈약한 재정 수준이었으나 남규슈에 할거하던 하야토에 대한 대책, 남도인(南島人)들의 조공을 중계하는 차원에서 다자이후(大宰府)와 지역 내 여러 쿠니들의 재정적 지원을 받아 존속하였다가 공영전제(公営田制) 도입 이후 재정 지원 축소로 824년 오스미국으로 흡수됨


- 많을 '다'(多)와 아버지사당 '니/녜'(禰)의 각각 음독인 た+ね의 조합


7. 사쓰마(薩摩)


- 경제학자 후쿠도메 히사오(福留久大)는 東을 아즈마(あづま)로 읽는 것에 착안하여, 서쪽 끝이라 하여 '左端'(さつま)에서 유래되었다고 주장하기도 하며, 일반적으로는 지형적 특징을 감안해 좁은 곳을 의미하는 '狭端'(さつま)에서 유래되었다고 봄


- 702년 휴가국으로부터 하야토국(唱更国)으로 분리되었다가 몇년 뒤 사쓰마국(薩麻国)으로 바뀌었고 8세기 중반에는 지금의 한자를 사용하게 되었음


- 보살 '살'(薩)과 문지를 '마'(摩)의 각각 음독인 さつ+ま의 조합


8. 이키(壱岐)


- 중국 대륙 및 한반도와 일본 열도 사이에 위치한 교통의 요충지였다는 점에서 대륙으로 가는 도중에 있는 섬이라 하여 '行き島'라고 불렀다는 설, 경승지인 원숭이 바위(사루이와, 猿岩) 등이 섬의 움직임을 막기 위해 박아 넣은 말뚝과도 같다고 하여 '살아있는 섬'(生き島)라 지었다는 설도 있음


- 갖은한 '일'()과 갈림길 '기'(岐)를 음차한 단어


9. 쓰시마(対馬)


- 고사기(古事記)에서는 쓰시마(津島)로 기록되어 있으며, 상대 일본어에서는 つ가 파찰음화 되기 전이라 두[tu]로 발음되었고, 이것이 삼국지 등지에서 대마(対馬)로 문증된다고 함


- 일각에서는 対의 뜻을 이용해 한국어 '두 섬'에서 유래되었다고 하나 고대 한국어에서의 '두-'는 다른 발음으로 제시되며, 대마도가 두 섬으로 나뉘어지게 된 것은 근대에 운하를 판 이후이기에 낭설에 불과함


- 対馬를 츠시마로 읽는 것은 현재 일본어 표기법 상으로는 숙자훈(熟字訓)에 가까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