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지도는 철의 삼각지대와 황해도 남동부 사각지대 및 이들을 거치는, 여기에서 출발하는 통로들을 나타낸 지도임



좌측 빨간색은 황해도 남동부 사각지대동,서,남,북은 각각 시변리(토산), 평산, 한포리 그리고 침교리(신계)에 대응됨

-> 경기-관서 간 통로와 영서-관서 간 통로가 교차하는 요지

-> 침교리는 과거 삼국시대 수곡성이 위치했던 곳


우측 빨간색은 철의 삼각지대: 아래 좌측은 철원, 아래 우측은 김화 그리고 윗 꼭지점은 평강이 되겠음

-> 경기-관북 간 통로와 영서-관서 간 통로가 교차하는 요지


그리고 노란색은 이 사각지대와 삼각지대를 통과하는 통로들에 해당됨


1. 사각지대의 한포리에서 출발하여 금천, 개성, 파주를 거쳐 서울로 향함 -> 의주로


2. 사각지대의 시변리에서 출발하여 구화리, 장단, 장남, 적성을 거쳐 양주까지 감


3. 사각지대의 시변리에서 출발하여 임진강을 따라 삭녕을 거쳐 연천까지 감 -> 방원령로


4. 삼각지대의 철원에서 출발하여 연천, 동두천, 양주, 의정부를 거쳐 서울까지 감 -> 경원선로, 3번 국도, 추가령 구조곡


5. 삼각지대의 철원과 갈말을 연결하는 소통로


6. 삼각지대의 김화에서 출발하여 갈말, 영평, 포천, 의정부를 거쳐 서울까지 감 -> 경흥로, 43번 국도


7. 삼각지대의 김화에서 출발하여 서면, 이동, 일동, 진접을 거쳐 퇴계원까지 감 -> 47번 국도


8. 삼각지대의 김화에서 출발하여 마현리를 넘어 화천, 춘천, 홍천, 원주로 감 -> 5번 국도


9. 삼각지대의 김화에서 출발하여 금성, 창도, 회양을 거쳐 철령을 넘어 고산, 안변, 원산으로 감 -> 경흥로


10. 창도에서 갈라져 금강산까지 가는 소통로 -> 금강산선


11. 삼각지대의 철원에서 출발하여 안협을 거쳐 사각지대의 시변리까지 가는 통로


12. 삼각지대의 평강에서 출발하여 안협을 거쳐 사각지대의 시변리까지 가는 통로


13. 삼각지대의 평강에서 출발하여 세포를 지나 추가령을 넘고 고산, 안변, 원산으로 감 -> 경원선로, 3번 국도, 추가령 구조곡


14. 삼각지대의 평강에서 출발하여 이천, 지하리를 거쳐 신계로 감


15. 사각지대의 침교리에서 출발하여 신계, 수안, 연산을 지나 언진산맥의 방원령을 넘고 상원, 평양까지 감 -> 방원령로


16. 사각지대의 평산에서 서흥, 봉산, 사리원, 송림, 중화를 거쳐 평양까지 감 -> 의주로


두 요충지의 가운데에 위치한, 즉 분홍색으로 칠한 곳은 안협이며 현재 북한 철원군의 철원읍임.

: 안협은 황해도 남동부 사각지대와 철의 삼각지대를 연결하는 교통로의 중간에 위치하며 임진강을 옆에 두고 있음.

: 황해도와 강원도의 경계에 위치


바로 왼쪽에 하늘색으로 칠한 곳은 임진강 황강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