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테크+] "북극해 얼음 완전 소멸 10년 빨라진다…2030년대 여름 예상" (msn.com)

북극해가 지구 정중앙에 있는 위성 사진

지구 북극 3d 지도 - Google 지도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온실가스 배출량이 현재 수준을 유지할 경우 

여름철에 북극해 얼음(海氷)이 완전히 사라지는 시기가 2030년대로 기존 예측보다 

10년 앞당겨질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포스텍 민승기 교수·김연희 연구교수가 이끄는 국제연구팀은 7일 과학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서 온실가스 배출 저감 노력과 상관 없이 

2030~2050년 여름철에 북극의 해빙이 소멸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북극 해빙이 사라지는 시기가 기존 예상보다 10년 빨라질 것으로 전망됐다며 

이는 인간 활동이 북극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고 가까운 미래에 계절적으로 얼음 없는 북극에 대비하고 

적응하는 게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북극 해빙은 최근 수십년간 지구 기온이 상승하면서 모든 계절에 걸쳐 빠르게 감소해 왔으며 

2000년 이후 감소 폭이 더욱 커졌다.

북극 해빙 감소는 북극 온난화를 더욱 가속하고 탄소 순환을 변화시키는 등 

북극 안팎의 인간 사회와 자연 생태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중위도 지역의 폭염과 가뭄 같은 이상기후 발생 빈도를 높이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그러나 인간 활동이 북극 해빙 감소에 기여하는 정도와 이산화탄소 저배출 시나리오에서도 

북극 해빙이 소멸할지 등에 관한 불확실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연구팀은 이어 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예측에 사용된 기존 기후 모델들이 

온실가스 증가가 북극 해빙에 미치는 영향을 전반적으로 과소평가했음을 확인하고 

이를 이용해 미래 예측 시뮬레이션 값을 보정했다.

그 결과 현재의 온실가스 배출 추세가 계속되면 2030년 9월 북극 해빙이 모두 사라질 것으로 예측됐다. 

또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더라도 2050년에는 북극 해빙이 소멸할 것으로 전망됐다.

이는 '탄소 중립'과 무관하게 북극 해빙이 사라질 수 있음을 처음으로 제시한 것으로, 

온실가스 배출 감소 시나리오에서는 여름철 북극 해빙이 소멸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던 

IPCC 제6차 평가보고서와도 대조된다.

민승기 교수는 "이 연구에서 북극 해빙 소멸이 IPCC 예측보다 더 빨라질 수 있음을 확인했다"며 

"탄소 배출 저감 정책과 함께 북극 해빙 소멸로 인한 다양한 기후변화 영향을 평가하고 

그 적응 대책도 함께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짱깨가 쌩까고 독일을 비롯한 많은 유럽국가들이 탈원전을 외치고 있는 이 상황에서 저 조별과제가 과연 가능하기나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