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러시아에 연간 포탄 수백만개 공급 가능" (msn.com)

(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기자 = 북한과 러시아의 무기 거래와 관련해 북한이 

연간 수백만발의 재래식 포탄을 제공할 잠재력이 있다는 관측이 나왔다.

미국 워싱턴DC 소재 한미경제연구소(KEI) 트로이 스탠거론 선임국장은 1일 웨스틴조선서울 호텔에서 

통일부 주최로 열린 국제포럼에 참석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에서 전쟁을 수행하는 데 부족한 포탄이 

연간 800만발이라며 이렇게 밝혔다.

그는 러시아에 제공될 가능성이 큰 포탄은 152㎜ 탄이며, 북한은 이를 러시아 내 생산 단가(1발당 약 600달러)의 50∼100% 가치로 공급할 것으로 내다봤다. 

100만 발이라면 3억∼6억달러(4천100억∼8천100억원)에 해당한다.

러시아가 그 대가로 북한에 식량과 에너지뿐 아니라 위성·미사일 기술, 방공망, 핵 추진 잠수함과 같은 

첨단 군사기술도 이전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지만, 포럼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대체로 가능성을 낮게 봤다.

안드레이 란코프 국민대 교수는 러시아가 북한의 제3자 이전을 우려해 

첨단 군사기술 제공에는 소극적일 것이라며, '오래된 군사기술의 소규모 이전'을 예상했다.

전문가들은 국제사회의 강력한 대북 제재가 2017년 이래 북한 경제에 큰 타격을 줬으며, 

앞으로도 북한이 핵무기 고도화를 추진하면서 경제 발전을 이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입을 모았다.

김병연 서울대 석좌교수는 사전 배포된 토론 원고에서 "핵보유국 지위와 자력갱생을 통한 

경제발전을 의미하는 북한의 이른바 '병진'은 '미션 임파서블(불가능한 임무)'"이라며 

"북한이 핵 고도화를 지속하면 제재가 풀리지 않아 외국 자본과 기술이 들어갈 수 없고 

교육수준을 올리기도 어렵다"고 말했다.

김 교수 연구에 따르면 2017∼2019년 대북 제재로 북한 주민의 가계소득이 25%가량 감소했다.

다만 북한이 중국과 러시아의 지원 등으로 장기간 버틸 수 있으리라는 견해가 많았다.

란코프 교수는 "북한은 핵무기를 개발하고 군사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안정을 유지하고 

중대한 위기를 피할 능력을 충분히 갖추고 있다"며 

"북한이 이러한 정책을 앞으로 수십 년 더 지속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스탠거론 국장도 "우리는 제재와 압박에 적응하는 북한의 능력과 

북한 정권의 독창성을 과소평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북한이나 중국한테 대신 양산해달라고 첨단기술 줄 거 같은데 안줄거같다는 행복회로 돌리는 인간도 있구낢..