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은 독립 직후 분단이 되었고 미합중국이 전쟁을 피하기 위해서 대한민국에는 무기 공여에 대해 상당히 인색하던 사이, 

소련에서는 북한 지역에 T-34 등 당시로써는 육상전력으로는 강력한 전차 등을 배치하고 남쪽을 적화시킬 준비를 시작하였다. 


당연히 대한민국은 한국전쟁이 터짐과 동시에 이 전력들을 혼자서 감당하기 힘들었고, 미군의 투입을 통해 이를 겨우 극복해나갔지만, 

그 역시도 중공군으로 인해 끝내 압록강의 꿈은 좌절되었고, 대한민국은 금전적으로 한계는 큰데 똑같이 분단되었던 독일과는 정 반대로 

상대편 분단지역에서는 대한민국을 적화하기 위해서 오만 의지를 다 내비치고 있었다. 


그 과정에서 서독과는 정 반대로 대한민국은 당시 월드스타급 빈곤국이었기에 그나마 비용대비 전력을 늘리기 만만한 육상전력에 치중할 수 밖에 없었고, 

당연히 공군은 미합중국 공군에 의존하는 형태를 띨 수 밖에 없었고, 해상전력 역시 진짜 짜그마한 함선들을 통해 최소한의 수준으로 우리나라를 지킬 수준만 가능했다. 

그러다가 대한민국은 급속적인 경제발전을 이룩하게 되었고 그 이후가 되어서는 박정희 대통령의 F-4 도입을 위한 시도 등이 성사하여, 

그나마 나름 잠깐이긴해도 일본보다 F-4를 먼저 도입했었던 등 항공전력과 함상전력이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공군, 해군의 인원의 수가 절대적으로 작았기 때문에 이때부터 거의 모든 국직부대의 부대장은 어쩔 수 없이 육군이 차지했었다. 

전두환이 집권한 이후, 박정희 대통령이 나름대로 국가를 위한다고 일명 "전권 주기" 식으로 추진해오던 나름 좋은 사업이나 제도들을, 

갑자기 말살하기 시작했고 그 중에서는 강한 장교를 만든다는 모토아래 박정희 대통령이 전향자 장성을 내세워 창설한 제3사관학교의 사관생도 제도를 폐지함으로써 사실상 폐지를 시켜버리고, 

그 이후부터 자신들의 패밀리를 중심으로 한 일명 "육사 중심" 사회를 만들기 시작하였다. 


이후 노태우 정권을 거쳐 김영삼 정권이 되어서 하나회를 척결하고 처음으로 합동참모의장에 공군 출신이 임명되었다. 

물론 당시 육군 내에서 대장, 중장급에서 거의 다 소멸되다시피 전역당해버려서 어쩔 수 없는 측면도 있었지만 

동시에 합동참모본부 정보본부장을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공군 출신이 임명되도록 바꾼 시기기도 하였다. 


그 이후 이명박 정권, 국방개혁2020으로부터 합동참모본부 및 국직 장성 및 중·대령급 장성에 대한 육·해·공 분배비율을 2:1:1로 나누는 걸로 바꾸기로 하였다. 

그런데, 사실상 동시에 천안함 포격사건 이후를 계기로 항공작전 개시에 대한 책임을 물어 합동참모본부 정보본부장에 대한 몰아붙이기가 시작되었고 그 이후 다시 해공군에게 합동참모본부 내의 본부장을 주겠다는 명분으로 정보본부장은 육군의 보직이 되었다. 


그리고나서 박근혜 정부에 들어서 처음으로 합동참모의장에 해군 출신이 임명되기도 하였고, 

현 정부에 들어서서 첫 임명한 합동참모의장이 공군 출신인데 이어 대한민국 역사상 최초로 기무사령관이 비육군 출신에 참모장까지 비육군 출신이 임명되기에 이르렀고, 

2020년도에는 한 정부에서 합동참모의장을 2번이나 비육군 출신으로 임명하는 이례적인 상황이 발생하였다. 


한편 본 채널에서도 인사 문제와 관련하여 "작전계획"을 근거로 하여 대한민국 국군에서는 육군 중심의 인사를 수행할 수 밖에 없다라고 하고 있다. 

다만 그는 어떤 방면에서는 상당한 변명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국방정보본부장을 생각해보자. 

현재는 공군, 해군에서는 정보병과에서는 장성이 나올 수 없는 구조, 특히 공군은 전투기 경력이 있어야만 장성으로 진급이 가능하니국방정보본부장에는 보통 육군 출신을 임명한다. 

하지만 그 "국방정보본부"의 주요적인 타겟이 될 북한은 최근 육상으로 도발하는 일은 거의 없고 해상으로 도발할 경우 대다수 항공전력이나 해상전력으로 대응해야하는데 항공전력이라고 하더라도 육군의 항공전력은 결과적으로 전투전력은 맞지만 육상작전에 있어서의 CAS 역할을 수행하므로 해상도발 등의 상황에 적절한 항공전력을 가지고 있지는 않다. 

그러다보니 사실 해공군식 작전에 대한 충분한 인지가 있어야만 대응함에 있어 신속하고 빠른 결정이 가능한 상황도 허다하다. 


하물며 이렇게 실제 전투상황과 관련이 되어있는 분야에서도 육군 홀로만의 대응으로는 부족한 방면이 있는데, 

비전투 성향의 부대나 주로 임무가 근무지원이나 국방대학총장 같은 부분에서는 사실 "반드시 육군 장성이 임명되어야하는 이유가 무엇인가"라는 의견을 제기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혹자들은 "작계"가 대다수 육군 중심으로 되어있다는 이유로 여러가지 반례가 있음에도 사실상 육군 중심에 대한 정당성이 크게 없는 부대들에서조차 이를 관례적으로 적용하는 것을 정당화한다. 

그러나 문제가 되는 것은 실제로 이 논리가 틀렸다고 보기 힘든 부분도 여러가지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북한의 경우 거의 80%에 육박하는 전력이 전부 육상전력이고, 오랜 냉전으로 인하여 한미의 항공전력의 공격에 대비한 '반항공'적인 작전에 익숙하고 그 결과로 나온 산실물이 바로 여태까지 발견되었던 수많은 땅굴들이다. 


@BleedingEdge : 이 아래 내용에 대해 님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또한, 이러한 북한의 육군전력에 대비하기 위해서 대한민국도 육군은 비육군 대비 해공군(해군은 해병 포함)에 대해 각각 6배 수준의 병력을 차지하고 있고, 

특히 지휘통신이나 의무의 경우도 공군의 경우 결과적으로 기지를 이동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하거나 육군에서 일어나는 그러한 의무작전이 수행되어야하는 경우 사실 이미 폭망한것이기 때문에 의미가 없는 상황이다보니 사실 실질적으로 육군이 넓게 진출할 수 밖에 없을 많이 중요한 분야이다. 


이러다보니 지휘통신사령관은 아예 육군 출신으로 고정되고 의무사령관 역시 사실상 육군 출신으로 고정되는 등, 

대한민국의 병력구조 자체로 인한 어쩔 수 없는 측면들도 존재한다고 말해도 어느정도 군대에 다녀온 사람들은 어쩔수 없다고 생각하게 될수 있을 정도로 나름 타당성은 존재한다. 

그렇다면 이 육군 중심 인사 문제에 대해 병력구조 자체로 인해 어쩔 수 없는 부분은 어떻게 해야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