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해(사해) 증후군 분석 보고

Deep Sea(Sahae) Syndrome Analytical Report


우■■, 유■■, 정■■, 하■■, 임■■, 박■■, 권■■


긴급재난대응본부 사해 조사팀(17부서), 역학조사팀(3부서), 질환예방팀(2부서), 생체연구팀(4부서)


Corresponding author: 권■■, Telephone: +82-4■-■■■-■■■■, E-mail: ■■y938@■■■■■■.kr


Received: February 12, 2024; Revised: February 18, 2024; Accepted: February 19, 2024


해당 보고서는 '비공개 열람 금지 보고서'로써 Epsilon급 권한이 없을경우 열람이 금지됩니다.

허가없는 열람이 적발될 시 즉시사살 가능합니다.



개요


긴급재난대응본부 역학조사팀, 질환예방팀, 생체연구팀에서 심해 증후군 확진자 및 접촉자에 대해 전수조사를 실행하여 얻은 사항을 정리한 보고서이다.


2022년 8월 사해 1차 침묵 사태 발생이후 발생한 심해 증후군은 2022년 9월 특정 분기 이후 확진자가 급증하여 새로운 대응 전략이 필요하였으며, 2022년 9월 28일 확진자 스스로, 혹은 접촉자가 기초 역학 내용을 입력하도록 하는 자기기입식 확진자 조사서를 도입하였다.


이후 현재까지 확진자 조사서 등록현황은 18.9%이다. 주요 항목으로 증상 여부, 확진자 진단소요일, 감염취약시설 구성원 등을 조사하여


현재 세간에 알려져 있는 내용중 가짜를 구별하고, 새로운 증상이 있을경우 기록하였다.


확진자조사서 자료는 검증이 이루어지지 않아 무조건적인 결과의 일반화가 제한이 있고, 추후 다른 자료원과 위 자료원의 항목별 일치도를 비교하여 정확도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향후 필요시 확진자조사서 항목별 추가 분석을 통해 정책 마련의 근거 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주요 단어


심해 증후군, 자기기입식 확진자 조사서, 신규 증상, 전조


서론


1. 이전에 알려진 내용

긴급재난대응본부 역학조사팀은 확진자에 대한 전수 조사를 시행하고 있다.


2. 새로이 알게된 내용

2차 침묵 9개월 이후의 현재까지의 누적 발병률은 전 국민의 18.9%이다.

동거인 발생현황에서 지표자당 동거인 수의 변동은 없었으나, 2차 발병률은 매월 조금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2차 침묵 사태가 발생하기 직전의 상황 (발병률이 점점 높아지다 급격히 하락함)이 발생하고 있다.


3. 시사점

이전에 발견하지 못한 증상이 발견되었다.


4. 목표

이전과 현재의 조사결과를 비교하여 새로운 쟁점을 파악한다.



발병률/생존률


발병률과 생존률은 다음과 같은 경향을 보였다.

평상시의 상황에선 낮은 발병률과 높은 생존률을 보였으나.

'침묵'사태 발발 직전에 극도로 높은 발병률과 낮은 생존률을 보였다.


신규 발병률 (단위: 만 명)

2022년 3분기: 54

2022년 4분기: 51

2023년 1분기: 49

2023년 2분기: 354 (2차 침묵 발발)

2023년 3분기: 37

2023년 4분기: 400



신규 발병률 당 생존률 (단위: %)

2022년 3분기: 78

2022년 4분기: 82

2023년 1분기: 88

2023년 2분기: 12 (2차 침묵 발발)

2023년 3분기: 87

2023년 4분기: 33



2차 감염률


2차 감염이란 기존 발병된 사람 주위에 있는 사람이 영향을 받아 발병된 비율을 의미한다.

새로운 증상에 출현에 맞추어 2차 발병률 또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이사항이 있다면, '침묵'사태 발발 주기에 맞추어 발병률이 급격히 증가하였다.


발병자 중 2차 발병 비율 (단위 :%)

2022년 3분기: 7

2022년 4분기: 5

2023년 1분기: 4

2023년 2분기: 45 (2차 침묵 발발)

2023년 3분기: 3

2023년 4분기: 27



발병 경로


2차 침묵 발발 이전 발병원인의 대부분은 직접적인 '사해 진입'혹은 '발병자 접촉'이었다.

하지만 2차 침묵 이후 주요적인 발병 원인이 바뀌었다는 말이 나와 조사를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발병 원인 (사유 %)

알 수 없음: 45

발병자의 말: 27

발병자 접촉: 13

사해 진입: 10

기타: 5


알 수 없음의 원인 조사중에 있지만, 갱신된 자료 혹은 보고서가 전부 확인 불가능한 상태이다.

아마 내부자의 소행이 원인으로 보이는데, 정확한 원인을 알 수 없다.

현재 08부서 (보안 유지)와 협업하여 원인 조사 및 자료 복구를 시도 중이다.



증상


현재 세간에서 알려진 대표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다.


'오한, 두통, 물구토, 빈혈, 언어 장애, 의사소통 장애, 정신 이상, 불면증, 몽유병, 신체 변화, 부종, 종기, 괴사, 습진, 곰팡이, 세뇌, 조헌병, 조울증, 실종, 자살충동 등'


이중 대부분이 사실로 밝혀졌으며, 현재 2차 침묵 사태 이후 새로 생긴 증상은 다음과 같다.


'정신 이상, 실종, 빈혈'


하지만 이중 '자살충동'은 거짓으로 밝혀졌다.

대다수의 사망자가 '자살'을 택하기 보단 한날 한시에 여려명이 '실종'되거나, 물이 없는 환경에서 '익사' 하였다.


따라서 해당 증상에 맞추어 경찰은 동시다발적인 실종 신고와. 익사사고는 무시하라는 지침이 내려갔다.


또한 현재 새롭게 나타나고 있는 증상은 다음과 같다.

'다말증' 즉 말이 많아지는 증상으로, 앞서 설명한 증상과 겹쳐 발생하기에, 환자가 말하는 모든 말은 대부분 논리가 이상하였다. 하지만 이를 계속하여 들을경우 듣는 사람의 정신에 위험이 됨을 4부서에서 확인하였다. 


현재 '다말증' 증상을 발현한 환자가 하는 말의 내용은 다음의 내용이다.


'현재 육지는 메말랐다. 바다로 가는게 어떠한가?'

'난 그들(인간을 뜻하는 것으로 보임)의 소통방식을 이해할 수 없다.'

'그가 나, 우리를 부르고 있다'

'나는 하나이며 전체이다.'

''호흡'이라는 활동은 의미없는 활동이다.'

''진화'를 받아들이는 것이 어떠한가?'


또한 내용을 알 수 없는 시를 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현재의 상황을 보자면 '긍정적이다'라고 할 수는 없다.

모든 수치가 말해주는 바를 종합하면 현재 '침묵'혹은 그에 준하는 사태의 발발이 머지 않았다.

곧 준비해야 한다. 


-추가

준비해도 우리가 대응할 수 있는것이 없다.

모든것은 '해신'의 뜻대로 흘러갔고, 그럴거다.

우리가 결국 준비해야 하는 것은 '침묵'에 대응하기 위함이 아니다.

우리가 진정으로 준비해야 하는 것은 정해져있다.

진화, 적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