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비우스, 리비우스 등의 역사가들과 아스클레피오도투스 택티쿠스 등의 전술가들의 저술에 기반하면 고대 지중해 권역의 군대 전투대형은 다음과 같음




그리스식 호플리테스 팔랑크스의 경우 지름 90cm의 대형 원방패인 아스피스를 들고 대형을 구축했음


이에 따라 기본 전투대형인 피크노시스의 경우 각 병사 사이의 간격을 90cm로 잡고 방패끼리 좌우가 서로 맞닿게끔 진열을 짬


전열을 넓게 벌려야 하는 경우 병사간 간격을 1.8m로 늘렸고, 일부 전술서에 기술된 바에 따르면 적 전열을 중량으로 뭉개버리기 위한 시나스피스모스 대형의 경우 병사간 간격을 45cm로 좁혀서 병사들의 어깨가 맞닿고 방패들이 서로 겹쳐지도록 함






마케도니아 팔랑크스는 아스피스의 지름이 60~75cm 정도로 소형화되었으며 창의 길이가 4m 이상으로 크게 늘어났다는 점을 제외하면 기본 대형과 시나스피스모스 대형 모두 그리스 팔랑크스와 별반 다를 게 없음


하지만 장비의 경량화와 방패를 서로 맞대지 않는다는 점 때문에 그리스 팔랑크스보다 훨씬 유연한 기동이 가능함




로마 등 검을 주무장으로 사용하는 군대의 경우 기본 대형을 훨씬 넉넉하게 잡아 병사간 간격을 135cm(어깨 사이 넓이 기준 90cm)로 잡았음


넉넉한 공간을 두어 각 병사가 쉽게 검을 휘두를 수 있도록 공간을 확보한 것


대신 이런 대형의 경우 팔랑크스 등의 밀집대형과 충돌하거나 기병을 상대할 때 일부 취약한 모습을 보이기에 병사간 간격을 65cm로 줄여 방패끼리 맞닿게 하는 밀집대형도 사용되곤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