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s://m.news.naver.com/rankingRead.nhn?oid=277&aid=0004469676&sid1=105&ntype=RANKING


화웨이 지난해 실리콘밸리로부터

13조원치 부품, 소프트웨어 구매

거래제한 조치 포함되면서 5G 계약 이행 차질


....

17일(현지시간) 미국 CNN은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화웨이에 대한 거래제한 조처로 실리콘 밸리의 수익이 110억 달러(약 13조원) 감소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앞서 미국 정부는 면허 없이 미국 수출업자로부터 부품을 조달받는 것을 금지한 외국기업 명단에 화웨이를 올린 바 있다.


이 같은 조처는 화웨이에 상당한 타격을 줄 전망이다. 화웨이는 최대 통신 장비 업체이자 삼성전자에 이은 두 번째 스마트폰 업체로, 실리콘밸리로부터 핵심 부품을 상당 부분 의존하고 있기 때문이다. 화웨이는 지난해 1만3000개 공급처에서 700억 달러(약 84조원)치의 부품·부속품을 사들였는데, 이 중 퀄컴과 브로드컴의 컴퓨터칩·마이크로소프트와 구글의 소프트웨어가 차지하는 규모가 110억 달러였다.


화웨이는 현재 유럽 25곳, 중동 10곳을 포함해 수십곳과 상업욕 5G 계약에 서명한 상태다. 그런데 미국 공급처에서 소프트웨어나 컴퓨터 칩을 확보하지 못하면 계약 이행이 어려워질 수 있다.


화웨이는 수년간 현재와 같은 시나리오를 대비해왔다는 입장이다. 켄 후 화웨이 순환회장은 직원들에게 보낸 메시지에서 미국이 정치적 이유로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며 "수년간 이런 일이 벌어질 가능성을 알고 있었다. 우리는 아주 많이 투자해왔고, 다양한 분야에서 완전한 준비를 해 왔다"고 말했다.


그러나 제프리스증권사는 화웨이가 미국의 공급 차단을 오랫동안 견뎌내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실리콘밸리가 스마트폰·통신장비 핵심 부품 업계를 지배하고 있어, 대체재 찾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컨설팅기업인 유라시아그룹의 한 전문가는 미국의 결정이 화웨이 자체는 물론 전 세계 화웨이 고객사 네트워크 모두를 위험에 빠뜨렸다며 "화웨이는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와 일상적 유지보수, 하드웨어 교체를 못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