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s://m.news.naver.com/read.nhn?oid=016&aid=0001538318&sid1=105&mode=LSD


미국 정부가 중국 통신장비 업체 화웨이에 대한 판매제한 조치를 내리면서 국내 통신시장에도 파장이 일고 있다. 

....


23일 외신 및 통신업계에 따르면, 화웨이가 미국산 부품 조달에 어려움을 겪을 경우 5G 망구축에 화웨이 장비를 사용하는 LG유플러스가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화웨이는 미국 기업의 부품 공급 중단에도 최소한 3개월 동안 사업을 운영할 수 있는 부품을 비축한 것으로 전해졌다. 화웨이 통신장비에는 미국 자일링스와 브로드컴의 칩이 탑재돼 있다.


다만, 미국의 제재가 장기화할 경우 미국산 부품 조달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된다. 


국내 이동통신사 중 화웨이 장비를 5G 구축에 활용한 것은 LG유플러스 뿐이다. LG유플러스는 수도권 북부와 강원지역에 화웨이 장비를 쓰고 있다. LG유플러스는 4G와 5G를 함께 사용하는 초기 5G 기술을 고려해 화웨이를 장비 공급사 중 하나로 선택했다. LG유플러스는 4G LTE 당시에도 화웨이 장비를 사용했다. 


LG유플러스는 올해 상반기 5만개, 연말까지 8만개 5G 기지국을 구축하고 오는 2022년까지 전국망 구축을 완료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미국이 우리나라에 직접적으로 LG유플러스의 화웨이 장비 사용에 대한 우려를 전달한 것도 악재다. 미국 국무부 관계자가 최근 LG유플러스를 지목하며 “한국 내 민감한 지역에서 서비스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비친 것으로 알려졌다. 


통신업계에서는 안드로이드 사용이 제한된 스마트폰에 비해 통신장비에서는 타격이 상대적으로 적을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미국 정부의 압박이 심해지고 있는 만큼 촉각을 잔뜩 곤두세우고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에 대해 LG유플러스 관계자는 “화웨이 장비를 이용해 5G를 구축하는 지역에 대한 물량은 이미 다 확보한 상태”라며 “현재 상황에서는 화웨이 장비 철수를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