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s://m.news.naver.com/read.nhn?oid=029&aid=0002528951&sid1=105&mode=LSD



중국과 무역전쟁을 벌이고 있는 미국이 우리 정부 차원에서 화웨이 퇴출을 요구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LG유플러스의 향후 행보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중국 화웨이에 대한 미 정부의 거래 금지 행정명령이 내려지면서, 화웨이 통신장비를 사용 중인 LG유플러스에 불똥이 튈 것이란 우려가 일고 있다. 화웨이 퇴출과 관련한 압박이 본격화 되면서, 당사자인 LG 뿐만 아니라 외교부, 주무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정부 당국도 난처한 입장이다.


업계에서는 LG유플러스가 과거 4G LTE 장비업체로 화웨이를 선정하면서, 한미-한중간에 미묘한 갈등을 연출했던 상황이 다시 재연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고 있다.


◇미 국무부 "韓 화웨이 아웃시켜 달라"…과기정통부도 '난감' = 미국의 노골적인 화웨이 퇴출 요구가 전해지면서 LG유플러스가 5G 망 구축에 차질을 겪을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최근 미국 국무부 관계자가 우리 외교부 측에 "당장은 아니더라도 최종적으로 한국에서 화웨이를 아웃시킬 필요가 있다"고 제기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미 국무부는 "한국 내 민감한 지역에서 (중국 화웨이 장비로)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면서 "삼성전자 등 한국 기업이 힘써 달라"고 전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화웨이 퇴출 압박이 LG유플러스를 직접적으로 겨냥한 발언으로 풀이되면서, 23일 LG유플러스 주가는 6.35%(950원) 빠지는 등 큰 후폭풍을 겪고 있다. 


이미 미국의 주요 동맹국 중 일본과 호주, 뉴질랜드는 '정보 유출 가능성'을 들어 미국의 반 화웨이 움직임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LG유플러스가 이통 3사 중 유일하게 4G와 5G망 구축에 화웨이 장비를 사용하고 있다. 


이와 관련, 외교부는 23일 입장자료를 통해 "미 측이 5G 장비 보안 확보의 중요성을 강조한 바에 대해, 우리도 이러한 입장을 알고 있다"면서 "한미 양국은 이 이슈에 대해 지속적으로 협의해 오고 있지만, 구체적인 협의 내용에 대해서는 밝힐 수 없다"고 언급했다. 


담당 주무부처인 과기정통부도 철저히 함구하고 있다. 과기정통부 담당자는 "현재 이건과 관련해 코멘트할 게 없다"면서 신중한 반응을 나타냈다. 


◇LGU+ "5G 문제없다"…사태 확산 '예의주시' = 당사자인 LG유플러스도 화웨이 기지국 장비 물량을 확보한 상태라 전혀 문제가 없다는 입장만 밝힌 채 미국 당국의 화웨이 퇴출 요구와 관련해서는 일체 반응을 내놓지 않고 있다. LG유플러스는 서울 및 수도권에 공급하는 화웨이 장비를 비롯해 올 상반기 5만대, 연말까지 8만대의 5G 기지국을 구축하고 오는 2022년까지 전국망 구축을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기지국 장비 물량을 선 확보한 상태라서 전혀 문제가 없으며, 계획대로 기지국을 구축해 나갈 것"이라며 "내년까지 기지국 물량을 선 확보해서 물량 조달에는 문제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일부 부품도 자체 해결하거나, 대체할 수 있어 기지국 장비 조달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고 밝혔다. 


LG유플러스는 이미 지난 2013년 미국으로 부터 화웨이 통신장비 수급과 관련한 압박을 받은 전례가 있다. 당시 LG유플러스는 미 의회의 반발로, 서울 용산 미군 기지 등에 구축한 화웨이 LTE 장비를 철거하고 에릭슨 장비로 대체한 바 있다. 특히 LG유플러스는 이번 5G 망 구축시에서도 미군 기지 근처에는 삼성전자나 에릭슨, 노키아의 장비를 활용할 방침이다. 특히 LG유플러스는 "현재 미군 주둔 지역에는 4G 구축 때부터 유럽 장비를 쓰고 있고, 5G도 마찬가지"라며 미국의 화웨이 장비를 통한 정보유출 우려에 대해 일축했다.